이황에게 날아든 한 통의 서신
어느 날 옆집에서 살고 있던 유학자 정지운(鄭之雲)이 이황을 찾아왔습니다. 자신이 만든 『천명도설(天命圖說)』을 이황에게 보여주고, 그림과 그림에 붙인 설명이 옳은지 자문을 구하기 위해서였지요. 『천명도설』을 살펴보다가 이황은 ‘사단(四端)은 이(理)에서 드러난 것이고, 칠정(七情)은 기(氣)에서 드러난 것이다’라는 구절을 보게 됩니다. 무심결에 이황은 이 구절을 ‘사단은 이가 드러난 것이고, 칠정은 기가 드러난 것이다’라고 고쳐주었습니다. 약간 어렵고 복잡한 논의이지요.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잠시 ‘사단’과 ‘칠정’이란 개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단’은 이미 맹자의 유학 사상을 다룰 때 살펴보았습니다. 그것은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이라는 네 가지 선한 마음이나 감정을 가리키는 개념입니다. 반면 ‘칠정’이란 개념은 『예기(禮記)』에서 최초로 등장한 용어입니다. 이것은 기쁨[喜], 노여움[怒], 슬픔[哀], 두려움[懼], 사랑[愛], 미움[惡] 그리고 욕망「欲] 등 인간의 현실적인 일곱 가지 마음이나 감정을 의미합니다. 기억력이 좋은 독자들은 아마 정이의 「안자소호하학론」이 떠오를 것입니다. 거기에서도 ‘칠정’이라는 표현이 나왔으니까요. 그러나 정이가 말한 칠정과 『예기』에 등장하는 칠정에는 약간 차이 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정이는 『예기』의 ‘두려움[懼]’이라는 감정 대신 ‘즐거움[樂]’이라는 감정을 칠정에 포함시키고 있지요. 그렇다고 양자 사이에 커다란 차이가 있다는 뜻은 아닙니다.
사단과 칠정이 중요한 이유는 두 개념이 우리 인간에게 두 가 지 경향의 마음이나 감정이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이지요. 맹자의 말대로 사단은 우리의 본성으로부터 드러난 윤리적인 감정입니다. 반면 칠정은 우리가 어떤 사물이나 사건을 접했을 때 드러나는 일반적인 현실적 감정이라고 할 수 있지요. 정지운이 작성한 『천명도설』이 흥미로운 이유는, 사단과 칠정을 이기론(理氣論)으로 설명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정지운은 사단이라는 윤리적 감정이 이(理)에서 드러난 것이고 칠정이라는 현실적 감정은 기(氣)에서 드러난 것이라고 설명했던 것입니다. 정지운은 사단이나 칠정이라는 감정을 드러내는 사람이 이미 이와 기라는 두 가지 계기를 모두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가운데 사단은 이와 칠정은 기와 우선적인 관련성을 갖는다고 본 것이지요.
어쨌든 정지운을 만난 뒤 이황은 얼마 지나지 않아 벼슬을 사임하고 고향인 안동으로 내려갑니다. 자신이 제안했던 구절이 한양에서 어떤 파장을 일으킬지 전혀 예측하지 못한 채 말이지요. 이황이 안동으로 내려가 있는 동안 한양은 그의 ‘사단칠정론’ 때문에 한시도 조용할 날이 없었습니다. 한양의 유학자들이 이황의 입장에 대해 찬반으로 갈라져 열띤 논쟁을 벌였던 것이지요. 그로부터 6년 뒤, 그러니까 1559년 안동에 머물고 있던 이황의 손에 한 통의 편지가 전해집니다. 그 편지는 1558년 과거에 급제하여 의기양양하기 이를 데 없던 젊은 유학자 기대승이 보낸 것이었습니다.
본성이 드러날 때 기가 잘못 작용하지 않으면 본연의 선이 곧 이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맹자가 말한 사단입니다. 이것은 순수하게 천리가 드러난 것이지만, 칠정의 범위를 벗어날 수는 없습니다. 사단은 바로 칠정 중 ‘드러나서 절도에 맞는 것’의 핵심일 뿐입니다. 『고봉집』(2권) 「고봉상퇴계사단칠정설(高峯上退溪四端七情說)」
蓋性之乍發, 氣不用事, 本然之善, 得以直遂者, 正孟子所謂四端者也. 此固純是天理所發, 然非能出於七情之外也. 乃七情中, 發而中節者之苗脈也.
개성지사발, 기불용사, 본연지선, 득이직수자, 정맹자소위사단자야. 차고순시천리소발, 연비능출어칠정지외야. 내칠정중, 발이중절지묘맥야.
편지에서 기대승은 사단에도 본성, 즉 이(理)의 계기와 기(氣)의 계기가 함께 존재한다고 이야기합니다. 물론 이것은 사단이란 순수하게 이가 드러난 것이라고 보는 이황의 입장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 점은 기대승이 주희의 이기론을 그대로 수용했기 때문에 나온 귀결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개체는 이와 기라는 두 가지 계기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이 주희의 생각이었으니까요. 기대승이 사단의 마음을 이와 기로 동시에 설명해야 한다고 본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이지요.
물론 기대승도 사단의 마음이 선하다는 것을 받아들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사단이 이의 직접적 실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의 올바른 작용을 통해서만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아무리 사단의 마음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반드시 기의 작용이라는 형식을 통해서만 나타난다는 뜻이지요. 이것이 기대승의 근본적인 입장입니다. 나아가 그는 사단은 칠정의 범주에 속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이황의 생각처럼 사단과 칠정이 존재론적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단지 절도에 맞는 칠정을 사단이라고 말하는 것이지, 칠정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사단은 없다고 말합니다. 이 말은 도덕적 마음으로서의 사단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일반적 감정으로서의 칠정 안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 |
이황(李滉) | 기대승(奇大升) |
사단은 理가 드러난 것 | 사단에도 理와 氣의 계기가 공존함 |
四端과 七情은 별개 | 七情 속에 四端이 있음 |
七情 중 절도에 맞는 게 四端 |
인용
'고전 > 대학&학기&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이황과 이이 - 이황, 윤리적 감정과 현실적 감정의 차이를 사유하다 (0) | 2022.03.07 |
---|---|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이황과 이이 - 절도에 맞게 드러난 감정이 사단이다 (0) | 2022.03.07 |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이황과 이이 - 유학자로 살아가는 이이의 방법 (0) | 2022.03.07 |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이황과 이이 - 유학자로 살아가는 이황의 방법 (0) | 2022.03.07 |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이황과 이이 - 개요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