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7. 다음은 論辨體 산문 형식이 확립되는 과정을 기술한 것이다. ㉠~㉣에 알맞은 것은?
‘論’이란 이름이 붙은 책으로 가장 이른 것은 『논어』이다. 그러나 각각의 章節만 두고 보면 완결된 논변체 산문이라고는 볼 수 없다. 체계도 있고 구성도 있는 본격적인 논변체의 입론형식은 ‘三表’설을 제시한 ( ㉠ )에서 시작되었다. 여러 각도에서 논박의 방법을 제시한 ( ㉡ )의 ‘知言’설은 논변문 제작의 이론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莊子는 서정과 서사, 비유와 같은 수사기교를 첨가하였다. 「天論」과 같이 표제를 내세우고, 표제와 내용을 일치시킨 ( ㉢ )의 논변문은 사람들의 생각 속에 한 편의 문장으로 인식되었다. 5천여 글자에 달하는 「五蠹」와 같이 많은 내용과 함축적 표현, 큰 구조와 규모를 지녔던 장편의 의론을 창작한 ( ㉣ )는 傍證을 두루 이끌어오고 고금을 관통하는 기세를 보였다. 이와 같이 논변체 산문은 춘추전국시대 諸子들에 의하여 기본적인 형식이 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
㉠ | ㉡ | ㉢ | ㉣ | |
① | 墨子 | 孟子 | 荀子 | 韓非子 |
② | 孟子 | 荀子 | 韓非子 | 墨子 |
③ | 荀子 | 墨子 | 孟子 | 韓非子 |
④ | 韓非子 | 孟子 | 荀子 | 墨子 |
⑤ | 孟子 | 韓非子 | 墨子 | 荀子 |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기출문제 > 한문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임용 기출 - 11년 1차 24번(稗官雜記) (0) | 2021.11.06 |
---|---|
한문임용 기출 - 11년 1차 14번 (0) | 2021.11.06 |
한문임용 기출 - 10년 1차 26번(俚諺引 一難) (0) | 2021.11.06 |
한문임용 기출 - 10년 1차 10번(老莊申韓列傳) (0) | 2021.11.06 |
한문임용 기출 - 08년 18~19번(農巖雜識) (0) | 202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