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 3.3 이수광, 두보 시를 낮추어 평가하다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국시화에 나타난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 3.3 이수광, 두보 시를 낮추어 평가하다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09:54
728x90
반응형

3. 이수광, 두보 시를 낮추어 평가하다

 

 

이수광(李睟光)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당시(唐詩), 오대시(五代詩), 원시(元詩), 명시(明時) 등 각 조대의 시인의 시에 대하여 비평을 하였다. 그가 평한 당대와 송대의 시인을 총괄적으로 살펴보면, () 시인 중에서는 우세남(虞世南)ㆍ왕발(王勃)ㆍ낙빈왕(駱賓王)ㆍ송지문(宋之問)ㆍ이백(李白)ㆍ교지지(喬知之)ㆍ이교(李嶠)ㆍ진자앙(陳子昻)ㆍ맹호연(孟浩然)ㆍ왕유(王維)ㆍ두보(杜甫)ㆍ김운경(金雲卿)ㆍ위응물(韋應物)ㆍ한유(韓愈)ㆍ유가(劉駕)ㆍ원진(元稹)ㆍ이하(李賀)ㆍ왕건(王建)ㆍ두목(杜牧)ㆍ두공(竇鞏)ㆍ이상은(李商隱)ㆍ허혼(許渾)ㆍ육구몽(陸龜蒙)ㆍ두상(杜常) 등을 거론하여 그들의 시와 자구에 대하여 비평하였고, 시인 중에서는 구준(寇準)ㆍ안수(晏殊)ㆍ양휘지(楊徽之)ㆍ왕안석(王安石)ㆍ소식(蘇軾)ㆍ황정견(黃庭堅)ㆍ악비(岳飛)ㆍ양만리(楊萬里) 등을 거론하고 그 시와 자구를 비평하였다.

 

 

 

이백을 극찬하다

 

이 중에서 본 논문과 관련이 있는 지봉유설(芝峯類說)』 「시평(詩評)이백두보, 소식과 황정견에 대한 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보의 시에 붉은 빛이 드니 복숭아꽃이 곱고, 푸른빛이 돌아오니 버들잎이 새롭다.’라고 하였고 이백의 시에 차가운 눈은 매화 속에서 다하였고, 봄바람은 버들 위에 돌아왔다.’라고 하였으며, 왕안석의 시에는 푸른빛은 차갑고 거친 잡초 사이를 어지럽히며, 붉은 것은 다투어 따뜻한 나무에 돌아온다.’라고 하였다.

이 세 사람의 시에 모두 돌아가다[]”는 글자를 쓰고 있는데 옛사람들은 왕안석의 시가 매우 뛰어나다고 하였다. 나는 말한다. 두보의 시는 교묘하나 힘을 써서 지은 것이고 왕안석의 시는 교묘하게 짓고자 하여 더욱 자세히 조사하였고 이백의 시는 자연에 가깝다.

杜詩紅入桃花嫩, 靑歸柳葉新.’ 李白寒雪梅中盡, 春風柳上歸.’ 王荊公詩綠攪寒蕪出, 紅爭煖樹歸.’

此三詩皆用, 而古人以荊公詩爲妙甚, 余謂不然, 老杜巧而費力, 荊公欲巧而尤穿鑿, 李白爲近自然.

 

 

위의 인용문에서는 각 시인의 시구를 들어서 그 우열과 차이를 논하고 있다. 이는 이수광지봉유설(芝峯類說)에서 즐겨 쓴 비평방법의 하나이다. 본문에서는 ()’자 한 글자를 가지고 시의 우열을 논하고 각 시인의 장점을 들어 두보는 힘을 다한 교묘한 표현, 즉 조탁미가 뛰어나다고 하였고, 이백은 자연에 가깝다고 하였다.

 

 

 

맹호연보다 두보를 낮추다

 

이수광지봉유설(芝峯類說)』 「시평(詩評)에서 이백두보의 장점을 여러 곳에서 밝히고 그들의 단점도 지적하고 있다.

 

 

맹호연의 시에 말하기를 강이 맑으니 달이 사람에게 가깝다.” 하였다. 두보는 강물 속 달이 사람에게서 겨우 두어 자 떨어진 곳에 있다.”라고 하였다. 나대경(羅大經)이 말하기를 맹호연의 시는 원만하고 함축이 있으며 두보의 시는 정교하다고 하였다. 나는 두보의 이 글귀는 맹호연보다 매우 떨어진다.”라고 하였다.

孟浩然詩曰: ‘江淸月近人.’ 杜子美云: ‘江月去人只數尺.’ 羅大經以爲浩然渾涵, 子美精工. 余謂子美此句大不及浩然.

 

 

나대경이 두보의 시는 정교하다.”라고 평을 하였지만, 이수광은 두보의 시가 맹호연보다 못하다고 평을 하고 자세한 근거는 밝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나대경의 평을 통하여 두보의 시가 원만함과 함축성 측면에서 맹호연의 시보다 못하다고 보고 있음을 추리해볼 수 있다.

 

 

 

 

 

 

인용

목차

한문 논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