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어휘사전 - 279. 준 본문

어휘놀이터/어휘사전

어휘사전 - 279. 준

건방진방랑자 2020. 5. 31. 07:38
728x90
반응형

279.

 

 

준강하(遵江夏)

한대(漢代)의 군()이름, 지금의 호북성(湖北省) 운몽현(雲夢縣)의 동남을 말한다.

 

준개(僎介)

개준(介僎). 향음주례(鄕飮酒禮) 때 행사를 도와 주선하는 자. 주인을 돕는 자를 준(), ()을 돕는 자를 개()라 한다.

 

준골(駿骨)

준마의 뜻으로 즉 뛰어난 선비를 비유한 말이다.

 

준법(皴法)

화법(畫法)의 일종. 산악ㆍ암석 굴곡ㆍ중첩(重疊)등을 그리는 법.

 

준벽화(皴碧畫)

준법(皴法)으로 그린 그림. 준법은 화법(畫法)의 일종으로 산악ㆍ암벽 등의 굴곡 중첩 또는 옷의 주름 등을 나타내는 화법.

 

준순주(逡巡酒)

전설에 있어, 신선(神仙)이 빚는다는 잠깐 사이에 만드는 술을 말한다.

 

준시(蹲柹)

껍질을 벗겨 꼬챙이에 꿰지 않은 채 납작하게 말린 감.

 

준양시회(遵養時晦)

현재의 상황에 순응하며 역량을 축적하고 있다가 때가 되면 실력을 발휘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시경(詩經)주송(周頌) ()에 나온다

 

준여(準旟)

송골매를 그린 기()인데, 특히 행군(行軍) 때에 일을 급속히 함을 상징한 기이다.

 

준오(踆烏)

태양(太陽)에서 산다는 삼족오(三足烏)를 말한다. 회남자(淮南子)』 「정신훈(精神訓)

 

준우조장(峻宇雕牆)

준우(峻宇)는 집을 높다랗게 짓는다는 뜻이고 조장은 담장을 단청으로 꾸민다는 뜻으로, 사치를 뜻하는 말이다. 서경(書經)』 「오자지가(五子之歌)주색(酒色)을 즐기거나 집을 높다랗게 짓고 담장을 꾸미면 망하지 않을 리가 없다.” 하였다.

 

준원전(濬源殿)

함경남도 영흥(永興)에 있는 전각으로, 조선조의 발상(發祥)을 기념하기 위해 이 태조(李太祖)의 태()를 묻었던 곳에 세운 것이다.

 

준의(鵔鸃)

한대(漢代)에 시랑(侍郞)들이 쓰던 관()이다.

 

준의관(鵔鸃冠)

() 나라 때 시중(侍中) 벼슬에 있는 사람들이 썼던 꿩깃으로 장식한 관이다. 곧 고관 대작을 말한다.

 

준의한재하탑빈(准擬寒齋下榻頻)

최고의 손님으로 모실 테니 자주 찾아와 주었으면 좋겠다는 뜻이다. 후한(後漢)의 진번(陳蕃)이 특별한 걸상을 준비해 두고는, 서치(徐穉)가 찾아올 때에만 그 걸상을 내려서 그를 앉게 하고, 그가 떠나고 나면 다시 올려 두어 다른 사람은 앉지 못하게 했던 고사가 전한다. 후한서(後漢書)53 서리전(徐摛傳)

 

준점(遵占)

서경(書經)에 있는 기자의 홍범구주(洪範九疇), 점으로 의심을 결정하라는 계의(稽疑)가 일곱째에 들어 있다.

 

준조(樽俎)

연회석상으로, 무력을 쓰지 않고 연회석상에서 외교적으로 담판을 벌여 적을 제압하는 것을 말한다.

 

준조간(樽俎間)

술통과 도마 사이란 뜻으로, 술자리(연회석)를 가리키는 말이다.

 

준조절충(樽俎折衝)

술자리(樽俎)에서 유연한 담소(談笑)로 적의 창끝을 꺾어 막는다(折衝)는 뜻으로, 외교를 비롯하여 그 밖의 교섭에서 유리하게 담판하거나 흥정함을 이르는 말이다.

 

준주풍유요북해(樽酒風流邀北海)

북해(北海)는 동한(東漢) 말엽 북해에 피난하여 살았던 공융(孔融)을 가리킨다. 공융은 태중대부(太中大夫)로 있으면서 풍류를 좋아하여 빈객들이 언제나 문정(門庭)에 가득하였는데 한번은 탄식하기를 자리에 손님들 가득하고 동이에 술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나는 아무런 걱정이 없다.” 하였다. 후한서(後漢書)卷一百三 공융전(孔融傳)

 

준준(旽旽)

정중한 모양이다

 

준준(僔僔)

많은 모양

 

준준(撙撙)

많이 모이는 모양, 많은 모양

 

준준(惷惷)

벌레의 꿈틀거리는 모양, 흔들리는 모양

 

준준(嶟嶟)

산이 높게 우뚝 선 모양

 

준준(浚浚)

엎드려 안음

 

준철문명(濬哲文明)

신중하고 어질고 덕이 높고 광명하다는 뜻인데, 본디 순() 임금을 가리켜 이른 말이다. 서경(書經)』 「요전(舜典)

 

준치(蹲鴟)

토란을 말하는데, 토란인 줄 모르고 악조(惡鳥)인 줄 알았다는 고사. 해갹록(諧噱錄)장구령(張九齡)이 소경(蕭炅)의 무식함을 알고 토란을 보내면서 준치라 썼더니, 소경이 보내준 토란은 받았으나 준치는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 그러나 나의 집에도 괴이한 것이 많으므로 그와 같은 악조는 원치 않는다.’ 하였는데, 구령이 이 답서를 사람들에게 보이니 모두 한바탕 웃었다.” 하였다.

토란의 별명으로, 그 모양이 마치 올빼미가 웅크린 것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기(史記)』 「화식열전(貨殖列傳)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어휘놀이터 > 어휘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휘사전 - 280. 중  (0) 2020.05.31
어휘사전 - 280. 줄  (0) 2020.05.31
어휘사전 - 278. 죽  (0) 2020.05.31
어휘사전 - 277. 주  (0) 2020.05.31
어휘사전 - 276. 좌  (0) 2020.05.3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