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小華詩評 (5)
건빵이랑 놀자
27. 당풍의 시를 써서 중국에 이름 난 이인로 李仁老, 號雙明齋, 嘗使赴燕, 元日門關額上題春帖子, 未幾名遍中朝. 後中朝學士遇本朝使价, 取誦前詩, 問曰: ‘今爲何官?’云. 其詩曰: ‘翠眉嬌展街頭柳, 白雪香飄嶺上梅. 千里家園知好在, 春風先自海東來.’ 語甚淸婉. 且如「幽居」詩一絶: ‘春去花猶在, 天晴谷自陰. 杜鵑啼白晝, 始覺卜居深.’ 酷似唐家. 해석 李仁老, 號雙明齋. 이인로는 호가 쌍명재다【이인로의 호는 쌍명재(雙明齋)가 아니다. 쌍명재는 동시대인인 최당(崔讜)의 호로, 최당의 집에 모여 술을 마시고 시를 즐겼다. 이인로도 여기에 참여하여 시를 지어 『쌍명재집(雙明齋集)』이 만들어졌고, 최당은 또한 『쌍명재기(雙明齋記)』를 지었다. 이 내용은 아들 이세황(李世黃)이 쓴 「파한집발(破閑集跋)」에서 요약했다】..
26. 시의 변안법에 대해 詩人之咏漁父, 例多取其閑味而已. 獨金老峯克己詩: ‘天翁尙不貰漁翁, 故遣江湖少順風. 人世險巇君莫笑, 自家還在急流中.’ 此則言其危險, 乃反案法也. 眞逸齋成侃詩: ‘數疊靑山數谷烟, 紅塵不到白鷗邊. 漁翁不是無心者, 管領西江月一船.’ 此亦與有心於名利者異矣. 屬意雖不同, 寫景遣辭, 各極其妙. 해석 詩人之咏漁父, 例多取其閑味而已. 시인들이 어부를 읊을 때 으레 어부의 한가로운 맛을 음미하기 일쑤였다. 獨金老峯克己詩: ‘天翁尙不貰漁翁, 故遣江湖少順風. 人世險巇君莫笑, 自家還在急流中.’ 유독 노봉 김극기의 「어옹(漁翁)」이라는 시는 그렇지 않았다. 天翁尙不貰漁翁 하느님 여전히 어부에게 너그럽지 않아 故遣江湖少順風 일부러 강호에 순풍을 적게 보내누나. 人世險巇君莫笑 어부여! 인간세 험난타고 비웃..
20. 김부식의 정밀한 시와 탈세의 시 金侍中富軾「燈夕」詩曰: ‘城闕沈嚴更漏長, 燈山火樹燦交光. 綺羅縹緲春風細, 金碧鮮明曉月凉. 華盖正高天北極, 玉繩相對殿中央. 君王恭黙疎聲色, 弟子休誇百寶粧.’ 詞極典實. 「題松都甘露」寺曰: ‘俗客不到處, 登臨意思淸. 山形秋更好, 江色夜猶明. 白鳥高飛盡, 孤帆獨去輕. 自慙蝸角上, 半世覓功名.’ 亦翛然有出塵之趣. 해석 金侍中富軾「燈夕」詩曰: ‘城闕沈嚴更漏長, 燈山火樹燦交光. 綺羅縹緲春風細, 金碧鮮明曉月凉. 華盖正高天北極, 玉繩相對殿中央. 君王恭黙疎聲色, 弟子休誇百寶粧.’ 시중 김부식의 「등석(燈夕)」이란 시는 다음과 같다. 城闕沈嚴更漏長 대궐 안은 으슥하여 물시계소리 깊어가고 燈山火樹粲交光 연등 걸린 산과 나무 불빛으로 찬란하다. 綺羅縹緲春風細 비단 장막 하늘하늘 봄바람은..
16. 돌연히 우뚝 선 최치원 我東之通中國, 遠自檀ㆍ箕, 而文獻蓋蔑蔑. 隋ㆍ唐以來, 始有作者, 如乙支文德之獻規仲文, 新羅女王之織錦頌, 功雖在簡冊, 率皆寂寞, 不足下乘. 而至于唐侍御史崔致遠, 文體大備, 遂爲東方文學之祖. 其「江南女」詩曰: ‘江南蕩風俗 養女嬌且憐 性冶恥針線 粧成調急絃 所學非雅音 多被春心牽 自謂芳華色 長占艶陽天 却笑隣舍女 終朝弄機杼 機杼終老身 羅衣不到汝’ 佔畢齋云: “公仕于唐, 此詩疑見三吳女兒作.” 余觀此詩, 蓋有所感諷而作, 非但詠三吳女兒也. 辭極古雅, 非後世人可及. 所著詩文甚富, 而屢經兵燹, 傳者絶少, 良可惜也. 해석 我東之通中國, 遠自檀ㆍ箕, 우리나라가 중국과 교류한 것은 멀리 단군과 기자 때부터지만 而文獻蓋蔑蔑. 문헌이 거의 없다. 隋ㆍ唐以來, 始有作者, 수당 이래로 비로소 작자가 나왔으..

태현경의 가치를 지닌 소화시평은 훗날 칭송받으리 소화시평서(小華詩評序) 김진표(金震標) 홍만종의 재능과 소화시평의 수록된 시들 余所善宇海洪君, 少小酷好詩, 閱盡百氏語, 透三昧之奥, 具金剛之眼. 遂取我東古今宸翰詞人佳什, 以至山僧閨秀警語姸辭, 靡不該錄, 名之曰『小華詩評』, 以示余. 자신의 책에 대한 우려 섞인 겸손 謂余曰: “昔楊子雲作『太玄』, 諸儒譏其非聖人而作經, 猶春秋吳ㆍ楚之君僭號稱王. 不侫無作者之能而著是書, 吳ㆍ楚僭號之譏, 其將不免耶?” 이 책의 가치를 알아줄 사람이 있을 테니 걱정 놓으라 余應之曰: “固然! 夫人情好古而輕今. 子雲生於漢, 故漢儒易之, 後人重之. 今子之生也亦今世也, 覆瓿之譏, 子豈獨免乎! 雖然明珠珷玞混陳於市肆, 凡賈不知, 惟波斯胡一見便別. 使是書也, 不遇如桓譚者則已, 遇之, 猶使子雲見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