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明妃 (2)
건빵이랑 놀자
6. 왕소군을 그리며 노래하다 鵝溪有「詠昭君」二絶曰: “三千粉黛鎖金門, 咫尺無由拜至尊. 不是當年投異域, 漢宮誰識有昭君.” “世間恩愛元無定, 未必氈城是異鄕. 何似深宮伴孤月, 一生難得近君王.” 此蓋竊王荊公「明妃曲」, ‘漢恩自淺胡恩深, 人生樂在貴知心’之意. 而李詩辭意太露, 信乎. 言志, 心之聲也. 羅大經嘗評荊公此句曰: “苟心不相知, 臣可以叛其君, 妻可以棄其夫乎.” 朱子亦有評, 以爲悖理傷道云. 해석 鵝溪有「詠昭君」二絶曰: “三千粉黛鎖金門, 咫尺無由拜至尊. 不是當年投異域, 漢宮誰識有昭君.” “世間恩愛元無定, 未必氈城是異鄕. 何似深宮伴孤月, 一生難得近君王.” 아계 이산해의 「소군을 읊다[詠昭君] / 왕소군(王昭君)」이라는 절구 두 수는 다음과 같다. 三千粉黛鎖金門 삼천 궁녀들이 금문에 갇혀 咫尺無因拜至尊 지척인데도..
명비 왕소군의 서러운 노래명비곡(明妃曲) 왕안석(王安石) 明妃初出漢宮時 淚濕春風鬢腳垂低徊顧影無顏色 尙得君王不自持歸來卻怪丹靑手 入眼平生幾曾有意態由來畫不成 當時枉殺毛延壽一去心知更不歸 可憐著盡漢宮衣寄聲欲問塞南事 只有年年鴻雁飛家人萬里傳消息 好在氈城莫相憶君不見咫尺長門閉阿嬌 人生失意無南北 明妃初嫁與胡兒 氈車百輛皆胡姬含情欲語獨無處 傳與琵琶心自知黃金桿撥春風手 彈看飛鴻勸胡酒漢宮侍女暗垂淚 沙上行人卻回首漢恩自淺胡恩深 人生樂在相知心可憐靑冢已蕪沒 尙有哀弦留至今 해석明妃初出漢宮時명비초출한궁시명비가 처음 한나라 궁궐 나갈 때,淚濕春風鬢腳垂루습춘풍빈각수눈물이 봄바람 적셔 귀밑머리 축 처졌네.低徊顧影無顏色저회고영무안색숙이고 배회하며 그림자 돌아보니 안색은 없지만尙得君王不自持상득군왕부자지오히려 군왕은 설렘을 자제할 수 없었다지.歸來卻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