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이한 (4)
건빵이랑 놀자

여섯째 고개, 고사의 출전에 대하여 『몽구』의 592(전 596) 구절의 고사는 고대의 전설 시대로부터 당 나라 때까지의 엄청나게 많은 분량의 책에서 가려 뽑은 것이다. 출전이 된 책 또한 경전이나 역사책 같은 학술서적에서부터 문집, 설화집, 잡기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그 가운데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22권의 책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책이름 뒤의 숫자는 인용 횟수이다. 1. 『사기』 27번 한나라 때 사마천이 편찬했다. 최초의 천자인 황제(黃帝)에서 한나라의 무제 때까지의 역사를 엮은 책이다. 천자의 역사인 본기(本紀), 신하가 군주에게 올린 의견서를 모은 표(表), 상서문을 모은 서(書), 제후들의 역사인 세가(世家), 영웅들과 인물들의 이야기인 열전(列傳)의 네 부분으로 이루어진 기전..

넷째 고개, 독특한 체제에 대하여 이제는 『몽구』의 본문이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몽구』는 중국 고대에서 당나라시대까지 여러 철학책, 역사책, 설화집 등과 같은 옛사람의 저서에서 여러 방면에 걸쳐 교훈적이고 흥미로운 사실을 널리 뽑아 편찬했다. 그 각 이야기 하나씩을 한자 네 글자로 된 성어로 표현했는데 이것을 ‘표제(標題)’라고 한다. 그리고 이 ‘표제’ 가운데 내용이 유사하거나 비교할 만한 것을 두 개씩 나열해서 어린이가 읽고 쉽게 암송할 수 있도록 했다. 표제는 전부 592개의 구절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원래는 네 글자씩 연결되는 시나 노래인 셈이다. 그런데 이 네 글자의 시는 그냥 아무 글자나 붙인 것이 아니라 모두 일정한 의도를 가지고 있다. 첫째, ‘표제’의 앞 두 글자..

셋째 고개, 어떤 내용인가? 이제 이 『몽구』의 592구절에는 어떤 내용이 들어 있나 살펴보자 한 마디로 말하면 ‘고대의 온갖 종류의 인간들의 삶’이다. 『몽구』의 최대 특징은 등장 인물이 매우 다양하다는 데에 있다. 더구나 그 인물들은 고전에서 연상할 수 있는 착하고 선하며 뛰어난 역량을 지닌 전형적인 주인공들이 아니라는 점이다. 저마다 갖고 있는 진한 색깔과 냄새를 그대로 묘사하고 있다. 그 중에는 나라를 잘 다스린 뛰어난 성군, 한 사람의 욕심으로 나라를 망가뜨린 멍청한 군주, 천자를 잘 보필한 현명한 재상, 개인의 사리사욕으로 나라를 망친 잔혹하고 사악한 신하, 국가의 위태로움을 한 몸으로 구출한 용맹한 전사, 천하를 경영하기 위해 일생 동안 분주하게 뛰어다닌 영웅호걸, 백성들을 어루만진 선량한 ..

열두 고개로 풀어 보는 『몽구』 첫째 고개, 책이름에 대하여 책이름인 ‘몽구’가 어떤 뜻인지 알아 보자. 어리석다, 어리다, 어둡다, 뒤집어쓰다라는 뜻의 몽(蒙)자와 구하다, 구걸하다, 빌리다라는 뜻의 구(求)자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다면 ‘몽구’란 ‘어리석은 어린 사람이 구한다’라는 뜻이 된다. 도대체 무엇을 누구에게 구한단 말인가? 여기에 ‘몽구’란 말의 숨은 뜻이 담겨져 있다. 예전에 고전의 책이름을 붙이는 방법은 먼저 철인들의 이름이나 호를 따라서 붙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맹자』, 『순자』, 『노자』, 『장자』처럼 ‘자’(子)자가 붙은 책들이 이 경우로 ‘맹선생님의 저작’, ‘순선생님의 저작’이란 뜻이다. 그 다음은 옛날부터 내려오는 경전의 유명한 구절 가운데 한 글자씩을 떼어 내서 합쳐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