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2008년 한문교육 임용고시 공청회 III.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상세화 -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발 방법 및 과정 본문

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2008년 한문교육 임용고시 공청회 III.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상세화 -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발 방법 및 과정

건방진방랑자 2019. 9. 12. 16:00
728x90
반응형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발 방법 및 과정

 

지금까지의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기준이 명확하지 않았다. 다만 암묵적으로 교사자격증을 얻는데 필요한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시험문항이 출제되도록 유도되었을 따름이다. 하지만 기본이수과목의 어떤 영역의 어떤 내용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없었다. 따라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보다 상세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결정하는데 있어 객관성이 문제될 수 있다. 한문교육의 목표와 방향 및 내용에 대해 해당 전공자들의 의견이 일치되기 어렵기에 몇몇 사람의 의견을 바탕으로 한 주관적인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한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평가 영역 설정 및 내용 요소 도출을 위해 사용한 기본적인 준거 및 방법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1)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한문교사 자격 기준

 

한문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평가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문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이다. 이에 대한구체적인 사항은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한문교사 자격기준에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한문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평가에서 평가영역과 평가내용요소는 한문교사의 기본적인 자격 기준을 근거로 하여 도출하였다.

 

 

2) 2004년도 교육부 고시 교원자격검정을 위한 한문과 기본 이수 과목

 

전국 대학에 설치되어 있는 한문교육과, 한문학과의 교육과정은 다양하다. 실제 비슷한 과목이라고 할지라도, 교육되는 내용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교육부에서는 한문교사로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할 내용을 중심으로, 교원자격증을 받기위해 이수해야할 기본 과목을 설정하였다. 한문교사를 선발하는 평가는 기본적으로 이 기본 이수 과목을 기준으로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평가 영역 설정 및 평가 내용 요소 상세화는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3)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과 교육과정 역시 평가 영역 설정 및 평가 영역 상세화의 중요한 기준이 된다. 이때 교육과정은 교육부에서 고시한 7차 교육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지금 현재 사용되는 교육과정 및 앞으로 새롭게 만들어질 교육과정 모두에 능통할 수 있는 교사를 선발해야만 하기 때문에, 교육과정 일반에 대한 이해 및 현재 실행되는 교육과정 모두를 고려하였다.

 

 

4) 대학의 한문교육과 및 한문학과의 교육과정

 

대학의 한문교육과, 한문학과의 교육과정 역시 고려하였다. 비록 기본이수과목에 해당되지 않는 과목이라고 할지라도, 한문교사로서 앞으로의 한문교육에 필요한 능력과 관계되는 것이라면, 기본이수과목과의 관련 하에서 검토할 수 있기 때문이다.

 

 

5) 전국의 모든 한문교육과의 소속 교수 1인 이상 참여

 

한문교사 양성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곳은 사범대학 한문교육과이다. 한문학과의 교직과정과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과정에서 양성되는 한문교사보다 한문교육과에서 양성되는 교사가 월등히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가와 관련하여 보다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전국 사범대학 한문교육과에서 각 1명이상의 교수가 참여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각 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육방법 등을 보다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였다.

 

 

6) 연구위원들의 교차 검토를 통한 객관성 확보

 

개별적인 작업보다는 보다 자주 모여서 토론하는 과정을 거쳤다. 참여 연구원의 전공을 위주로 기본 원고를 작성하고, 이를 다른 연구원 모두가 검토하는 과정을 거쳤다. 특히 총 6회 이상의 전체 회의를 통해 보다 치밀한 검토와 다양한 의견의 수렴 과정을 거쳤다.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