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홍세태 - 만월대가(滿月臺歌) 본문

한시놀이터/조선

홍세태 - 만월대가(滿月臺歌)

건방진방랑자 2021. 4. 13. 14:26
728x90
반응형

개성 만월대에서 읊다

만월대가(滿月臺歌)

 

홍세태(洪世泰)

 

 

滿月臺前落木秋 西風殘照使人愁

山河氣盡姜邯贊 日月名懸鄭夢周 柳下集卷之四

 

 

 

 

해석

滿月臺前落木秋
만월대전락목추
만월대 앞 낙엽지는 가을이라
西風殘照使人愁
서풍잔조사인수
가을바람에 낙조가 사람을 근심케 하네.
山河氣盡姜邯贊
산하기진강감찬
산과 강의 기운엔 강감찬의 기운 사라졌지만
日月名懸鄭夢周
일월명현정몽주
해와 달의 명성엔 정몽주만 걸렸네. 柳下集卷之四

 

 

해설

이 시는 1705년 황해도 옹진군(甕津郡)의 둔전장(屯田長)으로 부임해 가는 길에 개성(開城)의 만월대에 올라 읊은 것이다.

 

낙엽이 지는 가을에 만월대에 올라보니, 가을바람에 지는 낙조가 사람을 근심하게 한다. 근심은 무엇인가? 거란의 침략을 물리쳤던 강감찬 장군의 기상이 사라졌고, 고려와 함께 절의를 지키며 사라져 간 정몽주의 이름만 남아 있다. 옛 고려의 궁궐터인 만월대에서 역사를 회고하며 자신도 이들처럼 나라를 위해 충성을 다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정조(正祖)홍재전서(弘齋全書)』 「일득록(日得錄)에서, “인재란 원래 문벌의 귀천이 없다. 근세의 홍세태(洪世泰)도 위항(委巷) 출신으로 시로써 크게 이름을 날려서 농암(農巖)이나 삼연(三淵)이 칭송하였고, 당시 사람들이 간이의 문장에 비유하기까지 하였다[大抵人材 元無門地貴賤之別 近世洪世泰 亦以委巷之人 大以詩鳴 爲農淵輩所推詡 時人至擬之𥳑易之文].”라 하여, 홍세태의 시()최립(崔岦)의 문장에 비견(比肩)될 정도라 말하고 있다.

원주용, 조선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10, 237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