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백광호ㆍ공민정,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과 실천 - Ⅴ. 나오며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백광호ㆍ공민정,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과 실천 - Ⅴ. 나오며

건방진방랑자 2020. 1. 15. 19:37
728x90
반응형

 . 맺으며

 

 

이상으로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실천을 위해 다른 교과의 연구 성과와 문제중심학습법 이론과 사례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었고, 그룹별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이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 역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앞으로 한문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한 사례가 다양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문제중심학습법을 한문 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문과에 적합한 문제 상황 개발이 중요하므로, 현장 교사의 문제 개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연수가 개최될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강의하면서 예비 교사들이 이론(理論)으로 배운 교수학습 방법을 실제 학교 현장에 나가서 곧바로 활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하였다. 특히, 한문 교사로 임용 후에 어떻게 가르쳐야 학습 효과가 있을지를 고민하는 신임 교사가 많은데, 이들이 학부 교과 교육 강의 시간에 배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현장에서 다양하게 실천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문 교사의 실제 직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상한문교사(豫備漢文敎師)의 현장교수역량(現場敎授力量)을 강화할 수 있는 학부교육과정(學部敎育課程)이 마련되어야 하고, 교사 본연의 업무인 교과활동(敎科活動)을 학부 교육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하며, 전공 내용뿐만 아니라 각 교과에 맞는 교수학습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과정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參考文獻 Reference

 

강인애이현민(2015), 융복합수업모형으로서의 PBL,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511, 한국콘텐츠학회.

교육부(2015), 한문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별책1]).

김태우이상봉(2015), 기술가정과 문제해결활동단원을 위한 PBL 문제 설계, 한국기술교육학회지15, 1-21.

배은숙(2017),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문제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 구11권 제4, 389-420.

백광호(2000), 漢文科에 적용가능한 웹기반수업과 문제중심학습, 한문교육연구15, 한국한문교육학회, 453-470.

백광호(2016), 漢文科에서의 問題中心學習法 硏究, 한문교육연구46, 345-375.

손정우(2015),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을 위한 과학교과서, 교과서연구79,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안종수(2018), 문제중심학습(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사교육연구57권 제1, 30-50.

이승이(2017), ‘PBL-체험을 활용한 시 창작교육 방안, 현대문학이론연구70, 293-316.

최정임(2004), 사례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20권 제1, 37-61. 최정임장경원(2015),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황혜정허난(2016), 수학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융합적 사고력 신장 도모에 관한 의의-역사 소재를 중심으로, 수학 교육 논문집30집 제2, 161-178.

 

 

Abstract

 

 

Theory and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Baek Kwang-ho

Professor, Jeonju Univ. / khbaek@jj.ac.kr(first author)

 

Gong Min Joung

Teacher, Duru middle school / rhdalswjd02@hanmail.net(second auth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other subjects, to explor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to introduce Problem-Based Learning practices in Chinese Class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and to generaliz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vide a way to do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looking for a way to utiliz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Chinese Class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other subjects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 sought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class. In addition, group activities enabled student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ty competence. These resul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urriculum competence emphasized in the Revised 2015 Chinese Classics Curriculum, so I expect that field cas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will be diversified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Key Words Problem-Based Learning, Revised 2015 Chinese Classics Curriculum, Prospective Chinese Classics teacher, Core competence, Problem-solving ability

 

 

논문투고일 20190331
논문심사일 20190502
심사완료일 20190518

 

 

 

 

인용

목차 / 지도

. 들어가며

. 선행 연구 성과

. 연구 내용

. 현장 수업 실천 사례

. 나오며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