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백광호ㆍ공민정,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과 실천 - Ⅱ. 선행 연구 성과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백광호ㆍ공민정,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과 실천 - Ⅱ. 선행 연구 성과

건방진방랑자 2020. 1. 15. 19:36
728x90
반응형

 . 선행 연구 성과

 

 

이제 한문 교과나 타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 선행연구성과(先行硏究成果)를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한문과에 유용한 핵심요소를 추출하고 한문과(漢文科) 교육실습(敎育實習)을 나가는 학생들이 중등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 개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현장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일련의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riss에서 최근 5개년의 PBL 관련 선행 연구 성과를 검색한 결과201935일 검색., 국내 학술지 논문만 1,600여 편이 나왔다.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이 연구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 성과만을 살피고자 한다. 우선 초등학교 관련 연구 성과는 제외하고, 중등학교 수업에 관련된 성과로 제한하겠다. 대학에서의 연구 성과가 무척 많았다. 대학 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학습 효과가 좋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학에서의 성과는 중등학교에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기에 연구 성과에 포함한다.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은 제외한다. 프로젝트기반학습법 이 문제중심학습법과 매우 유사하지만, 일단 논의의 집중을 위해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을 다룬 성과 예를 들면, PBL(Project Based Learning)을 통한 기독교 교양수업 활용방안 연구와 같은 는 제외한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실천 양상을 중점으로 살피고자해서이다. 이상과 같은 조건 아래 살펴본 선행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황혜정·허난(2016)의 연구는 교과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니라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융합적 사고력 탐색을 꾀한 것으로, 역사 교과에 수학 PBL 수업 및 평가 활동을 접목한 사례이다. 타 교과와의 융합을 도모하는 한문 교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데, ‘PBL에서 질 좋은 자료 개발을 위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은 PBL의 조건에 맞는 문제를 개발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황혜정·허난(2016), p.169..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부채꼴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역사속의 주요 인물을 학습한 후 이 둘을 연계하는 수학적 문제 상황은 한문과에서도 충분히 시도해 볼 만하다역사 교과의 소재를 활용한 수업 문제의 (황혜정·허난, p.170) “최근 이순신 장군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우리 반에서는 이순신 장군에 관한 책을 읽고 일주일 후 각자 소감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지기로 했다. 나는 난중일기를 읽었는데 그 중 다음과 같은 임진년 5월의 옥포해전의 학익진에 관한 내용이 가장 인상 깊었다. 내일 옥포해전에 대하여 친구들 앞에서 이야기하고 이순신 장군이 펼친 학익진 전략에 관하여 친구들 에게 자세히 설명해 주려고 한다. (중략) 나는 이순신 장군의 이러한 전략이 수학을 기초로 하여 구현한 전략이라는 것을 친구들에게 알려 주고 싶다. 친구들에게 학익진 전법이 부채꼴과 그 넓이 등을 이용한 수학적 전략이었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해 주는 것이 좋을까?”.

 

백광호(2016)의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한문과 교수ㆍ학습 사례이다. 한문 텍스트를 한문 산문, 한시, 한자, 한자 어휘, 언어생활과 한자문화로 나눈 후, 문제중심학습법에 맞는 각 영역의 문제를 소개한다한문 산문, 주몽 이야기를 학습한 후, 대본으로 구성하기, ‘한시는 한시의 내용과 주제즐 파악한 후, 참신한 시평을 작성해 보기, ‘한자는 한자의 짜임을 학습한 후에 새로운 한자를 개발하기, ‘한자 어휘는 국어사전에 등재할 주제별 새로운 성어를 구안해 보기, ‘언어생활과 한자문화는 한자 어휘로 된 동음이의어를 교육하는 방법 찾기이다..

 

김태우이상봉(2015)의 연구에서는 문제기반학습에서 좋은 문제를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에 따르면 PBL에서 사용하는 문제는 그 목적이 평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에 있음을 알 수 있다김태우이상봉(2015), p.3.. , 한문과에서도 PBL에 맞는 문제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한 사항은 학습을 위한 문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비구조화된 문제, 실제적인 문제, 교육과정을 반영한 문제, 학습자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고려한 문제, 적절한 평가도구를 선정할 수 있는 문제이다.

 

배은숙(2017)의 연구는 과거(過去)의 사실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한문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연구에서는 배낭여행 코스 짜기라는 문제 상황을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고 있는데배은숙(2017), p.403., 실생활과 관련이 있으면서도 해당 교과에서 학습자들이 공부해야 하는 내용을 소재로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을 적시(摘示)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활동 보고서와 학습 보고서를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살피면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하더라도 역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배은숙(2017), pp.406~407. 점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점은 한문과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승이(2017)의 연구는 문학창작실기론이라는 강의에서 체험 중심의 실제 활동을 강화한 문제 중심학습법을 다룬다. 학습자는 연습문제를 학습한 후, 교수자가 지도하는데, 실세 수업 사례를 차후 과제로 남긴 한계가 있다.

 

안종수(2018)의 연구는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다룬다. 학습자 스스로 능동적인 문제 해결자가 된다는 점과 교사는 창의적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조언자의 역할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또한 PBL 수업에 사용할 다양한 문제 중심 학습 자료를 배포한 점, 학년별 평가도구를 보급한 점, PBL 수업에 적합한 교재를 제작하고, 성적이 낮은 학생에 맞는 활동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인용

목차 / 지도

. 들어가며

. 선행 연구 성과

. 연구 내용

. 현장 수업 실천 사례

. 나오며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