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백광호ㆍ공민정 -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과 실천 본문

한문놀이터/논문

백광호ㆍ공민정 -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과 실천

건방진방랑자 2020. 1. 15. 19:35
728x90
반응형

한문과(漢文科)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의 이론(理論)과 실천(實踐)

이 글은 201915() 공주대학교에서 한문과 수업 정교화를 위한 이론과 실천이라는 주제로 열린 한국한자한문 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기획주제로 발표한 글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백 광 호

전주대학교 한문교육과, 부교수(1저자) / khbaek@jj.ac.kr

 

공 민 정

두루중학교, 교사(2저자) / rhdalswjd02@hanmail.net

 

 

국문초록

 

 

이 연구는 타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여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이론화를 모색하고, 중학교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실천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일반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중등학교 한문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이 현장에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명확한 이론으로 정립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타 교과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이라는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자 고심하였다. 그래서 한문과에 맞게 구안한 교수학습 방법을 수업에 적용하고,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는 예비 한문교사들이나 현장 교사들에게 일정 수준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은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그룹별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핵심역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한문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한 사례가 다양해지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문제중심학습법 을 한문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문과에 적합한 문제 상황 개발이 중요하므로, 이 논문을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에 맞는 다양한 문제가 현장 교사에 의해 개발되고 학계에 소개되길 기대한다.

 

주제어: 문제중심학습법,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예비 한문교사, 핵심역량, 문제 해결능력

 

 

. 들어가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별책1]), p.2.. 이를 바탕으로 한문과 교육과정은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를 제고하고 창의 융합적 사고와 바른 인성 등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함량이 가능하도록 개정되었다.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역량 가운데 한문과에서 제시하는 교과 역량은 의사소통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 정보처리 능력, 인성 역량, 심미적 감성이다. 이러한 교과 핵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환경 조성과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 개발이 필요한 시점(時點), 연구자는 문제중심학습법이 한문과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부합된다고 판단하여 관련 연구백광호(2016).를 수행하였다.

 

백광호(2016)에서는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에 대한 연구 성과와 한문과(漢文科) 교육과정(敎育課程)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한문 수업에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여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 법 실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백광호(2016)의 후속 연구라고 할 수 있는 본고는 타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여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이론화를 모색하고, 중학교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수업 사례를 살펴서, 이를 일반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특히 이 연구는 한문과(漢文科) 교육실습(敎育實習)을 나가는 예비 교사들이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설계하고, 이를 중등학교 현장에 있는 실천가가 수정변형하여 실천한다. 먼저, 대학의 연구자는 타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적용 사례를 분석하여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절차, 평가 기준, 유의사항 등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대학의 연구자와 교육 실습을 나가는 예비 교사들이 중학교 한문과에서 적용할만한 문제 상황을 개발하고, 현장 교사는 이를 수업 상황에 적합하게 수정변형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에서 실천한다.

 

 

 

 

. 선행 연구 성과

 

 

이제 한문 교과나 타 교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 선행연구성과(先行硏究成果)를 살펴보겠다. 이를 통해 한문과에 유용한 핵심요소를 추출하고 한문과(漢文科) 교육실습(敎育實習)을 나가는 학생들이 중등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 개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현장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일련의 실천방안을 제시한다.

 

riss에서 최근 5개년의 PBL 관련 선행 연구 성과를 검색한 결과201935일 검색., 국내 학술지 논문만 1,600여 편이 나왔다.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이 연구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 성과만을 살피고자 한다. 우선 초등학교 관련 연구 성과는 제외하고, 중등학교 수업에 관련된 성과로 제한하겠다. 대학에서의 연구 성과가 무척 많았다. 대학 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하는 것이 여러모로 학습 효과가 좋다는 것을 시사한다. 대학에서의 성과는 중등학교에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기에 연구 성과에 포함한다.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은 제외한다. 프로젝트기반학습법 이 문제중심학습법과 매우 유사하지만, 일단 논의의 집중을 위해 프로젝트기반학습법을 다룬 성과 예를 들면, PBL(Project Based Learning)을 통한 기독교 교양수업 활용방안 연구와 같은 는 제외한다.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실천 양상을 중점으로 살피고자해서이다. 이상과 같은 조건 아래 살펴본 선행 연구 성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황혜정·허난(2016)의 연구는 교과 지식의 일방적인 전달이 아니라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융합적 사고력 탐색을 꾀한 것으로, 역사 교과에 수학 PBL 수업 및 평가 활동을 접목한 사례이다. 타 교과와의 융합을 도모하는 한문 교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데, ‘PBL에서 질 좋은 자료 개발을 위해 가장 우선되어야 할 것은 PBL의 조건에 맞는 문제를 개발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황혜정·허난(2016), p.169..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서 부채꼴에 대한 내용을 학습하고, 역사속의 주요 인물을 학습한 후 이 둘을 연계하는 수학적 문제 상황은 한문과에서도 충분히 시도해 볼 만하다역사 교과의 소재를 활용한 수업 문제의 (황혜정·허난, p.170) “최근 이순신 장군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우리 반에서는 이순신 장군에 관한 책을 읽고 일주일 후 각자 소감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지기로 했다. 나는 난중일기를 읽었는데 그 중 다음과 같은 임진년 5월의 옥포해전의 학익진에 관한 내용이 가장 인상 깊었다. 내일 옥포해전에 대하여 친구들 앞에서 이야기하고 이순신 장군이 펼친 학익진 전략에 관하여 친구들 에게 자세히 설명해 주려고 한다. (중략) 나는 이순신 장군의 이러한 전략이 수학을 기초로 하여 구현한 전략이라는 것을 친구들에게 알려 주고 싶다. 친구들에게 학익진 전법이 부채꼴과 그 넓이 등을 이용한 수학적 전략이었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해 주는 것이 좋을까?”.

 

백광호(2016)의 연구는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한문과 교수ㆍ학습 사례이다. 한문 텍스트를 한문 산문, 한시, 한자, 한자 어휘, 언어생활과 한자문화로 나눈 후, 문제중심학습법에 맞는 각 영역의 문제를 소개한다한문 산문, 주몽 이야기를 학습한 후, 대본으로 구성하기, ‘한시는 한시의 내용과 주제즐 파악한 후, 참신한 시평을 작성해 보기, ‘한자는 한자의 짜임을 학습한 후에 새로운 한자를 개발하기, ‘한자 어휘는 국어사전에 등재할 주제별 새로운 성어를 구안해 보기, ‘언어생활과 한자문화는 한자 어휘로 된 동음이의어를 교육하는 방법 찾기이다..

 

김태우이상봉(2015)의 연구에서는 문제기반학습에서 좋은 문제를 설계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이에 따르면 PBL에서 사용하는 문제는 그 목적이 평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학습에 있음을 알 수 있다김태우이상봉(2015), p.3.. , 한문과에서도 PBL에 맞는 문제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주요한 사항은 학습을 위한 문제를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비구조화된 문제, 실제적인 문제, 교육과정을 반영한 문제, 학습자의 흥미와 발달 수준을 고려한 문제, 적절한 평가도구를 선정할 수 있는 문제이다.

 

배은숙(2017)의 연구는 과거(過去)의 사실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한문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연구에서는 배낭여행 코스 짜기라는 문제 상황을 통해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고 있는데배은숙(2017), p.403., 실생활과 관련이 있으면서도 해당 교과에서 학습자들이 공부해야 하는 내용을 소재로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을 적시(摘示)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활동 보고서와 학습 보고서를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살피면서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하더라도 역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역할이 상당히 중요하다배은숙(2017), pp.406~407. 점을 이야기한다. 이러한 점은 한문과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승이(2017)의 연구는 문학창작실기론이라는 강의에서 체험 중심의 실제 활동을 강화한 문제 중심학습법을 다룬다. 학습자는 연습문제를 학습한 후, 교수자가 지도하는데, 실세 수업 사례를 차후 과제로 남긴 한계가 있다.

 

안종수(2018)의 연구는 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다룬다. 학습자 스스로 능동적인 문제 해결자가 된다는 점과 교사는 창의적 문제 해결 경험을 제공하는 조언자의 역할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또한 PBL 수업에 사용할 다양한 문제 중심 학습 자료를 배포한 점, 학년별 평가도구를 보급한 점, PBL 수업에 적합한 교재를 제작하고, 성적이 낮은 학생에 맞는 활동을 유도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다.

 

 

 

 

. 연구 내용

 

 

문제중심학습법의 일반적 절차는 문제 파악과제수행 계획 수립문제해결모색결과 정리발표성찰순으로,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제개발이 매우 중요하 다. 이 연구의 핵심은 한문과(漢文科)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의 이론화(理論化)이고, 효과적인 실천 방안 모색이다. 이 두 가지를 통해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일반화할 수 있는 방안을 구안하는 것이다. , 한문과에 맞는 문제를 개발한 후 절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수업에서 다루는 문제는 교과 지식이나 원리를 적용하는 단순한 문제로, 학습자가 개념이나 원리를 제대로 이해했는지를 점검하는 데에 사용된다. 그러나 문제중심학습법에서의 문제는 하나의 정답으로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해결책이 존재한다. 따라서 한문과(漢文科)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이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한문과에 적합한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제중심수업 문제중심학습
내용 주제/인지적 학습목표중심 비구조화된 실제 예 또는 문제 중심
주체 교수자 학습자, 학습 팀
학습방법 대집단강의개별학습 소그룹 학습협력학습
학급 대그룹 소그룹
교수자 역할 주도적 강의 전달자/지도자 촉진자/협력자
평가내용 학습내용 지식 형성과정 추가
평가방법 필기시험/결과중시/상대평가 태도 관찰/과정 중시

▲ 「1주제중심수업과 문제중심학습

 

 

이에 연구자는 교육실습(敎育實習)을 나가는 학생들(이하 교육 실습생으로 略稱.)에게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한문과 학습 목표에 부합하고 교과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을 설명하고 수업 실천 사례를 소개하고,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할 영역이나 제재를 선정하여 문제개발계획서 초안을 작성하도록 한다.

 

교육 실습생들은 이렇게 완성된 문제를 실제 학교 현장에서 수업 시연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하였지만, 4주 동안의 실습 기간은 문제중심학습법을 진행하기에 매우 부족하였다. 또한, 실습을 나간 4월은 학교 행사와 1차 지필 평가 준비로 인해 수업 결손이 발생하여 문제중심학습법을 실행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연구자와 교육 실습생이 제작한 문제를 현장 실천가에게 전달하여 학교 상황이나 학생 수준에 적합하게 수정변형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고 이에 따른 수업을 진행하는 협조를 구하였다.

 

 

1.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1)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이론

 

문제중심학습법은 학습자들에게 실제적인 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제시하고, 개별 학습과 협동 학습을 통해 공통 해결안을 마련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방법으로 절차는 [그림 1]과 같다최정임장경원(2015), p.23..

 

 

문제제시 학습목표와 연관된 문제
실제적인 문제 상황 제시
 
문제확인 해결 해야 할 문제 확인
해결 방안 모색
 
자료수집 문제해결을 위한 자료와 정보 수집
자기주도적으로 자료 요약 정리
 
문제해결 문제에 대한 재평가 실시
모둠별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해결안 도출
 
결과발표 새로운 지식 적용 결과 발표
 
평가 학습결과 및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

[그림 1] 문제중심학습법의 절차

 

 

문제중심학습법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으로 학습이 시작된다. 이 때 문제해결활동은 학습자 중심으로 진행되며, 교사는 학습자가 문제를 잘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학생 참여 중심 수업과 밀접하다.

 

교사는 학습자에게 한문과(漢文科) 교육목표(敎育目標)에 부합하고 실제 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여 한문과 학습이 현실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고 앞으로의 진로와도 연결될 수 있음을 알게 하여 한문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자발적으로 문제해결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시된 문제 확인은 소그룹별로 진행하는데, 백광호(2016: 350)에 제시된 것처럼 생각, 사실, 학습과제, 실천계획의 네 단계로 문제를 검토한다.

, 첫 번째인 생각은 문제가 무엇을 요구하는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 등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생각을 검토하고,

두 번째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사실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고사성어(故事成語)를 넣어 신문 기사 제목을 만들어야 한다는 문제가 파악되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사실인 신문 기사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 학습과제인데, 앞의 신문 기사로 예를 든다면, 기사 내용이 확인되었다면 문제해결을 위해 관련 고사성어를 조사하는 과제를 수행한다.

네 번째로 실천계획은 문제 해결을 위해 소그룹별로 역할을 분담하고 다음 활동 일정을 계획하는 것이다.

 

네 단계에 걸쳐 문제 확인이 끝나면, 도서 및 인터넷 자료 검색, 전문가(교사)와의 면담 등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다. 개별학습을 통한 자료 수집이 끝나면, 소그룹별로 모여 각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문제해결안을 도출하고, 각 그룹별로 발표한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문제중심학습법(問題中心學習法)을 한문과(漢文科) 수업(授業)에 적용할 수 있는데, 백광호(2016: 354)에서도 밝혔듯이 여러 난점(難點)을 해결해야, 문제중심학습을 제대로 적용할 수 있다. 한문과에서 문제중심 학습법을 토대로 학습자를 지도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문제가 아니라 한문과의 특징을 갖춘 실제적인 문제를 제공한다.

둘째, 모든 학생이 문제를 명확히 이해하고,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개별학습과 협동학습이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셋째,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그룹 내에서 의견을 교환하며 급우들 앞에서 발표를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교과 핵심 역량인 의사소통 능력, 정보처리 능력, 창의적 사고 능력등을 키울 수 있도록 지도한다.

넷째,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중에 한문독해능력신장이라는 한문과의 기본 학습 목표를 기를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한문과에서의 문제예시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기존 한문과 수업에 사용된 문제중심학습법 문제를 검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연구자는 교육 실습생들에게 한문과 영역별 문제사례를 제시하면서 단순한 문제 형태의 과제가 아니라 문제중심학습법의 특징을 골고루 반영한 문제 즉, 개별학습보다는 협동학습을 통해 다양한 해결방안이 모색될 수 있고, 실세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흥미나 경험 수준에 맞는 문제를 제작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제시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백광호(2016), p.356..

 

 

사례 1: 한자의 짜임을 활용한 창작 한자로 지면 광고 기획

 

여러분은 한국 최고의 광고 회사인 한국기획에 이제 막 입사한 인턴사원이다. 국내 잡지의 지면 광고를 주로 담당하는 부서에 배치된 여러분은 이제 막 새로운 광고 기획을 맡은 B팀에 소속되었다. B팀은 이번에 탈모샴푸 회사로부터 동아시아 국가를 대상으로 홍보할 지면 광고를 의뢰 받았다. B팀은 아이디어 회의를 거쳐서 동아시아의 보편 문자인 한자를 이용하여 지면광고를 만들기로 하고, 각자 다음 주까지 새로운 한자를 만들어 와서 아이디어 회의를 진행하기로 하였다. B팀 팀장은 아래와 같은 한자를 보여주면서, 각자 개발할 한자는 이처럼 1차적으로 친숙한 한자를 결합하되, 결합한 글자를 보고 어떤 뜻을 갖고 있는지 쉽게 떠오르면서도 아이디어가 참신 한 글자를 개발하는 것으로 정하였다. 고등학교 때 한자의 짜임을 배우면서 기존의 한자를 활용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드는 회의 원리나 형성 원리를 배운 경험이 있기에, 아이디어가 번뜩이는 한 자를 새롭게 개발할 자신이 있다. 어떤 한자를 새롭게 만들 수 있을지 아래의 예시를 참조하여 작성해 보자.

 


目光
뻔뻔하다() (장님)눈뜨다()
남자와 여자가 함께 걷고 있는데 더 이상 걸을 힘이 없다며 남자가 여자에게 뻔 뻔하게 업어달라고 해서 만들어진 한자. ()이라는 뜻과 ()이라는 음이 만나 장님이 눈을 떴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한자.

 

 

사례 2: 한문 산문을 활용해 드라마 대본 쓰기

 

드라마 주몽45천 평 대지 위 오픈 세트에서 한민족 역사에 얽힌 이야기를 담고자 하였다. 일대일 대결 장면에서 느껴지는 긴장은 영화처럼 잘 계산되었고 대형 전투 장면 스케일 역시 웅장했다. 최완규 작가는 비빌 언덕이 없었다.”며 참고 자료 부족과 고증의 어려움을 토로했다. 제작진은 고대 문헌의 몇 줄 기록이 전부인 고구려 탄생에 대한 이야기를 개연성 있는 상상력으로 채워 넣어 달라고 스타 청소년 프로덕션에 주문하였다. 이 드라마에서 주몽이 자신을 해치려 는 이복형제들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려고 탈출하는 장면을 어떻게 구성하는 것이 좋을지 대본을 작성하시오.

 

사례 3: 한시 칼럼리스트가 되어 시평 쓰기

 

당신은 한시를 전공한 칼럼리스트입니다. 00신문사에서 신문에 실을 5언 절구(偶吟-송한필)에 대한 시평 의뢰가 들어왔습니다. 한시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알기 쉽고 재미있 는 시평을 써야 합니다. 당신이 이해하고 감상한 내용을 어떻게 설명, 서술할 것인지를 고민하여 개성 만점의 시평을 써 봅시다.

 

花開昨夜雨, 花落今朝風 可憐一春事, 往來風雨中

 

사례 4: 한국어 강사가 되어 한자 어휘 지도하기

 

세계 각국에 한국어 가르치는 학교 늘었다4년 새 2배로

자카르타 한복판서 한국어 배우기열풍 일어난 까닭은

수단에서 온 밀짚모자 사나이의 한국어 배우기

 

위의 문장은 인터넷 신문기사의 헤드라인입니다. 이처럼 한국어 배우기 열풍이 불고 있어 많은 외국인들이 현지에서 배우기도 혹은 한국으로 유학을 오기도 합니다. 여러분은 ○○한국어 학당에서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강사입니다. 처음 한국에 와서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5명 을 지도합니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다 배운 상태여서 한글로 표기된 글자는 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읽을 때 발음은 같은데 뜻이 다른 경우, 하나의 글자인데 여러 가지 뜻이 있는 경우를 매우 혼동하며 어려워하는 상황입니다. 외국인들이 힘들어하는 한국어 어휘 익히기. 그 이유는 바로 한자 어휘가 대부분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어떻게 하면 한자 어휘로 된 동음이의어, 다의어를 쉽고 재미있게 가르쳐줄 수 있을까요?

 

 

2. 문제개발계획서 작성

 

교육 실습생들은 앞서 학습한 문제중심학습법의 이론과 사례를 토대로 한문과 수업에 적용하고 변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문제개발계획서를 완성한다. 좋은 문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개발자의 창의성이 요구된다. 신문, 라디오, TV, 인터넷, 서적 등에 약간의 아이디어를 더해 실제적이고 재미있는 문제를 개발할 수 있다.

 

아래의 [그림 2]는 문제를 개발하는 절차로 문제개발계획서에 들어갈 내용이다. 핵심적인 학습목표 및 내용, 학습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 설계, 문제 초안 작성, 문제 완성의 4단계로 절차를 정리할 수 있다.

 

핵심적인 학습목표 및 내용 선택 한문과 학습 목표나 교과 개념, 교과 지식을 선택하고 학습자의 학습 성장에 도움을 주는 과제, 문제 해결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나열해본다
 
학습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 설계 학습내용과 목표를 실제적 맥락과 관련지어 생각한다. 이야기 형식으로 문제를 개발하거나 실생활 속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동기 요소를 부여한다
 
문제 초안 작성 학습과제를 확인할 수 있는 문제 초안을 작성문제 초안 작성 시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면서 제작한다. 학습목표나 학습내용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문제를 어떻게 구조화할 것인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가?, 학습자는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자료를 찾아야 하는가?, 문제를 해결하면 어떤 결과물이 산출되는가?한다
 
문제 완성 문제 초안을 좀 더 구체화하여 최종 문제를 완성한다. 문제를 완성하고 나면 타당한 문제인지 점검최정임(2004)에 제시된 아래와 같은 문제 진단 체크리스트 일부를 활용하여 문제 제작 시 활용하였다. 문제로부터 학습이 시작되는가?, 문제는 학습목표와 관련된 개념과 원리를 다루는가?, 문제해결을 위해 문제를 분석하고 정보를 찾고 계획하는 과정이 필요한가?, 논쟁이나 토론의 여지가 있는가?, 실제로 가능한 사례인가?, 문제해결에 활동되는 자료가 현실적인가?, 학습자의 수준에 적절한가?, 협동이 필요한 문제인가?한다.

[그림 2] 문제 개발 절차

 

 

교육 실습생들은 이와 같은 문제 개발 절차에 따라 고사성어영역에 관련된 문제를 제작한다.

 

PBL 문제 제작 1-고사성어를 활용한 공익 광고 콘티 제작

 

여러분은 공익광고를 전담하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계약직 인턴이다. 어느 날 회사 게시판에서 학교 폭력을 주제로 한 광고 스토리보드(=콘티)에 대한 팀별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한다는 공고문을 보게 된다. 공고문에 따르면, 공모전을 1등으로 입상하는 팀은 상금과 정규직 전환으로 팀원 전체를 특별 채용한다. 평소 학교 폭력에 관심이 많던 동기들은 뜻을 모아 함께 도전해보기로 한다. 공고문에 제시된 공고문의 구체적인 가이드는 다음과 같다.

1. 제목: 2019 인턴십 아이디어 공모전

2. 주최: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광고과

3. 대상: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인턴 과정에 있는 구성원

4. 공모 내용: 고사성어를 활용한 학교폭력예방 방송 스토리 보드(콘티)

5. 스토리보드(콘티) 설계의 주안점

- 반드시 고사성어를 사용하여 주제를 강하게 드러낼 것.

- 漢字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것.

- 학교폭력의 심각성과 예방의 필요성을 부각시킬 것.

6. 유의사항

- 제출 기한: 2주일 이내이며, 일반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

 

 

가설/해결안
(Idea)
이미 아는 사실
(Facts)
학습과제
(Learning Issues)
실천계획
(Action Plan)
- 학교폭력의 개념과 종류에 대한 주요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한다.
- 학교폭력 관련된 고사성어 자료를 수집/분석한다.
- 학교폭력의 실태와 사례, 학교폭력의 예방을 기대
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분석한다
-고사성어를 사용하여 주제를 강하게 드러내야 한다.
-학교폭력의 심각성과 예방의 필요성을 부각시켜야 한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자 풀이와 의미를 내용에 포함 시켜야 한다.
-학교 폭력 예방에 적용될 속뜻과 겉뜻, 유래가 명확한 다양한 고사성어
-학교 폭력이 일어나는 실제 상황을 사례별 정리
-광고 콘티 작성방법
해결안을 찾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
-더 알아야 할 내용 자료 조사 및 분석을 위한 자료별 조사자 분류
-조사한 내용 논의, 필요한 아이디어 선별 및 구체화, 부족한 자료 논의
역할분담
-조장: 과제 수행계획서 작성 책임, 최종 문제해결안 (공익광고 초안) 발표
-팀원: 채택된 해결안 자료 수집 및 조사 내용 분석정리, 발표 자료 작성
-개인: 자기성찰 보고서 작성
일정 : 3(문제 해결:1~2주차, 해결안 발표: 3주차)

2공익 광고 콘티문제 확인 절차

 

 

PBL 문제 제작 2- 고사성어를 활용하여 신문 기사 쓰기

 

 

여러분은 한문을 전공하였으며 지금은 ○○신문사의 ●●부서에 재직 중인 기자이다. ○○신문사의 사장이 ●●부의 개성이 잘 드러나되 간명하면서도 독자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헤드라인과 뉴스 기사를 작성할 것을 요구한다. (●●부는 사회부, 연예부, 스포츠부 등 선택 가능)

어떻게 하면 간명하고 생생하게 독자들의 이목을 끌어서 기사를 전달할 수 있을 지에 대하여 생각하면서 조장(助長), 화사첨족(畫蛇添足), 각주구검(刻舟求劍)’을 활용하여 기사를 작성하시오.

 

 

 

 

. 현장 수업 실천 사례

 

 

이제 교육 실습생들이 제작한 문제를 현장 실천가가 학교 실정에 맞게 수정변형하여 현장 수업에 실적한 사례를 소개해 보겠다. 이 수업은 2개월(3~4)간 진행되었는데, 교육 실습생들이 교육 실습을 나가는 4월에 맞춰 문제를 제작하였기 때문에 문제 범위가 한자, 어휘, 성어로 제한적임을 밝힌다.

 

중학교 한문(미래엔) 교과서의 단원 가운데 의뢰받은 문제를 적용할만한 단원을 선정하고,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901-01]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한다. / [903-01] 한자로 이루어진 일상용어를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 / [903-03]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과 교과 역량의사소통 능력은 한자와 한문 자료 및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한자 어휘를 활용하여 생각과 감정 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하며 소통하는 능력이다. / 정보처리 능력은 한자와 한문 자료 및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한자 어휘 자료에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분석하 여 그 의미를 평가선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활용하는 능력이다. / 창의적 사고 능력은 한자와 한문 자료에 담겨 있는 다양한 영역의 폭넓은 지식과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해내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다.을 구현할 수 있는 문제로 수정변형하였다. 적용 대상은 한문 과목을 처음 접하는 중학교 1학년 학생 24명이다. 학습자들이 문제중심학습법 환경에서 해결 활동을 제대로 하기 위해, 문제중심학습법을 시작하기 전에 문제중심학습법이 무엇이고 어떤 단원과 영역을 배울 때 적용되는지 등에 대한 전반적인 안내를 간략하게 하였다.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에게 안내한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 관련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제중심학습법의 정의: 한문교과와 관련한 실제적인 문제를 보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습자들이 함께 협동하여 해결책을 마련하는 수업 방법이다.
문제중심학습법의 특징: ‘문제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와 자료는 학습자 주도적으로 수집한다.
문제 확인 절차: 생각(문제에 대한 이해)사실(문제 해결과 관련한 사실 확인)학습과제(문제 해결을 위해 학습해야 할 내용 선정)실천계획(문제 해결을 위해 계획 수립)4단계
문제중심학습법의 효과: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등을 기를 수 있다.

 

 

1. ‘한문의 이해영역 한자와 어휘교수학습 사례

 

다음은 한문의 이해영역의 한자(漢字)와 어휘(語彙)를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사례이다. 제재는 교과서의 첫 대단원인 . 한자의 첫걸음이다. 이 수업의 학습목표는 한자의 3요소인 모양뜻을 구별할 수 있다.’이다. 한자는 표음문자(表音文字)인 한글과 달리 하나의 글자가 어떤 뜻을 나타낼 뿐 아니라 그 뜻에 해당하는 소리까지도 나타내는 표의문자(表意文字)이다. 따라서 처음 한자를 배울 때는 한자의 3요소를 동시에 정확하게 익혀야 하고, 익힌 한자를 실생활에 활용해보면서 한자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기를 수 있는 활동 문제가 필요하다. 이에 교육 실습생들이 만든 고사성어를 활용한 공익 광고 콘티 제작문제를 한자의 3요소로 수정하였다.

 

대단원명 . 한자의 첫걸음 장소 및 대상 1-교실, 1-학생
소단원명 1. 반갑다, 한문 차시 2/3, 3/3차시(블록타임 90)
학습 목표 한자의 모양뜻을 구별할 수 있다.
수업모형형태 문제중심학습법 PBL 훈련기능-내용 학습기능 훈련 - 데이터분석, 구성
학습 자료 과제해결보조학습자료 사고력 훈련 - 창의력
학습단계 활동내용 시간
배움열기 전시학습확인 중국에서 만들어져 오늘날까지 여러 나라에서 쓰이는 문자인 한자는 모양뜻의 3요소로 구성된 표의문자이다. 한자를 배우려면 글자의 모양뜻을 동시에 익혀야한다 5
동기유발 한자를 활용한 광고 영상https://tv.naver.com/v/5563072 / ‘을 반복적으로 강조하면서 건강한 공기를 먹는다는 의미의 광고을 보여준다.
목표제시 한자의 3요소(모양)를 구별해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배움활동 문제제시 여러분은 공익광고를 전담하는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계약직 인턴이다. 어느 날 회사 게시판에서 학교 폭력을 주제로 한 광고 스토리보드(=콘티)에 대한 팀별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한다는 공고문을 보게 된다. 공고문에 따르면, 공모전을 1등으로 입상하는 팀은 상금과 정규직 전환으로 팀원 전체를 특별 채용한다. 평소 학교 폭력에 관심이 많던 동기들은 뜻을 모아 함께 도전해보기로 한다. 공고문에 제시된 공고문의 구체적인 가이드는 다음과 같다.
공모 내용: 한자를 활용한 학교폭력예방 공익광고
유의사항: 반드시 한자를 활용하여 학교폭력예방의 필요성을 강조한 1분 이내의 영상 제작
5
학습내용추론 (수업 소개) 교사는 학교폭력예방교육시간에 학습자들이 제작한 공익광고를 공유할 예정임을 공지한다.
(가정) 학생들은 광고인이 되어 학교폭력예방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어떤 한자를 선택하여 창의적인 영상으로 표현할지 스토리보드를 제작한다.
(사실) 학생들은 부여된 문제 해결을 위해 인터넷 등 다양한 과제 해결 보조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공익광고영상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정리한다.
(학습할 내용) 학교폭력예방의 필요성을 주제로 한 공익광고영상 제작에 필요한 한자의 3요소를 조사하면서 다양한 한자를 학습하고 한자를 활용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한다
70
개별학습-소그룹활동
정리 결과물 발표ㆍ평가 모둠별로 제작한 공익광고영상을 함께 감상하면서 문제해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창의력 발휘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등을 평가한다.(자기평가, 동료평가)
한자 학습을 통해 우리말을 바르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고 풍요로운 언어생활을 할 수 있음을 생각해보도록 한다.
10

3한문의 이해/한자의 3요소’ PBL 교수학습 과정안

 

훈련 기능 내용 훈련 기능 내용
사고력 훈련 창의력 연구기능 훈련 도서관 기술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력
커뮤니티 자원
비판적, 논리적 사고력
 
학습기능 훈련
듣기, 관찰, 지각하기  
의사소통 훈련
서면
언어
읽기, 필기, 요약
면담, 조사
시각
데이터분석, 구성

<4> PBL에서의 훈련 기능

 

 

교사는 그룹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학습자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문제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각 그룹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활동을 시작한다. 학습자들은 문제를 확인하고 학습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역할을 분담한다. 그리고 그룹별로 한 명의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여 공익광고 영상을 제작한다. 이때 교사는 간단한 영상 편집 도구(application)를 안내하여 학습자가 영상 편집에 대한 부담감을 갖지 않도록 한다.

 

학습자들은 먼저 학교폭력예방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어떤 내용을 강조할 것인지 토의하여 공익광고 주제를 정한다. 정해진 주제에 따라 스토리 보드를 작성하는데, 영상 중간에 삽입할 漢字도 검색해 정리한다. 스토리 보드가 완성되면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면서 관련 한자를 삽입한다. 수업 결과, 학습자들은 한자의 3요소를 학교폭력예방의 필요성이라는 주제와 연관지어 다양한 한자를 자기 주도적으로 찾아 학습하였다. 그리고 주제를 좀 더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는 한자를 찾기 위해 인터넷 한자 사전 등을 스스로 검색하였다.

 

이 수업을 시도하고자 하는 교사는 다양한 주제를 제시하고 거기에서 하나의 주제를 골라 공익광고를 제작한다면 더욱 효과적인 한자 학습을 끌어낼 수 있다. “수업 시간에 배운 한자의 3요소를 공익광고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했고, 앞으로 더욱 열심히 한자를 배워 실생활에 활용해야겠다.”고 한 어느 학생의 소감(所感)을 통해 이러한 문제 해결 활동이 한자학습동기(漢字學習動機)를 유발했음을 알 수 있다.

 

 

2. ‘한문의 활용영역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성어)’ 교수학습 사례

 

다음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한문의 활용영역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에서 성어(成語)를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교수학습 사례이다. 교육 실습생이 제시한 고사성어를 넣어 신문 기사 쓰기문제는 중학교 학생들에게는 다소 어렵다. 중학교에 입학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기사문 작성 방법을 잘 모르고, 긴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현장 실천가는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한다.’를 학습목표로 하여, ‘신문 기사 내용을 읽고, 성어를 넣어 기사 제목 짓기로 문제 상황을 수정한다. 활동 취지가 성어의 특징과 속뜻을 이해하는 데에 있으므로, 기사문의 내용을 읽고 이를 포괄할 수 있는 성어를 찾아 기사문 제목을 만들어보는 활동이 더 효과적이라 판단된다.

 

대단원명 . 이야기와 성어 장소 및 대상 1-교실, 1-학생
소단원명 10. 이야기가 있는 성어 차시 9/10, 10/10차시(블록타임 90)
학습 목표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수업모형형태 문제중심학습법 PBL 훈련기능-내용 사고력 훈련 - 비판적, 논리적 사고력
학습 자료 과제해결보조학습자료 연구기능 훈련 - 도서관 기술
학습단계 활동내용 시간
배움열기 전시학습확인 생활 속에 자주 쓰이는 성어와 유래가 있는 성어를 확인하여 성어의 특징을 이해하고 함축적인 뜻을
담고 있어 성어를 일상생활에 잘 활용하면 풍부한 언어생활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5
동기유발 제목에 成語가 들어간 인터넷 기사를 찾아 함께 읽고 성어를 왜 사용했는지, 사용했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본다http://sports.mk.co.kr/view.php?year=2018&no=643543 (8100억 기부수년간 이어온 言行一致의 삶).
목표제시 한자로 이루어진 성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맥락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배움활동 문제제시 여러분은 한문을 전공하였으며 지금은 ○○신문사의 ●●부서에 재직 중인 기자이다. ○○신문사의 사장으로부터 ●●부의 개성이 잘 드러나되 간명하면서도 독자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뉴스기사의 헤드라인을 작성할 것을 요구받았다. (●●부는 사회부, 연예부, 스포츠부 등 선택 가능) 이에 기사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成語를 넣어 간명하고 생생하게 독자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헤드라인(기사 제목)을 작성해보자 5
학습내용추론 (수업 소개) 교사는 기사문을 읽고 기사문의 내용과 주제를 대표할 수 있는 헤드라인을 뽑는 연습을 통해 독해 능력을 기를 수 있고 다양한 성어의 의미와 활용을 이해할 수 있어 국어능력과 어휘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안내한다.
(가정) 학생들은 신문 기자가 되어 자신이 맡은 기사문을 읽고 독자들의 이목을 끌 수 있는 간명하고 생생한 기사 제목을 成語로 작성한다.
(사실) 학생들은 문제 해결을 위해 인터넷 등 다양한 과제 해결 보조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기사 제목에 필요한 성어 자료를 수집정리한다.
(학습할 내용) 기사 제목 작성에 필요한 성어를 조사하면서 다양한 성어를 학습하고 성어를 활용해 기사의 내용과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한다
70
개별학습-소그룹활동
정리 결과물 발표ㆍ평가 모둠별로 제작한 기사 제목을 함께 읽으면서 문제해결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비판력논리력이 충분히 발휘되었는지 등을 평가한다.(자기평가, 동료평가)
한자 학습을 통해 한자 어휘(성어)의 뜻을 명확하게 알아서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10

5한문의 활용/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성어)’ PBL 교수학습 과정안

 

 

학습자들은 사자성어와 고사성어의 차이를 알고 우정, 신중한 말, 유래가 있는 성어 등 수업 시간에 학습한 성어의 겉뜻과 속뜻을 정리한다. 그리고 각자 맡은 영역과 관련된 신문 기사를 인터넷 검색으로 찾아 읽고, 내용에 맞는 성어를 수집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활용한 검색이나 도서관에서 성어 관련 도서를 찾아 읽고 자신의 신문 기사 내용에 맞는 성어를 수집정리한다. 수집정리된 성어를 활용해 기사 제목을 정한 후, 자신이 찾은 신문 기사와 함께 손 글씨로 적는다. 손으로 쓰면서 다시 한 번 신문 기사를 읽고 그 내용에 맞는 제목을 뽑았는지 되새긴다. 이와 같이 개인별 자료 정리를 마치면 그룹별로 돌려 읽고 내용과 주제에 맞게 성어를 넣었는지 확인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의 신문 기사를 충분히 검색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고, 학생들은 신문 기사를 읽고 내용을 파악한 후 관련 성어를 찾아 기사 제목을 작성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교과서에 나온 성어 이외의 다양한 성어를 스스로 찾아 읽어볼 수 있고, 신문 기사와 그에 맞는 제목을 떠올리는 과정을 통해 비판력과 논리력을 기를 수 있다. 6은 성어를 넣어 만든 신문 기사 제목이다.

 

(연예부) 서로 愛之重之하는 것으로 밝혀져https://www.insight.co.kr/news/221301. AOA 혜정, 핑크빛 열애 인정.
AOA 혜정이 6살 어린 배우 류의현과 열애를 인정했다. 8일 소속사 FNC 엔터테인먼트 측은 혜정(27)이 류의현(21)과 사랑하는 사이가 맞다고 조심스럽게 공식 입장을 밝혔다.
愛之重之의 뜻 :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모양
(사회부) 전국 미세먼지 來者可追
서울시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당장 7월부터 서울 사대문 안에선 노후 경유차 운행이 제한되는데요. 생활 도로와 주택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대책도 내놨습니다. (중략) 7월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는 계획입니다.
來者可追의 뜻 : 지나간 일은 어찌할 도리가 없지만 장차 다가올 일은 조심하여 이전과 같은 과실을 범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경제부) 치킨 팝 3년 만에 다시 나오며 乘勝長驅http://www.newsis.com/view/?id=NISX20190410_0000615854&cID=13001&pID=13000. 재출시 과자 오리온 치킨 팝, 7주 새 300만개 판매.
오리온은 지난 2월에 재출시된 과자 '치킨 팝'이 재출시 이후 7주 만에 누적판매량 300만개를 돌파했다고 10일 밝혔다. (중략) 소비자들의 출시 요청을 감안해 최근 재출시됐다. 재출시된 치킨 팝은 판매량이 급증하면서 월 매출액도 이전 생산 당시 대비 2.5배 이상 늘었고 물량 부족을 겪으면서 한 달 전부터 생산라인을 풀가동하고 있다는 게 오리온의 설명이다.
乘勝長驅의 뜻 : 싸움에서 이긴 기세를 타고 계속 적을 몰아침

6성어를 넣어 만든 신문 기사 제목

 

 

3. ‘한문의 활용영역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일상용어)’ 교수학습 사례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문의 활용영역에서 한자 어휘와 언어생활(일상용어) 관련 내용은 매 단원마다 제시되어 있어, ‘한자 어휘 사전 만들기수행 평가를 계획하였다. 이에 교육 실습생이 개발한 문제 가운데 한자 어휘 관련 평가로 활용할 수 있는 문제를 과정 중심 수행평가로 확장해 진행한다.

 

요즘 많은 청소년들이 욕설, 은어, 비속어 등 올바르지 않은 언어를 사용하고 있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한자 학습을 통하여 개념적추상적 의미나 심오한 사상을 배경으로 하는 한자 어휘의 뜻을 명확하게 알고 이를 올바른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의 문제 상황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문제 상황
여러분은 청소년 언어 지킴이로 활동하는 자원 봉사자이다. 퇴근길 버스 안에서 우연히 청소년들의 대화를 엿듣게 되었다.
 
학생A : 오늘 담탱이담임선생님가 남아공남아서 공부하다 하라고 해서 완전 무지개 매너무지+개 매너의 합성어로, 매우 매너가 없다는 말 아님?
학생B : 복세편살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우리 신세.
 
도대체 무슨 말을 하는 건지 알 수가 없었고 욕설처럼 들려 듣기에 불편함을 느꼈다. 이런 사회적 현실을 어떻게 하면 바꿀 수 있을까 고민하다가 봉사자들끼리 모여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언어습관을 갖게 하고 기성세대와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청소년 어휘 사전을 만들기로 하였다. 청소년들이 즐겨 쓰는 말인 깜놀, 생선, 답정너등을 한자 어휘로 바꿔 설명한 청소년 어휘 사전을 제작해보자.

 

수행평가 명칭은 청소년 어휘 사전 만들기이고, 평가 목표는 언어생활에 사용된 한자 어휘를 이해하고 뜻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이다. 이 활동을 통해 문제중심학습법에서의 훈련 기능 중 사고력 훈련-문제해결 및 의사결정력, 연구기능 훈련-커뮤니티 자원, 학습기능 훈련-데이터분석, 구성, 의사소통 훈련-언어를 기를 수 있다.

 

학습자들은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여러 어휘들을 각자 수집정리하고 字典, 국어사전을 활용하여 한자 어휘로 바꾼다. 그리고 각자 정리한 자료를 가지고 그룹별 토의 활동을 통해 중복된 어휘가 없도록 하고, 현재 청소년들이 사용하는 어휘의 의미를 한자 어휘로 적절하게 바꾸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한다. 다양한 상호 의견을 교환하고 어휘와 관련한 사진도 첨부하여 한 권의 청소년 어휘 사전이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림 3]은 학습자들이 만든 청소년 어휘 사전의 일부이다.

 

[그림 3] 청소년 어휘 사전

 

 

학습자들은 청소년이 흔히 사용하는 어휘를 먼저 쓰고 어떻게 사용되는지 예문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를 한자 어휘로 바꾸고 한자 어휘가 들어간 문장 예시를 작성한다[그림 3]에 제시된 어휘 수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덕후: 한 분야에 몰두해 있는 마니아 전문가(專門家) / 일코: 일반인인 것처럼 분장하는 것 일반인 변장(一般人 變裝) / 병맛: 맥락이 없고 어이없는 느낌 맥락상실(脈絡喪失) / 열폭: 열등감 폭발의 준말 열등감 분출(劣等感 噴出). 그리고 어휘 사전을 읽는 사람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그림을 오려 넣는다.

 

 

 

 

. 맺으며

 

 

이상으로 한문과에서의 문제중심학습법 실천을 위해 다른 교과의 연구 성과와 문제중심학습법 이론과 사례를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문과 문제중심학습법 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었고, 그룹별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과 공동체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이는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교과 역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앞으로 한문과 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법을 활용한 사례가 다양해지기를 기대한다. 또한, 문제중심학습법을 한문 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문과에 적합한 문제 상황 개발이 중요하므로, 현장 교사의 문제 개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연수가 개최될 필요가 있다.

 

연구자는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강의하면서 예비 교사들이 이론(理論)으로 배운 교수학습 방법을 실제 학교 현장에 나가서 곧바로 활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주 하였다. 특히, 한문 교사로 임용 후에 어떻게 가르쳐야 학습 효과가 있을지를 고민하는 신임 교사가 많은데, 이들이 학부 교과 교육 강의 시간에 배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현장에서 다양하게 실천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한문 교사의 실제 직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상한문교사(豫備漢文敎師)의 현장교수역량(現場敎授力量)을 강화할 수 있는 학부교육과정(學部敎育課程)이 마련되어야 하고, 교사 본연의 업무인 교과활동(敎科活動)을 학부 교육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하며, 전공 내용뿐만 아니라 각 교과에 맞는 교수학습 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과정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參考文獻 Reference

 

강인애이현민(2015), 융복합수업모형으로서의 PBL,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1511, 한국콘텐츠학회.

교육부(2015), 한문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별책1]).

김태우이상봉(2015), 기술가정과 문제해결활동단원을 위한 PBL 문제 설계, 한국기술교육학회지15, 1-21.

배은숙(2017), 역사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의 문제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교양교육연 구11권 제4, 389-420.

백광호(2000), 漢文科에 적용가능한 웹기반수업과 문제중심학습, 한문교육연구15, 한국한문교육학회, 453-470.

백광호(2016), 漢文科에서의 問題中心學習法 硏究, 한문교육연구46, 345-375.

손정우(2015), 자기 주도적 학습 지원을 위한 과학교과서, 교과서연구79, 한국교과서연구재단.

안종수(2018), 문제중심학습(PBL) 모형을 활용한 수업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사교육연구57권 제1, 30-50.

이승이(2017), ‘PBL-체험을 활용한 시 창작교육 방안, 현대문학이론연구70, 293-316.

최정임(2004), 사례분석을 통한 PBL의 문제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20권 제1, 37-61. 최정임장경원(2015),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황혜정허난(2016), 수학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융합적 사고력 신장 도모에 관한 의의-역사 소재를 중심으로, 수학 교육 논문집30집 제2, 161-178.

 

 

Abstract

 

 

Theory and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Baek Kwang-ho

Professor, Jeonju Univ. / khbaek@jj.ac.kr(first author)

 

Gong Min Joung

Teacher, Duru middle school / rhdalswjd02@hanmail.net(second auth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other subjects, to explor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to introduce Problem-Based Learning practices in Chinese Class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and to generaliz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vide a way to do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looking for a way to utiliz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n Chinese Classics class in the middle school.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other subjects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I sought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As a result of the study, learners were able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inese Classics class. In addition, group activities enabled student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community competence. These resul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urriculum competence emphasized in the Revised 2015 Chinese Classics Curriculum, so I expect that field cases us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will be diversified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Key Words Problem-Based Learning, Revised 2015 Chinese Classics Curriculum, Prospective Chinese Classics teacher, Core competence, Problem-solving ability

 

 

논문투고일 20190331
논문심사일 20190502
심사완료일 20190518

 

 

 

 

인용

목차 / 지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