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황주염곡(黃州艶曲) - 2. 본문

한시놀이터/서사한시

황주염곡(黃州艶曲) - 2.

건방진방랑자 2021. 8. 17. 17:32
728x90
반응형

5

 

夜登太虛樓 潛邀好門子 밤에 태허루[각주:1]에 올래 몰래 좋은 집안 사내 만나려니
却有上尊來 誰人敎至此 도리어 상존이란 아전이 오니 누가 시켜 여기에 이르게 했는가?

 

許穎陽使本國, 改廣遠樓. 名曰太虛樓也.

허영양은 우리나라에 사신 와서 광원루(廣遠樓)를 개칭하여 태허루(太虛樓)를 이름 붙였다.

 

上尊, 卽戶長吏名也.

상존이란 곧 아전 우두머리의 이름이다.

 

 

6

 

璀璨成都錦 花間蛺蝶飛 찬란하디 찬란한 성도의 비단, 그리고 꽃 사이로 나비 나네.
與儂償一宿 裁作舞時衣 나와의 하룻밤 보상으로 준 것이니, 춤출 당시의 옷 제작했네.

 

 

7

 

節使年年返 逢郞意更長 사신은 해마다 돌아오지만 낭군 만난 뜻은 더욱 길기만 하네.
若無平壤妓 紈素可盈箱 만약 평양의 기생이 없었다면 흰 비단이 상자에 가득했을 텐데.

 

 

8

 

半夜踰窓入 黃紬濃宿香 야밤에 창을 넘어 들어가니 노란명주에 묵는 향기 무르익었네.
勸君莫打鴨 打鴨驚鴛鴦 그대에게 권하니 기러기 때리지 마셔요. 기러기 때리면 원앙 놀라리니.惺所覆瓿稿卷之一

 

 

 

 

인용

전문

해설

 

 
  1. 태허루(太虛樓): 황주의 대표 누각 가운데 하나다.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입연기(入燕記)』 1778년 3월 24일 기사에 따르면, 편액은 명나라 사신 난우(蘭嵎) 주지번(朱之蕃)이 썼으며 청나라 사신인 아극돈(阿克敦)과 전희공(錢希孔) 등의 시판(詩版)도 걸려 있었다고 한다. 그 풍광이 아름다울 뿐 아니라 이러한 역사적 연원으로 말미암아 북경으로 가는 많은 사신들이 이곳에 올라 감회를 노래했다.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