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집의 불빛에 책을 읽으러 벽을 뚫은 광형
광형착벽(匡衡鑿壁)
前漢匡衡字稚圭, 東海承人. 父世農夫. 至衡好學, 家貧庸作以供資用, 尤精力過絶人. 諸儒爲之語曰: “無說詩, 匡鼎來. 匡說詩, 解人頤.” 射策甲科, 元帝時爲丞相.
『西京雜記』曰: “衡勤學無燭. 隣舍有燭而不逮, 衡乃穿壁, 引其光而讀之. 邑大姓文不識名家富多書. 衡乃與其客作, 而不求償, 願得書遍讀之. 主人感歎, 資給以書, 遂成大學.”
해석
前漢匡衡字稚圭, 東海承人.
전한의 광형의 자는 치규(稚圭)로, 동해(東海)의 승(承) 사람이다.
父世農夫. 至衡好學, 家貧庸作以供資用, 尤精力過絶人.
대대로 농부였지만 광형이 호학하기에 이르러 집이 가난했지만 품팔이를 해서 생활비[資用]를 마련했고 더욱 힘을 정밀히 해서 남다름이 넘어섰다.
諸儒爲之語曰: “無說詩, 匡鼎來. 匡說詩, 解人頤.”
모든 유학자들이 그를 위하여 “시를 말하지 마시게. 광형이 바로 오리라. 광형이 시를 말하면 사람들의 턱이 벌어지리.”라고 말했다.
射策甲科, 元帝時爲丞相.
사책(射策)【사책(射策): 책(策)은 죽간(竹簡)을 말한다. 당시에는 종이가 발명되지 않아 대나무 조각이나 나무 조각에 글씨를 새겨서 사용했다. 그래서 크고 작은 죽간에 문제를 새겨 평가하는 방식인데 큰 죽간에는 어려운 문제를 새겨서 갑과(甲科)라고 했고, 작은 죽간에는 비교적 쉬운 문제를 새겨서 을과(乙科)라고 했다】에서 갑과를 하였고 원제 때에 승상이 되었다.
『西京雜記』曰:
『서경잡기(西京雜記)』에 아래 내용이 실려 있다.
“衡勤學無燭. 隣舍有燭而不逮, 衡乃穿壁, 引其光而讀之.
“광형은 부지런히 배웠지만 촛불이 없었고 이웃집엔 촛불이 있더라도 이르지 않아 광형은 곧바로 벽을 뚫고 불빛을 끌어다가 책을 읽었다.
邑大姓文不識名家富多書.
읍에 유지인 문부식이란 이의 집은 부유하고 많은 책이 있었다.
衡乃與其客作, 而不求償, 願得書遍讀之.
광형은 곧 품팔이를 하여 값을 받지 않고 책을 얻어 두루 읽길 원했다.
主人感歎, 資給以書, 遂成大學.”
주인이 감탄하며 급여로 책을 빌려주니 마침내 큰 배움을 이루었다.”
인용
'고전 > 몽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구 - 11. 질도창응(郅都蒼鷹) (0) | 2020.09.30 |
---|---|
몽구 - 10. 손경폐호(孫敬閉戶) (0) | 2020.09.30 |
몽구 - 8. 왕도공충(王導公忠) (0) | 2020.09.30 |
몽구 - 7. 사안고결(謝安高潔) (0) | 2020.09.30 |
몽구 - 6. 정관역동(丁寬易東) (0) | 2020.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