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소학, 명륜, 부자지친 - 1. 아침에 일어나 부모를 봉양하는 방법 본문

고전/소학

소학, 명륜, 부자지친 - 1. 아침에 일어나 부모를 봉양하는 방법

건방진방랑자 2019. 4. 3. 11:49
728x90
반응형

 1. 아침에 일어나 부모를 봉양하는 방법

 

 

內則: “子事父母, 鷄初鳴, 咸盥漱,

陳氏曰: “, 洗手也, , 漱口也.

 

櫛縰笄總, 拂髦冠緌纓,

, 梳也. , 韜髮作䯻者, 黑繒爲之. , 簪也. , 束髮飾䯻者, 亦繒爲之. 拂髦, 謂拂去髦上之塵. 緌者, 纓之餘, 纓者, 冠之系.

 

韠紳, 搢笏,

, 玄端服也, , 蔽膝也. , 大帶也, , 挿也, 挿笏於大帶, 所以記事也.

 

左右佩用, 偪屨著綦.

左右佩用, 謂身之兩旁, 佩紛帨玞捍之類, 以備用也. , 邪幅也, 纏足至膝者. , 鞋也. , 猶結也, , 鞋口帶也. 在首則櫛髮加縰加笄加總加髦著冠結纓垂緌, 在身則服玄端著韠加紳搢笏佩用, 在足則縳偪納屨著綦, 各以次第施之.”

劉氏曰: “, 謂子生三月, 則剪其胎髮爲鬌, 帶之于首, 男左女右, 逮其冠笄也, 則綵飾之, 加于冠, 不忘父母生育之恩也, 父母喪則去之.”

司馬溫公曰: “孫事祖父母同.”

 

婦事舅姑, 如事父母, 鷄初鳴, 咸盥漱, 櫛縰笄總, 衣紳, 左右佩用, 衿纓綦屨.

陳氏曰: “夫之父曰舅, 夫之母曰姑. 衣紳者, 著衣而加紳也, 佩用, 紛帨箴管之類. , 結也, , 香囊也, 恐身有穢氣, 觸尊者. 故佩之.

 

以適父母舅故之所, 及所, 下氣怡聲,

, 往也, , 寢室也. 下氣, 低下其氣而不盈也, 怡聲, 怡悅其聲而不厲也.

 

問衣燠寒, 疾痛苛癢, 而敬抑搔之,

, 熱也, 問衣若燠, 則將减之, 使凊也, , 冷也, 問衣若寒, 則將加之, 使溫也. , 疥也. , 按也, , 爬也. 疾痛則敬而按之, 苛癢則敬而爬之,

 

出入則或先或後, 而敬扶持之.

出入則或先或後, 以扶持之, 皆不離於敬也.” 劉氏曰: “皆所以撫恤衰病, 而一出於敬也.”

 

進盥, 少者, 奉槃; 長者, 奉水, 請沃盥, 盥卒授巾.

, 承盥水者, , 注水而盥也. , 進也, , 拭手者.

 

問所欲而敬進之, 柔色以溫之, 父母舅姑必嘗之而後, 退.

所欲, 意之所欲食者. 陳氏曰: “, 承籍之義, 謂以和柔之顔色, 承籍尊者之意.”

 

男女未冠笄者鷄初鳴, 咸盥漱, 櫛縰, 拂髦, 總角, 衿纓, 皆佩容臭,

吳氏曰: “總角, 束髮爲角也. , 香物也, 助爲形容之飾. 故曰容臭, 以纓佩之. 不佩所用之物, 而止佩容臭者, 未能卽事也.

 

昧爽而朝, 問何食飮矣, 若已食則退, 若未食則佐長者視具.” 禮記』 「內則

, 晦也, , 明也, 昧爽, 欲明未明之時. , 猶見也. , 助也, , 謂膳具. 幼者, 於視膳之事, 未能專之, 特可以佐助長者而已.

 

 

 

 

해석

內則: “子事父母, 鷄初鳴, 咸盥漱,

내칙에서 말했다. “자식이 부모를 섬길 적에 닭이 처음 울거든 다 세수하고 양치질 하며,

陳氏曰: “, 洗手也, , 漱口也.

진씨가 말했다. “()은 세수하는 것이고 수()는 입을 양치질하는 것이다.

 

櫛縰笄總, 拂髦冠緌纓,

빗질하고 머리싸개하고 비녀 꽂고 상투 틀고 머리를 털고서 관 쓰고 갓끈을 묶고

, 梳也. , 韜髮作䯻者, 黑繒爲之. , 簪也.

()은 빗질이다. ()는 머리를 감싸 상투를 만드는 것이니 검은 비단으로 만든다. ()는 비녀다.

 

, 束髮飾䯻者, 亦繒爲之.

()은 머리를 묶어 상투를 장식하는 것이니 또한 검은 비단으로 만든다.

 

拂髦, 謂拂去髦上之塵.

불모(拂髦)은 머리의 먼지를 털어내는 것이다.

 

緌者, 纓之餘, 纓者, 冠之系.

()는 갓끈의 나머지이고 영()은 관을 매는 것이다.

 

韠紳, 搢笏,

현단복(玄端服)을 입고 슬갑 차고 띠 메고 홀 꽂고

, 玄端服也, , 蔽膝也. , 大帶也, , 挿也,

()은 현단복이다. ()은 무릎을 가리는 것이다. ()은 큰 띠이고 진()은 꽂는다는 것이니

 

挿笏於大帶, 所以記事也.

홀을 큰 띠에 꽂는다는 것은 일을 기록하려 해서다.

 

左右佩用, 偪屨著綦.

좌우에 용품을 차며 행전 차고 신의 끈을 묶는다.

左右佩用, 謂身之兩旁, 佩紛帨玞捍之類, 以備用也.

좌우패용(左右佩用)은 몸의 양편에 손수건이나 수건이나 깎지나 팔찌의 종류를 차서 대비하여 쓰는 것이다.

 

, 邪幅也, 纏足至膝者. , 鞋也. , 猶結也, , 鞋口帶也.

()은 사폭(邪幅)사폭(邪幅): 남자 바지의 마루폭의 안쪽과 허리에 잇대어 붙이는 크고 작은 네 쪽의 폭으로 다리에 묶어 무릎에 이르는 것이다. ()는 짚신이다. ()는 매는 것이다. ()는 신코의 끈이다.

 

在首則櫛髮加縰加笄加總加髦著冠結纓垂緌,

머리에는 머리를 빗고 치포건 쓰고 비녀 꽂고 상투 틀고 머리 털고 관을 쓰고 갓끈 매고 남은 끈을 늘어뜨리고

 

在身則服玄端著韠加紳搢笏佩用,

몸에는 현단복 입고 슬갑 차고 띠를 매고 홀을 꽂고 쓸 것을 차며,

 

在足則縳偪納屨著綦, 各以次第施之.”

발에 있어서는 행전을 매고 신을 신고 신 끈을 매어 각각 차례로 시행한다.”

 

劉氏曰: “, 謂子生三月,

유씨가 말했다. “()는 자식이 태어난 지 3개월이면

 

則剪其胎髮爲鬌, 帶之于首, 男左女右,

배냇머리를 잘라 뿔상투를 만들어 머리에 띠되 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띠다가

 

逮其冠笄也, 則綵飾之, 加于冠,

관례와 비녀를 꽂음에 미치면 채단으로 꾸며 관 위에 더해

 

不忘父母生育之恩也, 父母喪則去之.”

부모가 낳아주신 은혜를 잊지 않다가 부모가 돌아가시면 제거한다.”

 

司馬溫公曰: “孫事祖父母同.”

사마온공이 말했다. “손자가 조부모를 섬기는 것도 동일하다.”

 

婦事舅姑, 如事父母, 鷄初鳴, 咸盥漱, 櫛縰笄總, 衣紳, 左右佩用, 衿纓綦屨.

며느리가 시부모를 섬길 때는 부모를 섬기는 것 같이 해서 닭이 처음 울거든 다 세수하고 양치질 하고 빗질하고 머리싸개하고 비녀 꽂고 상투 틀고 옷 입고 띠 두르며 좌우에 용품을 차고 향주머니를 차고 신끈을 맨다.

陳氏曰: “夫之父曰舅, 夫之母曰姑.

진씨가 말했다. “남편의 아버지를 시아버지라 하고 남편의 어머니를 시어머니라 한다.

 

衣紳者, 著衣而加紳也, 佩用, 紛帨箴管之類.

의신(衣紳)은 옷 입고 띠를 더하는 것이고 패용(佩用)은 행주와 손수건과 바늘, 바늘통 따위다.

 

, 結也, , 香囊也, 恐身有穢氣, 觸尊者. 故佩之.

()은 묶는다는 것이고 영()은 향주머니니 몸의 더러운 냄새가 높은 사람에게 접촉될까 두렵기 때문에 찼다.

 

以適父母舅故之所, 及所, 下氣怡聲,

부모와 시부모가 있는 곳에 가되 그곳에 이르러 기를 내리고 소리를 온화하게 하며

, 往也, , 寢室也.

()은 간다는 것이다. ()는 침실이다.

 

下氣, 低下其氣而不盈也, 怡聲, 怡悅其聲而不厲也.

하기(下氣)는 기운을 낮추어 채우지 않는 것이다. 이성(怡聲)은 소리를 온화하게 하여 사납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問衣燠寒, 疾痛苛癢, 而敬抑搔之,

옷의 따뜻함과 추움을 묻고 질병이나 가려움에 공경히 긁어드리며,

, 熱也, 問衣若燠, 則將减之, 使凊也,

()은 덥다는 것이니 옷을 여쭈어 덥다 하시면 장차 덜어 서늘하게 해드리고

 

, 冷也, 問衣若寒, 則將加之, 使溫也.

()은 추움이니 옷을 여쭈어 춥다고 하시면 장차 옷을 더하여 따뜻하게 해드린다.

 

, 疥也. , 按也, , 爬也.

()는 옴이다. ()은 누르는 것이다. ()는 긁는 것이다.

 

疾痛則敬而按之, 苛癢則敬而爬之,

아프면 공경히 만져드리고 가려우면 공경히 긁어드린다.

 

出入則或先或後, 而敬扶持之.

출입할 적엔 혹은 앞서거나 뒤에 서서 공경히 부축하고 지지해드린다.

出入則或先或後, 以扶持之, 皆不離於敬也.”

출입할 적엔 혹은 앞에 서고 혹은 뒤에 서서 부축하며 지지하니 모두 공경함에서 떠나지 않는 것이다.”

 

劉氏曰: “皆所以撫恤衰病, 而一出於敬也.”

유씨가 말했다. “모두 쇠하고 병듦을 어루만지고 구휼하는 것이니 한결같이 공경함에서 나온 것이다.”

 

進盥, 少者, 奉槃; 長者, 奉水, 請沃盥, 盥卒授巾.

세수물을 올릴 적엔 젊은이는 대야를 받들고 어른은 물을 받들어 물을 부어 세수하길 청하고 세수가 끝나면 수건을 드린다.

, 承盥水者, , 注水而盥也.

()은 세수물을 받는 것이다. ()은 물을 부어 세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 進也, , 拭手者.

()는 바치는 것이다. ()은 손을 닦는 것이다.

 

問所欲而敬進之, 柔色以溫之, 父母舅姑必嘗之而後, 退.

드시고 싶은 걸 여쭈어 공경히 바치니, 안색은 부드럽고 받들어 부모와 시부모께서 짐짓 반드시 맛본 후에 물러나라.

所欲, 意之所欲食者.

소욕(所欲)은 내심 먹고자 하는 것이다.

 

陳氏曰: “, 承籍之義, 謂以和柔之顔色, 承籍尊者之意.”

진씨가 말했다. “()은 받든다는 뜻이니 온화하고 부드러운 안색으로 높은 사람의 뜻을 받드는 것을 말한다.”

 

男女未冠笄者鷄初鳴, 咸盥漱, 櫛縰, 拂髦, 總角, 衿纓, 皆佩容臭,

남녀로 관례하지 않거나 비녀를 꽂지 않은 사람은 닭이 처음 울면 다 세수하고 양치질하고 빗질하고 머리싸개 하며, 머리를 털고, 머리를 묶어 뿔모양으로 땋고 향주머니를 매어 다 용취를 차고

吳氏曰: “總角, 束髮爲角也. , 香物也, 助爲形容之飾.

오씨가 말했다. “총각(總角)은 머리를 묶어 뿔을 만드는 것이다. ()는 향물이니 형용의 꾸밈을 돕는 것이다.

 

故曰容臭, 以纓佩之.

그러므로 향취라 해서 그것을 찬다.

 

不佩所用之物, 而止佩容臭者, 未能卽事也.

쓸만한 물건을 차지 않고 다만 용취만을 차는 것은 일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昧爽而朝, 問何食飮矣, 若已食則退, 若未食則佐長者視具.” 禮記』 「內則

동이 트는 새벽에 조문하여 무엇을 드실지 묻고, 만약 이미 드시고 계시면 물러나고 만약 드시고 있지 않으면 어른을 도와 음식 갖춤을 보살핀다.”

, 晦也, , 明也, 昧爽, 欲明未明之時.

()는 어둠이고 상()은 밝음이니 매상(昧爽)은 날이 밝으려 하지만 아직은 밝지 않은 때이다.

 

, 猶見也. , 助也, , 謂膳具,

()는 견()과 같다. ()는 돕는다는 것이다. ()는 반찬 갖춤을 말한다.

 

幼者, 於視膳之事, 未能專之, 特可以佐助長者而已.

어린사람은 반찬 장만하는 일에 온전히 할 수 없으니 다만 어른을 도울 수 있을 뿐이다.

 

 

인용

목차 / 편집자 / 다음 글

몽구 / 동몽선습 / 격몽요결

045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