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전간기사(田間紀事) - 해설. 악부시의 형식을 빌려 현실을 고발하다 본문

한시놀이터/서사한시

전간기사(田間紀事) - 해설. 악부시의 형식을 빌려 현실을 고발하다

건방진방랑자 2021. 8. 12. 07:55
728x90
반응형

해설. 악부시의 형식을 빌려 현실을 고발하다

 

이 작품을 쓴 연대는 순조 9(1809)이다. 시인 정약용은 전해에 유배지의 거처를 강진 읍내에서 귤동의 다산초당으로 옮겼다. 그런데 마침 무서운 흉년이 들어 차마 눈 뜨고 못 볼 정경이 펼쳐지고 있었다. 문제를 해결하자면 근원적 전환을 모색하지 않는 한, 정상을 사실 그대로 중앙에 보고해서 적의한 대책을 세우도록 하는 길 외에는 없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그럴 수 있는 처지가 아니었다. 그 스스로 찬 바람에 쓰르라미ㆍ귀뚜라미와 더불어 풀숲 사이에서 슬피 우는 것과 다름없는 것[蓋與寒螿冷蛬, 共作草間之哀鳴]”으로 규정했듯, 재야의 시인으로 자기를 선명하게 의식하고 이 시를 쓴 것이다.

 

전간기사는 형식 면에서는 시경내지 4언의 악부시를 방불케 하는 옛 가체(歌體)를 채용하고 있다. 모두 6편인데 서사성이 비교적 뚜렷한 것으로 2편을 뽑았다.

 

 

모를 뽑아버리다[拔苗]는 극심한 가뭄에 농민이 자기 손으로 변모를 뽑아버리는 내용이다.

1장에서 모판에 어린 싹이 자라는 모양이 묘사되는데 농민적 감각의 서정성이 짙게 담겨 있다. 모에 바쳐진 정성을 어린아이 보살피듯[愛之如嬰孩]”이라 하여, 뒤에 나올 내용의 복선이 된 셈이다.

 

2장에서 그 애지중지 기르던 모를 마침내 뽑아버리는 사실이 서술되며,

다음 제3, 4장에서는 여자가 그로 인해 괴로워 한탄하는 내용이 독백으로 처리된다. 자기 자식을 대신 바치고라도 모를 살릴 수 있으면 하고 소망하는 대목은, 물론 너무나도 안타까워 나온 푸념이다. 농민의 땅과 곡식에 대한 애정이 과연 어떤가를 실감케 한다.

 

 

오누이[有兒]는 어머니가 흉년에 어린 남매를 길에 버리고 도망친 내용이다. 시의 현재는 오누이가 제 엄마를 찾아 울부짖는 곳이다. 한 아이의 입을 통해서 사정이 서술되는데 아버지는 먼저 가족으로부터 떠나갔고 어머니는 알 품은 새처럼 자식들의 포로가 되어 있었다. 그런 어머니가 제 새끼를 팽개치고 가버린 것이다. 이 어머니는 자식도 내버리는 그런 여자였던가?

 

그 어머니는 어미 사슴 새끼 품듯[抱兒如麛]”이란 구절에서 모성이 따사로웠음을 느끼게 한다. 그리고 장터에 이르러선 / 엿도 얻어주었지요[携至水市 啖我以飴]”라는 아이의 추억에서 구걸하는 삶에서도 모자의 행복은 더욱 두터웠음을 느낄 수 있다. “어린 동생젖을 찾아 빠나 / 젖은 이미 말라붙은 걸 어찌하나요[兒啼索乳 乳則枯萎].” 젖으로 연결된 모자의 사이가 젖이 고갈되었을 때 지속될 수 있을까. 작품은 제 짝을 끝까지 사랑하지 못하고 / 어미로 자식을 버리[伉儷不愛 慈母不慈]”는 현실을 사회적 문제로 가장 심각하게 제기한 것이다.

-임형택, 이조시대 서사시1, 창비, 2020, 371~372

 

 

 

 

인용

원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