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종횡무진 한국사, 12부 식민지ㆍ해방ㆍ분단 - 2장 식민지 길들이기, 주식회사와 토지조사② 본문

카테고리 없음

종횡무진 한국사, 12부 식민지ㆍ해방ㆍ분단 - 2장 식민지 길들이기, 주식회사와 토지조사②

건방진방랑자 2021. 6. 22. 13:48
728x90
반응형

주식회사와 토지조사

 

 

그에 비해 일본은 역사적으로도 봉건 영주들이 각자 자신의 장원을 소유하는 방식의 토지제도를 취하고 있었던 데다중세 일본의 경우 한반도와 비슷한 제도로 농민들에게 토지를 나누어 주고 조세를 수취하는 반전제(班田制)가 있었으나, 이 제도의 적용 단위는 한반도의 경우처럼 나라 전체가 아니라 장원이었다. 즉 봉건 영주들이 자신의 영지에서반전제를 시행하면서 독자적으로 조세를 수취한 것이다. 게다가 일본 역사에서는 이 장원을 나라(, 구니)’라고 불렀으므로, 정치적 위상으로만 비교해 보면 일본의 한 지방은 곧 한반도 왕조 전체에 해당한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은 중국의 경우처럼 독자적인 천하의 역사를 꾸려 왔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메이지 유신(明治維新)으로 근대적 토지 등기제도가 성립되어 있었으므로 토지 소유관계가 훨씬 명확하다. 말할 것도 없이 합병이란 이제부터 일본과 한반도에서 하나의 제도를 적용한다는 뜻이니까 이 점을 잘 이용하면 한반도 농민들의 토지를 통째로 먹을 수 있게 된다. 그런 취지에서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시행된 게 바로 토지조사사업이다.

 

조선에 근대적인 토지 소유관계가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사실상 모든 토지제도의 기능이 마비되면서 왕토의 개념이 무너진 상태였다. 따라서 그 이후에는 자연스럽게 토지의 사유화가 진행되어 토지의 매매까지도 이루어질 정도 였다. 다만 그것이 공식적으로 제도화된 게 아니라 관행적으로 묵인되어 왔다는 게 문제인데(현실적으로는 왕토 사상이 해체되었지만 공식적으로는 존재했기 때문이다), 일본이 노린 약점은 바로 그 공식과 관행의 틈이었다오늘날까지도 우리 사회의 약점이 되고 있는 투명성의 문제는 이렇게 역사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다. 토지의 실제 소유권과 형식적 소유권이 다르다는 것은 늘 실제 권력자와 상징적 권력자가 분리되어 왔던 조선 역사의 필연적인 불투명을 반영한다.

 

우선 전통적인 대지주의 토지는 건드리기 어려우니까 그대로 등기화해서 그 소유를 인정해준다. 또 소유권을 확실하게 입증할 수 있는 일부 농민들의 토지도 등기를 거쳐 소유권을 인정해준다. 여기까지가 바로 토지조사사업의 긍정적인 측면이다(토지 소유의 근대화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그러나 원래 없었던 공식적인 기준을 처음으로 설정했으니 그 기준에서 벗어난 토지의 소유관계는 모조리 비공식적인 것이 되며, 따라서 무효가 된다. 즉 소유권을 문서로써 입증할 수 없는 모든 토지는 졸지에 임자 없는 땅이 되어 버린 것이다. 등기권자만 없을 뿐 경작자는 있었으나 근대적 토지 소유제도에서 경작권이라는 모호한 권리는 전혀 배려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사실상 자기 땅으로 알고 대대로 경작해 오던 농민들은 이제부터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새로 설정된 지주에게 높은 소작료를 물고 계속 땅을 부쳐먹든가, 아니면 고향을 등지고 새 땅을 찾아 떠나는 것뿐이다. 말이 두 가지지 대다수 농민들은 후자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이렇게 해서 토지조사사업으로 인해 많은 농민들이 토지를 잃고 고향에서 쫓겨나게 된다. 게다가 이 과정을 더욱 가속화시킨 것은 한반도 최초의 주식회사다.

 

 

 이상한 주식회사 이름은 주식회사지만 설립 취지에서나 기능과 임무에서나 동척은 주식회사라기보다는 조선의 농민들을 만주로 내몰고 일본인들을 이주시키는 역할을 담당했다. 그 과정에서 자연히 간도와 만주의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만주 침략이 용이해졌으니, 일본 정부는 애초부터 그런 효과를 예상하고 있었던 듯싶다.

 

 

인용

목차

연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