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형, 제의 - 8. 제사는 공자나 계찰처럼 본문

고전/논형

논형, 제의 - 8. 제사는 공자나 계찰처럼

건방진방랑자 2021. 12. 16. 04:58
728x90
반응형

 8. 제사는 공자나 계찰처럼

 

 

孔子之畜狗死, 使子贛埋之. : “吾聞之也, 弊帷不棄, 爲埋馬也; 弊蓋不棄, 爲埋狗也. 丘也貧, 無蓋, 於其封也, 亦與之席, 毋使其首陷焉!”

延陵季子過徐, 徐君好其劍, 季子以當使於上國, 未之許與. 季子使還, 徐君已死, 季子解劍帶其冢樹. 御者曰: “徐君已死, 尙誰爲乎?” 季子曰: “前已心許之矣, 可以徐君死故負吾心乎?” 遂帶劍於冢樹而去.

祀爲報功者, 其用意猶孔子之埋畜狗也; 祭爲不背先者, 其恩猶季之帶劍於冢樹也.

 

 

 

 

해석

孔子之畜狗死, 使子贛埋之.

공자(孔子)가 기르던 개가 죽자 자공(子贛)에게 묻게 했다.

 

: “吾聞之也, 弊帷不棄, 爲埋馬也; 弊蓋不棄, 爲埋狗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듣기로 해진 휘장을 버리지 않는 건 말을 묻기 위해서고 해진 덮개를 버리지 않는 건 개를 묻기 위해서라더라.

 

丘也貧, 無蓋, 於其封也, 亦與之席, 毋使其首陷焉!”

내가 가난해 덮개가 없으니 봉분(封墳)을 만듦에 또한 깔개를 주리니 개의 머리가 파이지 않도록 하라!”

 

延陵季子過徐, 徐君好其劍, 季子以當使於上國, 未之許與.

연릉(延陵)의 계자(季子)가 서() 나라로 가는데 서() 임금이 그 칼을 좋아했지만 계자(季子)는 사신으로 상국(上國)에 당도해야 했기에 주길 허여하지 않았다.

 

季子使還, 徐君已死, 季子解劍帶其冢樹.

계자(季子)가 사신으로 돌아올 적에 서() 나라 임금은 이미 죽어서 계자(季子)는 그 칼을 풀어 무덤의 나무에 걸어뒀다.

 

御者曰: “徐君已死, 尙誰爲乎?”

말 모는 이가 () 나라 임금께선 이미 숨지셨는데 오히려 누굴 위해서 그런 겁니까?”라고 말했다.

 

季子曰: “前已心許之矣, 可以徐君死故負吾心乎?” 遂帶劍於冢樹而去.

계자(季子)예전에 이미 마음으로 그걸 허여했는데 서() 나라 임금이 숨졌다 해서 나의 마음을 져버릴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고 마침내 무덤의 나무에 칼을 걸어두고 떠났다.

 

祀爲報功者, 其用意猶孔子之埋畜狗也; 祭爲不背先者, 其恩猶季之帶劍於冢樹也.

제사란 공을 갚기 위해서이니 뜻을 씀이 공자가 기르던 개를 묻던 것과 같아야 하고 제사란 선조를 져버리지 않는 것이니 그 은혜는 계자(季子)가 무덤의 나무에 칼을 걸어둔 것 같아야 한다.

 

 

인용

목차 / 전문

향당 / 공자가어 / 고사성어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고전 > 논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형, 제의 - 10.  (0) 2021.12.16
논형, 제의 - 9  (0) 2021.12.16
논형, 제의 - 7  (0) 2021.12.16
논형, 제의 - 6  (0) 2021.12.16
논형, 제의 - 5  (0) 2021.12.1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