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37. (가)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가) 李瀷, 「豫讓論」 昔者豫讓死於襄子 先儒謂襄子不當殺 余以爲不然 豫讓必報襄子 五起而不中 其志不報將不休也 襄子義而殺之 不殺亦終不免也 爲己之患 忍殺義士 徇私而害理歟 曰其義亦不容不爾 今使兩陣對鬨 能用命入死地 斬其將獲其君 皆忠也 敵之忠愈厲 我之賊愈急 其或劒及於五步之內 而曰彼忠不可不植 我賊惟在謹避 不亦愚乎 (중략) 廁之塗橋之伏 卽襄子之幸免 不然而或爲所陷 此宋襄所以卒爲天下笑也 彼讓者欲忠而短於才 其或智足以動天下 勇足以辦狙擊 襄子又安得而避之 據禮殺人以義者令勿讎 讎之則死 父受誅子復讎 此推刃之道也 其殺智伯 旣無害理 則獨不可加法於推刃之一讓乎 故曰襄子之殺讓 晩也非過也 (나) 朴胤源, 「豫讓論」 智伯之時 有智果者 諫不聽 遂去 變姓爲輔氏 有郗疵者 又諫不聽 遂去之齊 獨豫讓不諫 其賢不及二人也遠矣 或曰 智伯拒智果 疎郗疵 好自用者也 豫讓雖諫 智伯亦必不聽 故豫讓見二人之言不入也 謂諫無益 因不言也 然讓之言曰 范中行氏 衆人遇我 故衆人報之 智伯國士遇我 故國士報之 然則人主之待國士 非徒尊官厚祿 榮寵其身而已 必聽其言 用其計 納其諫 苟言之不聽 計之不用 諫之不納 則雖寵之以卿相之位 廩之以萬鍾之粟 非所以待國士也 |
① (가): 豫讓이 복수하지 못한 것은 재주가 부족해서이다.
② (가): 豫讓이 宋襄公처럼 천하의 비웃음을 받을 수도 있었다.
③ (가): 襄子가 智伯을 죽인 것은 의리에 위배되지 않는다.
④ (나): 智伯은 남의 말을 듣지 않고 독단하는 인물이다.
⑤ (나): 豫讓은 자신을 國士로 대우한 智伯에게 보답하고자 했다.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기출문제 > 해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임용 기출 - 12년 1차 39~40번(息菴集序, 昭代風謠序) (0) | 2021.11.06 |
---|---|
한문임용 기출 - 12년 1차 38번(爲人求薦書, 送薛存義序) (0) | 2021.11.06 |
한문임용 기출 - 12년 1차 36번(海月集) (0) | 2021.11.06 |
한문임용 기출 - 12년 1차 32~33번(慵齋叢話) (0) | 2021.11.06 |
한문임용 기출 - 12년 1차 29번(送奉使李中父還朝序, 桂苑筆耕序) (0) | 2021.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