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 2.5 짧은 벼슬길과 다시 빠져든 心學 본문

카테고리 없음

의승기의 주제의식 고찰 - 2.5 짧은 벼슬길과 다시 빠져든 心學

건방진방랑자 2022. 10. 23. 16:42
728x90
반응형

5) 짧은 벼슬길과 다시 빠져든 심학(心學)

 

 

32세에 벼슬에 나가며 갈등을 느끼다

 

창계 생애 중 16세에 의승기를 통해 드러냈던 마음[]의 중요함에 대해 다시 돌아보는 때는 37세 이후이다.

 

그 사이에 있었던 중요한 사건은 창계 32세 때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 숙종 6)으로 남인이 몰각하고 서인이 정권을 잡게 되면서 창계도 기회를 얻어 벼슬길에 나서게 되는 일이다. 창계는 벼슬에 나아가는 것을 처음에는 사양하였다가이우성, 한국고전의 발견, 한길사, 2000, p.306. 결국 정언을 거쳐 부수찬, 이조 좌랑, 35세에 이조정랑에까지 오른다. 그러나 그해 모친상을 당하고, 이듬해 부친상을 당하면서 부여 용담 소림촌으로 이주하고 더 이상 벼슬에 나아가지 않는 길을 택하게 된다.

 

이처럼 창계는 사환기(仕宦期)에 실제 벼슬을 거부한 행적을 남겼다김광순, 앞의 논문, 1986, pp.44~45;숙종실록, 숙종 22년 병자(1696,강희 35), 26(임진), 전 참판 임영의 졸기 참고.. 창계가 관직에 진출하여 조정에서 활동할 시기에는 남인과 서인, 또 노론과 소론이 대립, 분열하는 당쟁의 와중에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노소간의 대립이 심하였음은 창계 사후 문집 간행에서도 볼 수 있을 정도이다최윤정, 서계 박세당 문학의 연구, 혜안, 2011, p.56 참조..

 

이상을 통해 창계가 16세에 의승기를 창작하고 수학할 당시는 병자호란 직후 벼슬을 거부하였고, 이후에는 당쟁의 여파로 벼슬을 꺼리는 사회분위기가 형성되어 창계 또한 그러한 삶을 선택했음을 볼 수 있다.

 

 

 

벼슬에서 물러난 후 깊게 빠져든 심학

 

벼슬에서 물러난 후 창계는 다시 일록을 작성하며 독서하는 일에 전념한다. 이때 계곡이 음부경해서(陰符經解序)를 지은 것을 검토하며 음부경을 다시 읽어보고 그 의의를 평가하면서 마지막에 잡서(雜書)로 취급하고 경계해야 함을 강조하였다因檢谿谷集陰符經解序遂, 取架上陰符, 再三披閱而默誦之.(중략) 又必取雜書, 亦可戒也.” 창계집25, 日錄, 乙丑..

 

창계는 이보다 앞서 계곡의 신명사기에서 신명사를 정의하는 것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계곡의 신명사기음부경해서등에 대해 반응한 흔적을 보인 것은 이들이 창계가 관심 갖고 있던 마음()과 관련 있는 저술이기 때문인 듯하다. 그리고 지난날을 돌아보고 다음과 같은 글을 일록에 남겼다.

 

 

귀와 눈이 보고 들음, 손발이 운용함, 입이 말하고 침묵함, 몸의 동정이 모두 마음이 하는 바이니 모두 마땅히 그 비고 비지 않음을 살펴야 한다. 비었으면 본심이 있는 것이요, 비지 않았으면 비록 모두 마음이 하는 바라고 말하더라도 또한 본심의 작용을 회복하지 않은 것이다.

耳目之視聽, 手足之運用, 口之語默, 身之動靜, 皆心所爲. 皆當察其虛與不虛, 虛則本心存也, 不虛則雖曰皆心所爲, 亦非復本心之作用矣. 창계집25, 日錄, 丁卯.

 

 

벼슬에서 물러나 2년이 지난 39세에 기록한 일록의 한 부분이다. 이목구비의 움직임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본심을 회복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여기서 다시 창계는 마음에 대해 생각하며 16세에 의승기를 지을 때의 의식과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창계의 생애 정리와 의승기를 짓게 된 연유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고에서는 창계의 의승기병자호란을 겪으며 17세기 중반 벼슬을 거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형성되고, 16세기 심경부주의 영향으로 심학(心學)에 대한 관심의 고조와 그로 인해 문학창작이 이루어져 17세기까지 이어지는 문단의 경향을 반영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또한 창계가 정관재에게 수학하면서 문학에 대한 관점이 바뀌기 시작하는 19세 이전의 시기, 8세에 누이들과 언문 소설을 즐겨 읽으며 어린 시절을 보내고, 14세에 조부께 궁리수심지학(窮理修心之學)의 글을 깨치며 심리(心理)에 관심을 갖게 되고 사장학에 매료된 시기에 의승기를 창작한 점도 고려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다음 장에서 의승기작품 분석을 통해 드러난 주제의식의 특징적인 면을 살피고 그 의의를 밝혀보겠다.

 

 

 

 

 

 

인용

목차

한문 논문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