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조주 선사 (4)
건빵이랑 놀자
국어수업을 준비하며 1. 학생들이 문자와 멀어지다 부인할수록 선명해지는 현실 문자, 가깝지만 먼 그대 2. 놀이하는 언어적 인간이 되어야 한다 호모 로퀜스(언어적 인간) ⇒ 호모 루덴스 로퀜스(놀이하는 언어적 인간) 잃어버렸다는 사실을 잊고 사는 삶 3. 현행 국어교육의 한계, 그 너머 개념암기 교육의 한계 시로 한바탕 놀다 인용 목차
3. 현행 국어교육의 한계, 그 너머 그렇다면 ‘놀이하는 언어적 인간’을 어떻게 길러낼 수 있을까? 어떻게 텍스트에 대한 부담은 내려놓고 맘껏 글을 가지고 놀며 글이 사람과 동떨어진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할 수 있을까? 일반 국어시간에 하는 것처럼 개념을 가르치고, 단어의 뜻을 외우게 하면 될까? ▲ 개념이 본질에 앞서는 게 아니라, 본질이 개념에 앞선다 개념암기 교육의 한계 개념(문자)은 세상을 분절하여 파편적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무지개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녔음에도 우린 ‘일곱 색깔 무지개’라고 표현하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래서 무지개를 볼 때에도 빨간색 다음에는 주황색이 올 거라 생각하고 옅은 불그죽죽한 색이 보이면 ‘주황색’이라고 단정 짓는다. 현실을 제대로 보려하기보다 ..
2. 놀이하는 언어적 인간이 되어야 한다 그렇기에 언어란 무엇이고 국어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생각할 필요가 있었다. 국어교육을 왜 해야 하는지 고민하며 ‘언어를 가지고 놀 수 있는 인간’이라는 목표를 정한 데엔 그와 같은 고민의 시간이 있었다. ▲ 앙리 마티스의 춤(1910)- 인간은 놀기 위해 세상에 태어났다 호모 로퀜스(언어적 인간) ⇒ 호모 루덴스 로퀜스(놀이하는 언어적 인간)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을 나타내는 명칭은 ‘호모 로퀜스’다. 인간만이 언어를 사용한다고 생각하기에 그와 같은 학명이 붙여진 것이다(물론 지극히 인간적인 관점에서). 하지만 언어적 인간만을 내세울 경우 위에서 예로 든 것과 같이 국어교육은 왜곡될 수밖에 없다. 이럴 때 우리가 다시 점검해 봐야 할 것은 개념을 재정립하는 것이..
1. 학생들이 문자와 멀어지다 예전에 들은 말이다. “영상물에 익숙한 세대에게 책에 한가득 실려 있는 글들은 암호문 같은 느낌이예요”라는 말이었다. 학생으로부터 들은 말인지, 인터넷에서 본 것인지 기억나진 않지만, 처음에 이 말을 들었을 땐 이해할 수가 없었다. ▲ 아이들에겐 이처럼 책을 볼 때, 구멍이 송송 뚫린 것처럼 보인다는 얘기인 걸까? 부인할수록 선명해지는 현실 이 말대로라면 아이들에겐 한글로 써 있는 글이 ‘Привет Я печенье учителя(러시아어)’라는 글처럼 깜깜하고 아득하게 보인다는 말이 된다. 한국에서 태어나 여태껏 한글을 보고 들으며 자라왔을 텐데 어떻게 그럴 수가 있단 말인가. 그건 마치 ‘물속에서 사는 물고기가 물을 두려워한다’는 것과 같은 황당한 말이니 말이다. 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