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필요성
한문과목의 특수성
이러한 사정은 전공과목의 하나인 한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전공의 특성에 따라 전공 교사로서 요구되는 자질이 다르며, 그 과목의 교수방법과 교육 목표 역시 다르다. 그런데 한문의 경우는 이와 함께 특수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한문은 여러 언어 과목 중의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여타의 언어 과목과는 다른 특성이 존재한다. 물론 우리의 언어[국어]이기도 한 것이 사실이다. 전통 시대 우리가 사용한 글은 대부분 한문이기 때문이다. 이는 한글 창제 이전 뿐 아니라 한글 창제 이후도 마찬가지이다. 근대 이전의 대부분의 시기에 우리들은 우리들의 사상과 감정, 지식과 기록을 한문을 통해 생산하고, 향유하고, 전수하였기에 분명 한문은 분명 국어인 것이다.
하지만 한문은 국어이면서도 동시에 국어가 아닌 성격을 지닌다. 전통시대의 우리가 우리의 사상과 감정 그리고 지식 등을 표현하고 기록하였지만, 동시에 중국과 일본, 월남 역시 이 한문을 통해 그들의 사상과 감정, 그리고 지식 등을 표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한편으로 한문은 중국에서 출현하여, 중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문어이기도 하다. 바로 그러한 점에서 한문은 우리 민족의 언어이면서 동시에 동아시아의 언어이기도 한 이중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다층적인 성격은 단순히 언어 과목의 하나, 혹은 국어 과목의 일부분으로 한문을 가르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한문은 이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언어이다. 현재 사용되는 어휘와 지금 우리의 문화에서 한문은 여전히 지속되는 면모가 있기는 하지만, 실제 현재의 언어생활에서 한문이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처럼 한문은 국어 과목 공통적인 성격을 지니면서 동시에 동아시아 공통의 과목이기도 하고, 동시에 언어 과목의 하나이면서도 구어를 통해 의미가 전달되지 않는 문어이기도 하며, 또한 지금 현재 사용되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지금 우리의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한문은 국어 교과목의 교육 목표와 다르며, 여타의 언어 과목 교과목과도 교육 목표가 다를 수밖에 없다. 이와 동시에 교육 내용이나 교수 방법 등도 나름의 독특한 특성을 지닐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한문교사는 여타 과목의 교사와는 다른 나름의 독특한 자질이 필요한 것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한문교사에게 요구되는 자질과 품성 및 전문성은 무엇일까. 그리고 새로운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새롭게 부각되어야 하는 점은 무엇일까. 기존의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주로 평가하였던 단순 지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평가모델은 어떻게 개발되어야 할까. 이제 이러한 질문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마련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2008년부터 시행될 새로운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부터 새로운 한문교사상을 제시하고, 이에 걸맞은 자질을 지닌 한문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시스템을 마련해야만 하는 것이다. 나아가 앞으로 꾸준히 시행될 임용시험의 구체적인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새로운 제도가 안정적으로 정착ㆍ운용될 기반을 마련해야만 한다. 한문교사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영역 상세화 및 수업능력평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것이다.
인용
'한문놀이터 > 한문과 교육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 한문교육 임용고시 공청회 II. 한문과 교사자격기준 - 1. 교사자격기준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0) | 2019.09.12 |
---|---|
2008년 한문교육 임용고시 공청회 Ⅰ. 서론 - 4. 연구내용 및 방법 (0) | 2019.09.12 |
2008년 한문교육 임용고시 공청회 Ⅰ. 서론 - 3. 연구 목적과 세 분야의 구체적 목적 (0) | 2019.09.12 |
2008년 한문교육 임용고시 공청회 Ⅰ. 서론 - 1. 연구목적 (0) | 2019.09.12 |
전공 한문 - 임용고사 출제 범위표 (0) | 2019.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