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기장자시(文機障子詩)
이규보(李奎報)
九門淸蹕走驚雷 蘂闥華筵卜夜開
龍燭影中排羽葆 鳳簫聲裏送金杯
三呼萬歲神山湧 一熟千年海菓來
恩許侍臣司宴樂 宣花滿揷醉扶迴
祥煙繚繞紫宸高 幄座中央認赭袍
洞府徵歌敲玉索 敎坊選妓醉仙桃
九層爐爇金龍腦 四炤燈燃白鳳膏
西母獻來千歲壽 指呼弟子皷雲璈
해석
九門淸蹕走驚雷 구문청필주경뢰 |
구문【구문(九門): 옛날 천자(天子)는 구문(九門)이 있었으니, 1은 노문(路門), 2는 응문(應門), 3은 치문(雉門), 4는 고문(庫門), 5는 얼문(臬門), 6은 성문(城門), 7은 근교문(近郊門), 8은 원교문(遠郊門), 9는 관문(關門)이다. 『예기(禮記)』 「월령(月令)」】 임금 행차에서 “물렀거라【청필(淸蹕): 황제가 행차할 때 도로를 정리하고 행인을 벽제한다는 말이다. 청(淸)은 도로를 깨끗이 소제한다는 뜻이요, 필(蹕)은 행인을 벽제(辟除)하는 것으로, 옛날 천자가 출행할 때의 의식이었기 때문에 곧 임금의 행차를 뜻한다. 『북사(北史)』 「유림전(儒林傳)」에 “제(帝)는 곤면(袞冕)을 입고 예용을 갖추고 청필하여 태학에 거둥했다.” 하였다. 】”고 외치는 소리 놀란 우레처럼 달리더니, |
蘂闥華筵卜夜開 예달화연복야개 |
궁궐의 화려한 연회는 밤을 정해 열렸네. |
龍燭影中排羽葆 룡촉영중배우보 |
용 장식된 촛대의 그림자 속에 임금님【우보(羽葆): 새의 깃으로 장식한 임금 수레의 일산을 말한다.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어렸을 적에 일찍이 종중(宗中)의 여러 아이들과 뽕나무 밑에서 놀다가 아이들에게 장난말로, “나는 반드시 이 뽕나무와 같은 우보개(羽葆蓋)의 수레를 탈 것이다.”고 하였다.】이 자리 잡고 |
鳳簫聲裏送金杯 봉소성리송금배 |
봉황 피리 소리【봉소(鳳簫): 농옥(弄玉)과 소사(蕭史)가 부는 퉁소를 가리킨다. 진 목공(秦穆公)의 딸인 농옥이 음악을 아주 좋아하였으며, 소사는 퉁소를 잘 불어서 봉새가 우는 것 같은 소리를 냈다. 이에 목공이 농옥을 그에게 시집보내고 누각을 지어 주었는데, 이들 두 사람이 퉁소를 불면 봉황이 날아와서 모였으며, 이들 두 사람은 그 뒤에 봉황을 타고 날아갔다고 한다. 『열산전(列仙傳)』】 속에 황금 술잔을 내려주시네. |
三呼萬歲神山湧 삼호만세신산용 |
세 번 만세를 부르니 신산【신산(神山): 봉래(蓬萊)ㆍ방장(方丈)ㆍ영주(瀛洲)를 가리킨다.】이 솟구쳤고 |
一熟千年海菓來 일숙천년해과래 |
한 번 천 년마다 익는 반도(蟠桃)【해과(海菓): ‘선도(仙桃)’를 말한다. 선도는 서왕모가 심은 복숭아로 삼천 년에 한번 열매를 맺는다고 한다.】가 왔다네. |
恩許侍臣司宴樂 은허시신사연락 |
임금의 은혜가 사신들로 하여금 연회를 주관하도록 허락해주셔서 |
宣花滿揷醉扶迴 선화만삽취부회 |
어사화(御賜花) 가득 꽂고 취하여 부축 받으며 돌아온다네. |
祥煙繚繞紫宸高 상연료요자신고 |
상서로운 연기가 얽혀 있어서 자신전(紫宸殿)은 높고 |
幄座中央認赭袍 악좌중앙인자포 |
영좌【악좌(幄座): 장막을 펴서 만든 영좌】의 중앙에 행차하는 임금님【자포(赭袍): 임금의 곤룡포.】. |
洞府徵歌敲玉索 동부징가고옥삭 |
동부【동부(洞府): 신선(神仙)이 사는 곳. -『송사(宋史)』 「예지(禮志)」】에선 노래 부르며 옥줄을 두드렸고 |
敎坊選妓醉仙桃 교방선기취선도 |
교방【교방(敎坊): 고려때의 기생 학교.】에선 기녀 뽑으며 선도에 취했구나. |
九層爐爇金龍腦 구층로설금룡뇌 |
9층 향로에는 금빛 용뇌【용뇌(龍腦): 용뇌수(龍腦樹)에서 채취한 향기로운 결정체(結晶體)를 말한다. 『本草』】가 사용되었고 |
四炤燈燃白鳳膏 사소등연백봉고 |
사방의 등불에는 흰 봉황의 기름이 사용되었네. |
西母獻來千歲壽 서모헌래천세수 |
서왕모【서왕모(西王母): 금모(金母)라고도 하니, 옛날 곤륜산(崑崙山)에 있던 선녀(仙女)라고 한다.】도 와서 천년수를 올리니 |
指呼弟子皷雲璈 지호제자고운오 |
제자를 지목하여 불러 운오【운오(雲璈): 쇠로 만든 악기 이름.】를 타게 한다네. 『東國李相國文集』 卷第十三 |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시놀이터 > 삼국&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해 - 상원회호재 득루자(上元會浩齋 得漏字) (0) | 2020.05.07 |
---|---|
최해 - 도현화인운(到縣和人韻) (0) | 2020.05.07 |
정지상 - 서도(西都) (0) | 2020.04.27 |
이제현 - 범려(范蠡) (0) | 2020.03.20 |
이색 - 사귀(思歸) (0) | 202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