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규보李奎報: 1168(의종 22)~1241(고종 28) 본문

한문놀이터/인물지도

이규보李奎報: 1168(의종 22)~1241(고종 28)

건방진방랑자 2019. 1. 16. 02:18
728x90
반응형

이규보李奎報: 1168(의종 22)~1241(고종 28)

초명은 인저(仁低), 자는 춘경(春卿).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ㆍ지헌(止軒).

 

1168   1216일 부친 이윤수(李允綏)와 모친 김씨의 아들로 출생. 초명은 인저(仁氐), 자는 춘경(春卿). 황려현(黃驪縣) 사람.
1171 4 부친이 성주(成州) ()으로 부임하였으므로 임소로 따라감.
1174 7 부친이 내시(內侍)로 발령되어 다시 개성으로 돌아옴.
1178 11 숙부인 직문하성(直門下省) 이부(李富)가 부른 ()’자 운()을 받아, 여러 낭관(郎官)지로장행모학사 배심상재국선생(紙路長行毛學士 盃心常在麴先生)’이라고 지음
1181 14 문헌공도(文憲公徒)가 되어 성명재(誠明齋)최중(崔沖)이 설치한 구재(九齋)의 하나)에 들어가 학업을 닦음. 하과(夏課) 때 시를 지어 줄곧 일등으로 뽑힘.
1185 18 사마시에 응시하였지만 불합격함.
1187 20 사마시에 응시하였지만 불합격함. 최근 4~5년간 술과 시에 탐닉하고, 과시(科詩)는 조금도 연습하지 않았기 때문임.
1189 22 사마시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합격. 꿈을 꾸고 나서 이름을 규보(奎報)’로 바꿈.
1190 23 예부시(禮部試)에 응시하여 동진사(同進士)로 뽑힘.
1191 24 8월에 부친상을 당함. 천마산(天磨山)에 우거하며 백운거사(白雲居士)’라 자호함.
1192 25 백운거사 어록(語錄)백운거사전(白雲居士傳)을 지음.
1193 26 구삼국사(舊三國史)를 참고해 장편서사시 동명왕(東明王)을 지음
1199 32 최충헌 정권에 시문(時文)으로 알려져 전주목사록(全州牧司錄) 겸 서기(書記)에 보임됨. 이 해에 고시와 율시 등 15~16편을 지음.
1200 33 파직되어 전주를 떠남.
1201 34 사위의 부임지인 죽주(竹州)에 가서 계신 모친을 모시고 개성으로 돌아옴.
1202 35 5월에 모친상을 당함. 12월에 동경(東京, 경주)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종군 지원하여 병부록사 겸 수제원(兵部錄事 兼 修製員)이 됨.
1204 37 개성으로 돌아옴.
1205 38 상최상국서(上崔相國書)를 지어 벼슬을 구함.
1207 40 으로 모정기(茅亭記)를 지어 직한림원 권보(直翰林院 權補)에 임명됨.
1208 41 한림원 진보(眞補)에 임명됨.
1212 45 천우위 녹사 참군사(千牛衛 錄事 參軍事)가 되고, 겸직한림원(兼直翰林院)이 됨.
1213 46 최충헌의 집에서 공작(孔雀)’을 시제(詩題)로 시를 지어, 12월에 司宰丞으로 승진.
1215 48 시를 지어 참직(參職)의 품계를 구하여 우정언지제고(右正言知制誥)가 됨.
1217 50 우사간지제고(右司諫知制誥)가 되고 자금어대(紫金魚袋)를 하사받음.
1218 51 좌사간(左司諫)이 됨.
1219 52 탄핵을 받아 파직됨. 다시 계양도호부부사 병마검할(桂陽都護府副使 兵馬鈐轄)이 되어 계양으로 부임함.
1220 53 최충헌이 죽고 최이가 집권하여 시례부낭중 기거주 지제고(試禮部郞中 起居注 知制誥)로 부름을 받고 개성으로 돌아옴. 12월에 시태복소경(試太僕少卿)으로 옮김.
1221 54 보문각대제 지제고(寶文閣待制 知制誥)에 제수됨.
1222 55 태복소경 즉진(太僕少卿 卽眞)이 됨.
1223 56 조산대부 시장작감(朝散大夫 試將作監)이 됨.
1224 57 장작감 즉진(將作監 卽眞)이 됨. 사마시 좌주(座主)가 되자 양사표(讓謝表)를 지음. 시국자좨주 한림시강학사(試國子祭酒 翰林侍講學士)가 되어 양사표(讓謝表)를 지음.
1225 58 사마시 시관(試官)이 되어 인재를 선발함.
1226 59 좨주 즉진(祭酒 卽眞)이 됨
1228 61 정월에 중산대부 반위위사(中散大夫 判衛尉事)가 됨. 5월에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춘장과(春場科)와 명경과(明經科)를 주관하여 인재를 선발함.
1230 63 팔관회를 열 때 옛 규례를 어긴 것이 문제가 되어 위도(猬島)로 귀양감.
1231 64 고향 황려현(黃驪縣)으로 이배(移配). 8월에 몽고군의 1차 침입을 당하여 백의종군함.
1232 65 귀양에서 풀려나 보문각학사(寶文閣學士) 경성부(慶成府) 우첨사(右詹事) 지제고(知制誥)에 제수됨.
1233 66 한림학사 승지에 제수되었지만 아들 함()이 직한림원이 되었기에 친혐(親嫌)을 피해 보문각학사로 자리를 옮김.
1234 67 춘장지공거(春場知貢擧)가 되어 인재를 선발함. 정당문학 감수국사(政堂文學 監修國史)에 제수됨.
1235 68 태자소부(太子少傅)가 되었다가 태자태보(太子太保)가 됨.
1236 69 춘장지공거(春場知貢擧)가 되어 인재를 선발함. 청노표(淸老表)를 올렸지만 수용되지 않음.
1241 74 벼슬에서 물러났지만 국조의 고문대책(高文大冊)과 외국에 오가는 서표(書表) 등을 지음. 7월에 병이 심해져, 진양후(晉陽候) 최이(崔怡)가 이상국(李相國)의 문집 간행을 서두르게 함. 하지만 간행을 보지 못하고 9월에 생을 마침. 시호는 문순공(文順公).

 

평가

1. 이미 신동으로 알려졌으며, 자유분방하게 생활하며 죽림고회의 시회를 드나들기도 함. 스스로 출세기회를 던져버림.

2. 이인로가 문단을 잡고 있을 때 문필 활동을 시작했고, 죽림고회에 들어오길 권유를 받았으나 거절함.

3. 만년에 시ㆍ거문고ㆍ술을 좋아하여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이라함.

 

  

송춘음

送春吟

문앵

聞鶯

십육일차중용자시운 / 우용암사

十六日次中庸子詩韻 / 寓龍巖寺

하일즉사

夏日卽事

화숙덕연원

和宿德淵院

설중방우인불우

雪中訪友人不遇

논시

論詩

부녕포구

扶寧浦口

문국령금농향청주백반

聞國令禁農餉淸酒白飯

춘망부

春望賦

위심

違心

산석영정중월

山夕詠井中月

부벽루

浮碧樓

문기장자시

文機障子詩

부황려 시이계재

復黃驪 示李季才

유어

游魚

시벽

詩癖

삼마시

三魔詩

면잠

面箴

중유북산

重遊北山

속절족궤명

續折足几銘

최상국 사정낭중홍진화묵죽

崔相國 使丁郞中鴻進畫墨竹

우음이수유감

偶吟二首有感

화자미성도초당시운

和子美成都草堂詩韻

만망

晩望

대농부음

代農夫吟

강상월야 망객주

江上月夜 望客舟

북산잡제

北山雜題

동명왕편

東明王篇

기미오월일 지주사최공택

己未五月日 知奏事崔公宅

등롱시

燈籠詩

춘일방산사

春日訪山寺

요화백로

蓼花白鷺

신곡행

新穀行

문군수수인이장피죄

聞郡守數人以贓被罪

희이군중민봉군

戱李君中敏縫裙

책묘

責猫

득흑묘아

得黑貓兒

방서

放鼠

 

주뢰설

舟賂說

슬견설

蝨犬說

사륜정기

四輪亭記

굴원불의사론

屈原不宜死論

구시마문

驅詩魔文

논시중미지약언

論詩中微旨略言

동명왕편 병서

東明王篇 幷序

답전리지논문서

答全履之論文書

경설

鏡說

상최상국서

上崔相國書

기명설

忌名說

오덕전극암시발미

吳德全戟巖詩跋尾

군신맹고문

君臣盟告文

유자후문질평

柳子厚文質評

백운거사어록

白雲居士語錄

광변

狂辨

 

 

청강사자현부전

淸江使者玄夫傳

국선생전

麴先生傳

백운소설

 

문학통사

한국한시사

 

 

 

 

 

 

인용

안내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문놀이터 > 인물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해崔瀣: 1287(충렬왕 13)~1340(충혜왕 복위 1)  (0) 2019.01.16
일연一然: 1206(희종 2)~1289(충렬왕 15)  (0) 2019.01.16
진화陳澕: ?~?  (0) 2019.01.16
김극기金克己: ?~?  (0) 2019.01.15
임춘林椿: ?~?  (0) 2019.01.15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