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조희룡 - 최북(崔北) 본문

한문놀이터/인물

조희룡 - 최북(崔北)

건방진방랑자 2019. 12. 15. 18:43
728x90
반응형

기이하고도 대단한 예술가, 최북

최북(崔北)

 

조희룡(趙熙龍)

 

 

崔北, 七七, 字亦奇矣. 善畵山水屋木, 筆意蒼鬱, 辦香大癡, 終以己意, 成一家者也, 自號毫生館. 爲人, 激仰排兀, 不以小節自束.

嘗於某家逢達官, 達官指向主人曰: “彼坐者姓誰?” 仰面向達官曰: “先問君姓誰何?” 其傲慢如是也.

遊金剛至九龍淵, 忽大叫曰: “天下名士, 死於天下名山, 足矣.” 墜淵幾至不救.

一貴人, 要畵於, 而不能致, 將脅之. 怒曰: “人不負吾, 吾目負吾.” 乃刺一目而眇, 老挂靉靆一圈而已.

年四十九而卒, 人以爲七七之讖.

壺山居士曰: “北風烈也, 不作王門伶人, 足矣. 何乃自苦如此.” 壺山外記

 

 

영화 [취화선]은 장승업의 이야기지만 마치 최북의 얘기인 것도 같다.   

 

 

 

 

해석

崔北, 七七, 字亦奇矣.

최복의 자는 칠칠이니 자 또한 기이하다.

 

善畵山水屋木, 筆意蒼鬱, 辦香大癡,

산수화 집, 나무를 잘 그렸고 붓 놀림새는 짙고 울창했고瓣香: 한 묶음의 . 禪僧이 남을 축복할 때에 이 향을 피운다고 하는데, 의미가 바뀌어 남을 존경하고 사모함을 일컫는 말로도 쓰임 대치(大癡)도인元代 화가인 黃公望(1269~1354)으로 자는 子久이고 호는 一峯 또는 大痴道人.을 흠모하여

 

終以己意, 成一家者也, 自號毫生館.

마침내 자기의 뜻으로 일가를 이루어, 자호를 호생관(毫生館)’이라 했다.

 

爲人, 激仰排兀, 不以小節自束.

사람됨은 감정이 격양되어 있고 거리끼는 게 없어 작은 예절에 스스로를 가두지 않았다.

 

嘗於某家逢達官,

일찍이 아무개 집에서 고관대작을 만났는데

 

達官指向主人曰: “彼坐者姓誰?”

고관대작이 최북을 가리키며 주인에게 말했다. “저기 앉은 자의 이름은 뭔가?”

 

仰面向達官曰: “先問君姓誰何?”

최북은 얼굴을 치켜들고 고관대작을 향해 말했다. “먼저 묻겠으니 그대 이름은 뭔가?”

 

其傲慢如是也.

오만함이 이와 같았다.

 

遊金剛至九龍淵, 忽大叫曰:

금강산을 유람할 적에 구룡연에 이르자 갑자기 소리 지르며 말했다.

 

天下名士, 死於天下名山, 足矣.”

천하의 명사는 천하의 명산에서 죽는 게 낫다.”

 

墜淵幾至不救.

연못에 떨어지려 하자 거의 구하지 못할 지경이었다.

 

一貴人, 要畵於, 而不能致, 將脅之.

한 고관대작이 최북에게 그림을 요구했지만 얻질 못하자 장차 그를 위협했다.

 

怒曰: “人不負吾, 吾目負吾.”

최북은 화내며 말했다. “남들이 나를 저버리지 않는데 내 눈이 나를 저버리는 구나.”

 

乃刺一目而眇, 老挂靉靆一圈而已.

곧 한쪽 눈을 찔러 애꾸눈이 되었고 늙어선 안경을 한쪽 눈에 걸 뿐이었다.

 

年四十九而卒, 人以爲七七之讖.

나이 49세에 죽으니 사람들은 칠칠(7X7)이 참서(讖書)가 되었다고 여겼다.

 

壺山居士曰: “北風烈也, 不作王門伶人, 足矣.

호산거사가 평했다. “북풍의 매서움으로 고관의 사람으로 부려지지 않으면 괜찮다.

 

何乃自苦如此.” 壺山外記

그런데 어째서 스스로 괴롭게 하길 이와 같이 하는가?”

 

 

인용

壺山外記 기록

金陵集 기록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