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말 머리에 무지개가 뜬 광경을 적은 글 - 1. 자연을 담아내는 신채나는 표현 본문

책/한문(漢文)

말 머리에 무지개가 뜬 광경을 적은 글 - 1. 자연을 담아내는 신채나는 표현

건방진방랑자 2020. 4. 14. 10:24
728x90
반응형

1. 자연을 담아내는 신채나는 표현

 

 

밤에 봉상촌鳳翔村[각주:1]에서 자고 새벽에 강화로 출발하였다. 5리쯤 가자 비로소 동이 텄는데 티끌 기운 하나 없이 깨끗하였다. 해가 겨우 한 자쯤 떠오르는가 싶자 문득 까마귀 머리만 한 시커먼 구름이 해를 가리더니 얼마 지나지 않아 해를 반이나 덮어 버렸다. 침침하고 어둑하여 한을 품은 것 같기도 하고, 수심에 잠긴 것 같기도 한데, 잔뜩 찡그려 편치 않은 모습이었다. 햇살은 옆으로 뻗쳐 나와 모두 꼬리별을 이뤘으며, 하늘 아래로 방사放射되는 모양이 흡사 성난 폭포 같았다.

夜宿鳳翔邨, 曉入沁都. 行五里許, 天始明, 無纖氛點翳. 日纔上天一尺, 忽有黑雲, 點日如烏頭, 須臾掩日半輪. 慘憺窅冥, 如恨如愁, 頻蹙不寧. 光氣旁溢, 皆成彗孛, 下射天際如怒瀑.

글머리를 아주 간결하게 열고 있다. “비로소()” “겨우()” “문득()” “얼마 지나지 않아(須臾)” 등등 시간을 나타내는 말을 빈번히 사용함으로써 자연의 급격한 변화를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다. “침침하고 어둑하여 한을 품은 것 같기도 하고, 수심에 잠긴 것 같기도 한데, 잔뜩 찡그려 편치 않은 모습이었다(慘憺窅冥, 如恨如愁, 頻蹙不寧.)”라는 구절은, 자연의 의인화다. 이 글에서는 자연의 의인화한 이런 표현이 자주 눈에 띈다. 의인화와 반대로 인간이 자연물의 이미지로 표현되는 건 의물화擬物化라고 할 수 있겠는데, 의인화든 의물화든 모두 인간이 자연과 교감하는 미적 방식이다.

시커먼 구름에 반쯤 가려진 해에서 쏟아져 내리는 햇발을 성난 폭포 같았다(如怒瀑)”라고 형용했는데, 대단히 힘이 있고 신채神彩 나는 표현으로 느껴진다. 연암은 이처럼 기운이 펄펄한 글을 잘 쓰는 사람으로 당대에 이름이 높았다.

이 단락은 전체적으로 아주 빠른 템포로 급변하는 자연의 자태를 포착해보이고 있다. 그 구사하는 이미지는 퍽 감각적이고 구체적이며, 대단히 선연하다. 그리고 뒤로 가면 갈수록 독자는 마음이 위축되면서 일말의 불안감 같은 걸 느끼게 된다. 연암이 활달하고 빠른 필치로 소묘해 놓은 험상궂은 풍경화가 우리의 마음에 스며듦으로써다.

 

 

  

 

 

 

인용

목차

원문

작가 이력 및 작품

1. 자연을 담아내는 신채나는 표현

2. 동양화의 화법으로 구름을 묘사하다

3. 능청스러워 보일 정도로 깔끔하고 절제된 미학

4. 총평

 

 

 

 

  1. 봉상촌鳳翔村: 지금의 김포군 통진면의 고을 이름이다. 이곳에는 연암가家의 전장田庄이 있었다. 이 전장은 연암의 6대조인 박동량朴東亮(1569~1635)이 처음 마련한 것으로서, 연암 증조부의 묘도 여기에 있었다. 봉상촌에서 강화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서북쪽으로 15리쯤에 있는 문수산을 향해 간 다음, 문수산의 서쪽 산자락을 돌아 다시 2, 3리를 가 지금의 강화대교 부근에 있던 나루에서 물을 건너야 했다. 조선 시대 당시의 길로 그렇다는 말이다. 이 길은 툭 트인 김포평야 사이로 난 길인데, 연암은 이 평야지대를 지나면서 목도한 광경을 글로 적고 있다. -『연암을 읽는다』, 34쪽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