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말 머리에 무지개가 뜬 광경을 적은 글 - 3. 능청스러워 보일 정도로 깔끔하고 절제된 미학 본문

책/한문(漢文)

말 머리에 무지개가 뜬 광경을 적은 글 - 3. 능청스러워 보일 정도로 깔끔하고 절제된 미학

건방진방랑자 2020. 4. 14. 10:45
728x90
반응형

3. 능청스러워 보일 정도로 깔끔하고 절제된 미학

 

 

말을 재촉해 10리 남짓 가자 문득 햇빛이 비치는데 점점 밝고 고와졌다. 조금 전의 험상궂던 구름은 모두 아름답고 상서로운 구름으로 변해 오색이 영롱하였다. 말 머리에 한 길 남짓 무슨 기운이 어리는데, 누렇고 탁한 게 흡사 기름이 엉긴 것 같았다. 그것은 잠깐 새에 갑자기 청홍색으로 변하더니 높다라니 하늘까지 닿아 그것을 문으로 삼아 들어가거나 그것을 다리로 삼아 저편으로 건너갈 수 있을 성싶었다. 처음 말 머리에 있을 때는 손으로 만질 수 있을 것만 같았는데 앞으로 나아가면 나아갈수록 더욱 멀어졌다. 이윽고 문수산성文殊山城[각주:1]에 이르러 산기슭을 돌아 나오며 바라보니 강[각주:2] 따라 백 리 사이에 강화부 외성外城[각주:3]의 흰 성가퀴[각주:4]가 햇빛에 반짝거리고, 무지개 발[각주:5]은 아직도 강 한가운데 꽂혀 있었다.

促馬行十餘里, 日光忽透, 漸益明麗. 向之頑雲, 盡化慶霱祥曇, 五彩絪縕. 馬首有氣丈餘, 黃濁如凝油. 指顧之間, 忽變紅碧, 矯矯冲天, 可門而由也, 橋而度也. 初在馬首, 可手摸也, 益前益遠. 已而行至文殊山城, 轉出山足, 望見沁府外城, 緣江百里, 粉堞照日, 而虹脚猶揷江中也.

이 단락은 변화로 가득하다. 시시각각 바뀌는 눈앞의 정경을 따라잡기 위해 연암은 문득()” “잠깐 새에(指顧之間)” “갑자기()” “처음()” “이윽고(已而)” 등등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부사어들을 숨 가쁘게 동원하고 있다.

잔뜩 찌푸린 하늘이 어느새 활짝 개고, 고운 해가 얼굴을 내민다. 그리고 똑같은 구름이건만 조금 전에는 험상궂던 것이 지금은 밝고 상서로운 빛으로 싹 바뀌었다. 하늘의 조화란 이런 것이다. 이 대목에서 연암의 필치는 아주 경쾌하고 명랑하다. 청초하고 산뜻한 풍경을 대하면서 그 마음이 환해져서일 것이다.

바로 이때다, 무지개가 하늘에 쫙 떠오르는 건, 그것은 처음에 말 머리에서 시작되어 순식간에 하늘까지 쭉 뻗친다. 연암은 문득 생각한다. 이것을 문으로 삼아 저편으로 들어갈 수 있겠구나, 이것을 다리로 삼아 건너편으로 건너갈 수 있겠구나라고. 하지만 그것은 손으로 움켜잡을 수 있을 듯이 보임에도, 다가가면 다가갈수록 점점 더 멀어진다. 무지개란 바로 그런 것이다. 어린 시절 무지개를 잡아보려고 얼마나 달음박질치곤 했던가. 그리고 그것이 허망한 일임을 이내 깨닫고 망연자실한 눈으로 하늘을 바라볼 때 그것은 얼마나 경이롭고 아름답던가.

더구나 연암이 본 무지개는 그 아치arch가 말 머리에서 시작되어 평야를 가로질러 강화해협에 꽂힌 것이었다. 다시 말해 자기 앞에서 시작되어 물에서 끝나는 모양을 취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루 말할 수 없이 아름다웠으리라 상상된다. 연암이 느낀 미감은 마지막 구절, 산기슭을 돌아 나오며 바라보니 강 따라 백 리 사이에 강화부 외성의 흰 성가퀴가 햇빛에 반짝거리고, 무지개 발은 아직도 강 한가운데 꽂혀 있었다(轉出山足, 望見沁府外城, 緣江百里, 粉堞照日, 而虹脚猶揷江中也.)”라는 구절에서 그 절정에 달한다. 바로 이 절정에서 이 글은 단 한마디의 말도 덧붙이지 않고 종결된다. 이처럼 미감의 절정에서 느닷없이 글이 끝나기 때문에 독자는 한 편으로는 아연하고, 한편으로는 당혹스럽다. 하지만 이 당혹감은 금새 긴 여운과 선연한 인상으로 전환된다. 이처럼, 능청스러워 보일 정도로 깔끔하고 절제된 종결부의 미학은 이 글 전편全篇을 이 마지막 구절에 수렴되게 하고, 이 마지막 구절에 초점이 맺히도록 만들고 있다. 연암은 사진으로 치면 몇 컷의 사진을 찍은 셈이고, 그림으로 치면 몇 폭의 그림을 그린 셈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이 마지막 장면을 담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 구절의 언어는 아주 형상적이고, 생신하다. 특히, “꽂혀 있었다()”라는 표현은 대단히 참신하고 뾰족하다. 그래서 정말 손으로 만질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연암이 구사하는 언어의 생명력이 이런 데서 잘 드러난다.

사족 한 마디, 연암의 무지개를 문이나 다리로 상념한 것을 두고, 이상세계를 희구했다느니, 저 너머 미지의 세계를 상상했다느니 하고 해석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이런 해석은 멋있어 보이기는 하지만, 우리에게 익숙한 서구적 무지개의 관념을 연암의 글에 덧씌운, 따라서 완전히 잘못된 해석이다. 이글에서 연암이 무지개를 문이나 다리로 상념한 것은, 자신이 곧 해협을 건너야 했기 때문이다. 연암은 김포평야에서 시작해 해협을 가로질러서 떠 있는 무지개를 보면서, 문득 홍예교虹蜺橋(=무지개 다리)처럼 저걸 밟고 해협을 건널 수 있겠다는 상상을 해본 것이다.

 

 

  

 

 

 

 

인용

목차

원문

작가 이력 및 작품

1. 자연을 담아내는 신채나는 표현

2. 동양화의 화법으로 구름을 묘사하다

3. 능청스러워 보일 정도로 깔끔하고 절제된 미학

4. 총평

 

  1. 문수산文殊山: 김포시 월곶면 강화대교 바로 앞에 있는데 해발 376m의 그리 높지 않은 산이다. 그러나 김포평야 가운데 불쑥 솟아 있어 아담한 운치가 있으며, 산등성이에는 숙종 때 쌓은 산성이 있었다. 이 산성은 고종 3년인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에 의해 파괴되었다. 문수산 산자락의 서쪽을 돌아 조금만 가면 나루가 나온다. 이 나루는 강화해협을 사이에 두고 갑곶과 마주보고 있다. 갑곳에서 동으로 10리를 가면 바로 강화읍이다. [본문으로]
  2. 강江: 곧 강화해협을 가리킨다. [본문으로]
  3. 심부외성沁府外城: 강화도의 동쪽 해협을 따라 긴 성이 축조되어 있었던바, 이것이 곧 강화부 외성이다. 이 성은 고려 제23대 고종이 몽골의 침입에 맞서기 위해 강화도로 도읍을 옮기면서 처음 쌓았으며, 조선조 광해군 10년(1618)에 수축하고 영조 21년(1745)에 고쳐 쌓았다. 연암이 본 건 영조 때 고쳐 쌓은 성일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거의 다 무너졌으며 오직 하점면 망월리와 불은면 오두리에 그 일부가 남아 있다. 한편 현재의 강화읍을 둘러싸고 있는 성을 강화 내성內城이라고 한다. [본문으로]
  4. 성가퀴(堞):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을 말한다. [본문으로]
  5. 무지개 발(虹脚): 무지개의 밑동, 즉 무지개의 지상에 닿은 부분을 말한다. 앞에 나온 빗발이라는 말과 서로 호응을 이루는 말이다.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