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귀신이 지은 시를 완성하여 장원급제한 정지상
俗傳. 學士鄭知常嘗肄業山寺, 一日夜, 月明獨坐梵閣, 忽聞詠詩聲曰: “僧看疑有刹, 鶴見恨無松.” 以爲鬼物所告.
後入詩院, 考官以‘夏雲多奇峯’爲題, 而押峯韻. 知常忽憶此句, 仍續成, 書呈, 其詩曰: “白日當天中, 浮雲自作峰. 僧看疑有刹, 鶴見恨無松. 電影樵童斧, 雷聲隱寺鐘. 誰云山不動, 飛去夕陽風.” 考官至頷聯, 極稱警語, 遂置之嵬級云.
‘僧看鶴見’一聯雖佳, 其他皆是穉髫語, 何所取而至於去魁, 未可知也,
해석
俗傳.
속설에 전하는 말이다.
學士鄭知常嘗肄業山寺,
학사 정지상이 일찍이 산사에서 공부했는데
一日夜, 月明獨坐梵閣, 忽聞詠詩聲曰: “僧看疑有刹, 鶴見恨無松.”
하룻밤은 달 밝아 홀로 범각에 앉았다가 갑자기 시를 읊조리는 소리를 듣게 됐다.
僧看疑有刹 鶴見恨無松 | 스님은 보고 절이 있나 의심하고 학은 보다가 소나무가 없자 한스러워하네. |
以爲鬼物所告.
귀물이 말한 것이라 생각했다.
後入詩院, 考官以‘夏雲多奇峯’爲題, 而押峯韻.
후에 과거시험을 보러 가니 고시관은 ‘夏雲多奇峯’을 시제로 삼고 ‘봉(峯)’ 운자로 압운하라고 했다.
知常忽憶此句, 仍續成, 書呈, 其詩曰: “白日當天中, 浮雲自作峰. 僧看疑有刹, 鶴見恨無松. 電影樵童斧, 雷聲隱寺鐘. 誰云山不動, 飛去夕陽風.”
정지상은 갑자기 이 시구가 떠올라 이어 완성하였고 써서 드렸으니 그 시는 아래와 같다.
白日當天中 浮雲自作峰 | 흰 해가 중천에 당도하니 뜬 구름이 절로 봉우리 짓네. |
僧看疑有刹 鶴見恨無松 | 스님은 보고서 절이 있나 의심하고 학은 보고 소나무 없음을 한스러워하네. |
電影樵童斧 雷聲隱寺鐘 | 우레의 그림자는 나무꾼의 도끼이고 우레 소리는 숨은 사찰의 종소리라네. |
誰云山不動 飛去夕陽風 | 누가 ‘산은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하나? 석양의 바람에 날아가는 것을. |
考官至頷聯, 極稱警語, 遂置之嵬級云.
고시관이 함련에 이르러 ‘놀랄 만한 말’이라고 매우 칭찬하고 마침내 장원에 두었다고 한다.
‘僧看鶴見’一聯雖佳, 其他皆是穉髫語,
‘스님이 본다나 학이 본다’라는 한 연이 비록 좋지만 다른 구절은 모두 어린 아이의 말과 같으니
何所取而至於去魁, 未可知也,
무엇을 취해서 장원을 거두는 데에 이르렀는지는 알 수가 없다.
인용
'문집 > 시화총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한잡록 - 50. (0) | 2020.05.06 |
---|---|
소문쇄록 - 33. 귀신이 지은 시 때문에 죽다 (0) | 2020.05.05 |
견한잡록 - 49. (0) | 2020.05.05 |
견한잡록 - 48. (0) | 2020.05.05 |
견한잡록 - 47. (0) | 2020.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