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왕지고(康王之誥)
今文古文皆有로되 但今文은 合于顧命하니라
인용
제1장(第一章)
王이 出在應門之內어시늘 太保는 率西方諸侯하여 入應門左하고 畢公은 率東方諸侯하여 入應門右하니 皆布乘黃朱러라 賓이 稱奉圭兼幣하여 曰 一二臣衛는 敢執壤奠이라하고 皆再拜稽首한대 王이 義嗣德이라 答拜하시다
漢孔氏曰 王出畢門하여 立應門內라 鄭氏曰 周禮五門이니 一曰皐門이요 二曰雉門이요 三曰庫門이요 四曰應門이요 五曰路門이니 路門은 一曰畢門이라 外朝는 在路門外하니 則應門之內는 蓋內朝所在也라 周中分天下諸侯하여 主以二伯하여 自陝以東은 周公主之하고 自陝以西는 召公主之하니 召公率西方諸侯는 蓋西伯舊職이요 畢公率東方諸侯는 則繼周公하여 爲東伯矣라 諸侯入應門하여 列于左右하니라 布는 陳也요 乘은 四馬也니 諸侯皆陳四黃馬而朱其쫖하여 以爲廷(庭)實이라 或曰 黃朱는 若篚厥玄黃之類라 賓은 諸侯也라 稱은 擧也니 諸侯擧所奉圭兼幣라 曰一二臣衛는 一二는 見非一也니 爲王蕃衛故로 曰臣衛라 敢執壤地所出奠贄라하고 皆再拜, 首至地하여 以致敬이라 義는 宜也니 義嗣德云者는 史氏之辭也라 康王이 宜嗣前人之德이라 故로 答拜也라 吳氏曰 穆公이 使人弔公子重耳한대 重耳稽顙而不拜하니 穆公曰 仁夫라 公子稽顙而不拜하니 則未爲後也라하니 蓋爲後者는 拜하나니 不拜라 故로 未爲後也라 弔者, 含者, 禭者 升堂致命이어든 主孤拜稽顙하나니 成爲後者也라 康王之見諸侯에 若以爲不當拜라하여 而不拜면 則疑未爲後也요 且純乎吉也니 答拜는 旣正其爲後요 且知其以喪見也니라
인용
제2장(第二章)
太保曁芮伯으로 咸進相揖하고 皆再拜稽首하여 曰 敢敬告天子하노이다 皇天이 改大邦殷之命이어시늘 惟周文武誕受羑若하사 克恤西土하시니이다
冢宰及司徒與群臣이 皆進相揖하여 定位하고 又皆再拜稽首하여 陳戒於王曰 敢敬告天子라하니 示不敢輕告요 且尊稱之는 所以重其聽也라 曰大邦殷者는 明有天下 不足恃也라 羑若은 未詳이라 蘇氏曰 羑는 羑里也니 文王이 出羑里之囚에 天命自是始順이라하고 或曰 羑若은 卽下文之厥若也라하니 羑厥에 或字有訛謬라 西土는 文武所興之地니 言文武所以大受命者는 以其能恤西土之衆也라 進告에 不言諸侯는 以內見外라
인용
제3장(第三章)
惟新陟王이 畢協賞罰하사 戡定厥功하사 用敷遺後人休하시니 今王은 敬之哉하사 張皇六師하사 無壞我高祖寡命하소서
陟은 升遐也니 成王初崩하여 未葬未諡라 故로 曰新陟王이라 畢은 盡이요 協은 合也라 好惡在理하고 不在我라 故로 能盡合其賞之所當賞, 罰之所當罰하여 而克定其功하여 用施(이)及後人之休美하니 今王嗣位에 其敬勉之哉인저 皇은 大也니 張皇六師하고 大戒戎備하여 無廢壞我文武艱難寡得之基命也라 按召公此言은 若導王以尙威武者라 然守成之世엔 多溺宴安하여 而無立志하나니 苟不詰爾戎兵하여 奮揚武烈이면 則廢弛怠惰하여 而陵遲之漸이 見矣라 成康之時에 病正在是라 故로 周公於立政에 亦懇懇言之하시니라 後世에 墜先王之業하고 忘祖父之讐하여 上下苟安하여 甚至於口不言兵하니 亦異於召公之見矣니 可勝嘆哉아
인용
제4장(第四章)
王若曰 庶邦侯甸男衛아 惟予一人釗는 報誥하노라
報誥而不及群臣者는 以外見內라 康王在喪이라 故로 稱名하니 春秋嗣王在喪에도 亦書名也하니라
인용
제5장(第五章)
昔君文武 丕平富하시며 不務咎하사 底(지)至齊信하사 用昭明于天下어시늘 則亦有熊羆之士와 不二心之臣이 保乂王家하여 用端命于上帝하시니 皇天이 用訓厥道하사 付畀四方하시니라
丕平富者는 溥博均平하고 薄斂富民이니 言文武德之廣也요 不務咎者는 不務咎惡하여 輕省刑罰이니 言文武罰之謹也라 底至者는 推行而底其至也요 齊信者는 兼盡而極其誠也라 文武務德不務罰之心을 推行而底其至하고 兼盡而極其誠하여 內外充實이라 故로 光輝發越하여 用昭明于天下하니 蓋誠之至者 不可揜也요 而又有熊羆武勇之士와 不二心忠實之臣이 戮力同心하여 保乂王室하여 文武用受正命於天하시니 上天이 用順文武之道하여 而付之以天下之大也라 康王言此者는 求助群臣諸侯之意라
인용
제6장(第六章)
乃命建侯樹屛은 在我後之人이니 今予一二伯父는 尙胥曁顧綏爾先公之臣服于先王하여 雖爾身在外하나 乃心은 罔不在王室하여 用奉恤厥若하여 無遺鞠子羞하라
天子稱同姓諸侯曰伯父라 康王言 文武所以命建侯邦하여 植立蕃屛者는 意蓋在我後之人也니 今我一二伯父 庶幾相與顧綏爾祖考 所以臣服于我先王之道하여 雖身守國在外하나 乃心은 當常在王室하여 用奉上之憂勤하여 其順承之하여 毋遺我稚子之恥也라
인용
제7장(第七章)
群公이 旣皆聽命하고 相揖趨出이어늘 王이 釋冕하시고 反喪服하시다
始相揖者는 揖而進也요 此相揖者는 揖而退也라 蘇氏曰 成王崩未葬에 君臣皆冕服이 禮歟아 曰 非禮也니라 謂之變禮 可乎아 曰 不可하다 禮는 變於不得已하나니 嫂非溺이면 終不援也라 三年之喪에 旣成服하고 釋之而卽吉은 無時而可者니라 曰 成王顧命을 不可以不傳이요 旣傳이면 不可以喪服受也니라 曰 何爲其不可也오 孔子曰 將冠子할새 未及期日하여 而有齊衰大功之喪이면 則因喪服而冠이라하시니 冠은 吉禮也로되 猶可以喪服行之하니 受顧命, 見諸侯에 獨不可以喪服乎아 太保使太史奉冊하여 授王于次어든 諸侯入哭於路寢하고 而見王於次하며 王은 喪服으로 受敎戒諫하고 哭踊答拜니 聖人復起라도 不易斯言矣시리라 春秋傳曰 鄭子皮如晉하여 葬晉平公할새 將以幣行한대 子産曰 喪에 安用幣리오호되 子皮固請以行이러니 旣葬에 諸侯之大夫 欲因見新君한대 叔向이 辭之曰 大夫之事畢矣어늘 而又命孤하시니 孤는 斬焉在衰絰之中하시니 其以嘉服見이면 則喪禮未畢이요 其以喪服見이면 是는 重受弔也니 大夫將若之何오하니 皆無辭以退하니라 今康王이 旣以嘉服見諸侯하고 而又受乘黃玉帛之幣하니 使周公在면 必不爲此하시리라 然則孔子何取此書也오 曰 至矣라 其父子君臣之間에 敎戒深切著明하여 足以爲後世法하니 孔子何爲不取哉시리오 然이나 其失禮則不可不辨이니라
인용
'고전 > 서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 주서, 군진 - 전문 (0) | 2020.06.30 |
---|---|
서경, 주서, 고명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주서, 필명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주서, 군아 - 전문 (0) | 2020.06.30 |
서경, 주서, 경명 - 전문 (0)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