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국한시사, 목릉성세의 풍요와 화미 - 관각의 대수: 황정욱(黃廷彧)③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국한시사, 목릉성세의 풍요와 화미 - 관각의 대수: 황정욱(黃廷彧)③

건방진방랑자 2021. 12. 20. 23:11
728x90
반응형

다음으로 황정욱(黃廷彧)차이백생순인영옥당소도(次李伯生純仁詠玉堂小桃)을 보인다. 대부분의 시선집에 차옥당소도운(次玉堂小桃韻)으로 수재(收載)되고 있어 줄여진 이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無數宮花倚粉墻 궁중에 핀 꽃들이 담장 위에 기대니
遊蜂戱蝶趁餘香 벌 나비 향기 맡고 어지러이 날아 든다.
老翁不及春風看 그러나 이 늙은이 봄이 온 줄도 모르고
空有葵心向太陽 공연히 해바라기 마음으로 태양을 향하네.

 

옥당(玉堂)의 소도(小桃)를 두고 이순인(李純仁)야직(夜直)에 차운(次韻)한 작품이다.

 

허균(許筠)성수시화(惺叟詩話)59에서 이 시를 함의(含意)가 심원(深遠)하고 조사(措辭)가 기한(奇悍)하다고 평하기도 하였거니와 당시의 세태(世態)를 심원(深遠)한 우의(寓意)로 그려낸 것이 이 작품이다[含意深遠 措辭奇悍 爲詩不當若是耶 綺麗風花 返傷其厚].

 

벼슬에 군침을 흘리는 벼슬아치들은 난만한 궁중의 꽃을 보고 벌 나비 떼처럼 덤벼들지만, 정작 이 늙은 시인은 봄이 오는지 어떤지도 알지 못하고 다만 충직(忠直)한 신하의 마음만 있어 해바라기가 해를 따라 돌듯이 임금님만 생각한다는 것이다. 이쯤이면 조직(組織)의 솜씨도 더 바랄 것이 없을 듯 싶다.

 

 

 

 

 

 

인용

목차

서사한시

한시미학

16~17세기 한시사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