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민병수 - 한국한시사 목차 본문

책/한시(漢詩)

민병수 - 한국한시사 목차

건방진방랑자 2021. 12. 21. 15:21
728x90
반응형

 한국한시사(韓國漢詩史) 목차

 

민병수(閔丙秀)

 

 

1. 서설(序說)

 

1) 한시연구의 과제

 

2) 자료의 선택 문제

청구풍아(靑丘風雅)와 송시학(宋詩學)의 극복

국조시산(國朝詩刪)과 격조론

기아(箕雅)와 절충론

풍요(風謠)와 위항시인(委巷詩人)의 의지

대동시선(大東詩選)과 민족의식(民族意識)

 

3) 작품의 평가 문제

고려의 시화집

조선의 시화집

 

 

 

2. 한시의 초기 모습

 

1) 대륙(大陸)의 노래

공후인(箜篌引)

황조가(黃鳥歌)

인삼찬(人蔘讚)

 

2) 북방(北方)의 기개(氣槪)

을지문덕의 여수장우중문(與隋將于仲文)

정법사의 영고석(詠孤石)

 

3) 남방(南方)의 서정(抒情)

진덕여왕의 직금헌당고종(織錦獻唐高宗)

김지장의 송동자하산(送童子下山)

설요의 반속요(返俗謠)

왕거인의 분원시(憤怨詩)

 

 

 

3. 라말려초시(羅末麗初詩)의 성격과 만당(晚唐)의 영향

 

1) 라말려초시(羅末麗初詩)의 일반적 성격

최치원(崔致遠)과 라말(羅末)의 유학생들

최치원(崔致遠)

최광유(崔匡裕)

박인범(朴仁範)

최승우(崔承祐)

 

여조시(麗朝詩)의 창시자(倡始者)

장연우(張延祐)

박인량(朴寅亮)

곽여(郭璵) & 김황원(金黃元) & 인빈(印份)

김부식(金富軾)

정습명(鄭襲明)

고조기(高兆基)

최유청(崔惟淸)

 

정지상(鄭知常)과 요체시(拗體詩)

 

2) 나말여초시의 만당(晚唐)과의 거리

 

 

 

4. 송시학(宋詩學)의 수용과 한국시의 발견

 

1) 송시학(宋詩學)의 수용

이인로(李仁老)와 죽림칠현(竹林七賢)의 등장

이인로(李仁老)

임춘(林春)

오세재(吳世才)

조통(趙通)&황보항(皇甫沆)&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

 

김극기(金克己)와 진화(陳澕)의 소이(小異)

김극기(金克己)

진화(陳澕)

 

한림제유(翰林諸儒)와 사원(詞苑)의 흥기

유승단(兪升旦) & 이공로(李公老) & 이윤보(李允甫)

조충(趙沖) & 김양경(金良鏡) & 임유정(林惟正)

 

이규보(李奎報)의 종의분방(縱意奔放)

 

이규보(李奎報)의 후예들

최자(崔滋) & 김구(金坵)

김지대(金之岱) & 곽예(郭預) & 홍간(洪侃)

 

2) 한국시(韓國詩)의 발견(發見)

 

 

 

5. 성리학(性理學)의 수입과 한국시(韓國詩)의 정착(定着)

 

1) 성리학의 수입과 문학관념(文學觀念)의 대두(對頭)

 

2) 한국시(韓國詩)의 정착(定着)

이제현(李齊賢)과 이곡(李穀)의 관풍의식(觀風意識)

이제현(李齊賢)

이곡(李穀)

 

최해(崔瀣)의 곤돈(困頓)과 정포(鄭誧)의 유려(流麗)

 

이색(李穡)의 박채불유(博採不遺)

 

정몽주(鄭夢周)의 호방(豪放)과 이숭인(李崇仁)의 전아(典雅)

정몽주(鄭夢周)

이숭인(李崇仁)

 

려말(麗末)의 시인(詩人)

신천(辛蕆) & 한종유(韓宗愈) & 이달충(李達衷)

한수(韓脩) & 정추(鄭樞) & 설손(偰遜)

김구용(金九容) & 유숙(柳淑) & 이집(李集)

 

운석(韻釋)의 시편(詩篇)

달전(達全) & 천인(天因) & 원감(圓鑑) & 진정(眞靜) & 선탄(禪坦) & 굉연(宏然)

 

 

 

6. 조선전기(朝鮮前期)의 다양한 전개(展開)

 

1) 문학관념(文學觀念)의 성립(成立)

 

2) 국초(國初) 소단(騷壇)의 양상

정도전(鄭道傳) & 권근(權近)

이첨(李詹) & 정이오(鄭以吾) & 유방선(柳方善)

 

3) 초기(初期)의 대가(大家)

김수온(金守溫) & 성간(成侃)

서거정(徐居正)

김종직(金宗直)

김시습(金時習)

 

4) 해동(海東)의 강서시파(江西詩派)

박은(朴誾)

이행(李荇)

정사룡(鄭士龍)

 

5) 당시(唐詩) 성향의 대두

이주(李胄) & 신종호(申從濩)

강혼(姜渾)

정희량(鄭希良)

남곤(南袞)

박상(朴祥)

신광한(申光漢) & 김정(金淨)

기준(奇遵)

임억령(林億齡) & 김인후(金麟厚)

최수성(崔壽峸)

나식(羅湜)

 

6) 유가(儒家)의 시편(詩篇)

서경덕(徐敬德)

조욱(超昱) & 이언적(李彦迪)

이황(李滉)

조식(曺植)

 

 

 

7. 목릉성세(穆陵盛世)의 풍요(豊饒)와 화미(華美)

 

1) 관각(館閣)의 대수(大手)

노수신(盧守愼)

황정욱(黃廷彧)

 

2) 이학자(理學者)의 여기(餘技)

이이(李珥) & 송익필(宋翼弼)

성혼(成渾) & 정구(鄭逑)

 

3) 도선가(道仙家)의 명작(名作)

정렴(鄭磏) & 정작(鄭碏) & 박지화(朴枝華) & 양사언(楊士彦)

 

4) 당파(唐派)의 광망(光芒)

박순(朴淳)

최경창(崔慶昌)

백광훈(白光勳)

이달(李達)

정지승(鄭之升)

고경명(高敬命)

정철(鄭澈)

임제(林悌)

허봉(許篈)

 

5) 문필가(文筆家)의 시세계

유몽인(柳夢寅)

이수광(李睟光)

허균(許筠)

 

6) 문장가(文章家)의 시작(詩作)

최립(崔岦)

신흠(申欽)

이정구(李廷龜)

장유(張維)

이식(李植)

 

7) 난중(亂中)의 명가(名家)

이호민(李好閔)

차천로(車天輅)

권필(權韠)

이춘영(李春英)

임숙영(任叔英)

김상헌(金尙憲)

이안눌(李安訥)

이민구(李敏求)

이명한(李明漢)

정두경(鄭斗卿)

 

8) 풍요(豊饒) 속의 음지(陰地)

유희경(劉希慶)

백대붕(白大鵬)

황진이(黃眞伊)

이옥봉(李玉峰)

계생(桂生)

허난설헌(許蘭雪軒)

위항시인(委巷詩人)

최기남(崔奇男)

김효일(金孝一)

최대립(崔大立)

 

 

 

8) 조선후기(朝鮮後期)의 황량(荒凉)과 조선시(朝鮮詩)의 자각(自覺)

 

1) 시론가(詩論家)의 시업(詩業)

남용익(南龍翼)

김득신(金得臣)

강백년(姜栢年)

홍만종(洪萬宗)

 

2) 백악시단(白嶽詩壇)과 진시운동(眞詩運動)

김창협(金昌協)

김창흡(金昌翕)

조성기(趙聖期)

홍세태(洪世泰)

남유용(南有容)

오광운(吳光運)

이병연(李秉淵)

 

3) 기속시인(紀俗詩人)의 낭만(浪漫)

신유한(申維翰)

최성대(崔成大)

신광수(申光洙)

홍양호(洪良浩)

이광려(李匡呂)

이학규(李學逵)

김려(金鑢)

이용휴(李用休)

 

4) 위항인(委巷人)의 선명(善鳴)

조수삼(趙秀三)

이언진(李彦瑱)

고시언(高時彦)

장혼(張混)

차좌일(車佐一)

정래교(鄭來僑)

정민교(鄭敏僑)

천수경(千壽慶)

박윤묵(朴允默)

 

5) 경세가(經世家)의 시편(詩篇)

정약용(丁若鏞)

이가환(李家煥)

홍석주(洪奭周)

김매순(金邁淳)

 

6) 후사가(後四家)와 죽지사(竹枝詞)

박지원(朴趾源)

이덕무(李德懋)

유득공(柳得恭)

박제가(朴齊家)

이서구(李書九)

 

7) 추사(秋史)와 자하(紫霞)의 변조(變調)

신위(申緯)

김정희(金正喜)

 

8) 하대부(下大夫)의 방향(芳香)과 불평음(不平音)

이상적(李尙迪)

정지윤(鄭芝潤)

현기(玄錡)

장지완(張之琬)

변종운(卞鍾運)

황오(黃五)

 

 

 

9. 한시(漢詩) 문학(文學)의 종장(終章)

 

1) 한말(韓末)의 사대가(四大家)

강위(姜瑋)

이건창(李建昌)

김택영(金澤榮)

황현(黃玹)

박규수(朴珪壽)

 

2) 우국(憂國)의 시인(詩人)

이남규(李南珪)

이기(李沂)

사조란(詞藻欄)

의병장의 시

유인석(柳麟錫) & 김복한(金福漢)

이인영(李麟榮) & 이강년(李康秊) & 김도현(金道鉉)

이은찬(李殷瓚) & 정환직(鄭煥直) & 전해산(全海山)

 

 

 

 

인용

지도 / 목차

편집 후기

略史 / 한시미학 / 서사시 / 우리 한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