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한국한시사, 목릉성세(穆陵盛世)의 풍요(豊饒)와 화미(華美) - 난중(亂中)의 명가(名家): 이호민(李好閔)② 본문

카테고리 없음

한국한시사, 목릉성세(穆陵盛世)의 풍요(豊饒)와 화미(華美) - 난중(亂中)의 명가(名家): 이호민(李好閔)②

건방진방랑자 2021. 12. 21. 07:32
728x90
반응형

이호민(李好閔)의 대표작인 용만행재 문하삼도병진공한성(龍灣行在 聞下三道兵進攻漢城)은 선조(宣祖)를 모시고 의주로 피란갔을 때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의 삼도(三道) 병사들이 한양에 웅거하고 있는 왜적을 치기 위하여 북진한다는 소식을 듣고서 그 감회를 읊은 것이다.

 

干戈誰着老萊衣 전쟁 중에 그 누가 노래자의 옷을 입으랴??
萬事人間意漸微 인간 만사 점차 뜻이 희미해지네.
地勢已從蘭子盡 지세는 이미 난자도에서 다 하였고
行人不見漢陽歸 한양에서 돌아오는 행인은 찾아볼 수 없네.
天心錯漠臨江水 임금님의 마음은 아득히 압록강까지 다달았는데
廟筭凄凉對夕暉 조정의 대책은 처량하게 석양만 쳐다보네.
聞道南兵近乘勝 남도병이 거의 승승장구한다는 말 들었건만
幾時三捷復王畿 어느 때에 세 번 이겨 한양성을 회복할까?

 

이 시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의 기막힌 정황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 보인 것이다. 이호민(李好閔)은 의주 행재소까지 임금을 모셨기 때문에 임금의 몽진(蒙塵)도 더 이상 갈 곳이 없는 극한 상황을 직접 목도(目睹)할 수 있었다. 그래서 함련(頷聯)의 직절한 표현도 가능할 수 있었을 것이다. 남용익(南龍翼)호곡시화(壺谷詩話)에서 이 시의 경련(頸聯)은 당시의 동년배로서는 감히 바랄 수도 없는 수작이라고 평하였으며 김택영은 그의 문집에서 이 시는 고금에 드문 훌륭한 작품으로 이백(李白)두보(杜甫)라도 옷깃을 여미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극찬하였다.

 

 

▲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영화의 한 장면. 의주로 피신가는 선조의 모습.   

 

 

 

 

인용

목차

서사한시

한시미학

16~17세기 한시사

존당파ㆍ존송파의 평론연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