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이인로 - 반월성(半月城) 본문

한시놀이터/삼국&고려

이인로 - 반월성(半月城)

건방진방랑자 2021. 4. 2. 18:05
728x90
반응형

반월성에 서서

반월성(半月城)

 

이인로(李仁老)

 

 

孤城微彎像半月 荊棘半掩猩㹳穴

鵠嶺靑松氣欝葱 雞林黃葉秋蕭瑟

自從大阿倒柄後 中原鹿死何人手

江女空傳玉樹花 春風幾拂金堤柳 東文選卷之六

 

 

 

 

해석

孤城微彎像半月
고성미만상반월
외로운 성의 조금 굽은 모양새가 반달 모양새이고
荊棘半掩猩㹳穴
형극반엄성오혈
가시나무가 날다람쥐 굴을 반절 가렸네.
鵠嶺靑松氣欝葱
곡령청송기울총
송악산의 푸른 소나무의 기운이 울창하고신라 말기(末期)에 최치원(崔致遠)이 고려 태조 왕건(王建)에게 글을 보냈는데, “곡령의 푸른 솔이요, 계림의 누른 잎이라.” 하는 문구가 있었다. 이것은 송도(松都)는 일어나고 경주(慶州)는 망하리라.”는 뜻이다.
雞林黃葉秋蕭瑟
계림황엽추소슬
경주의 누런 잎사귀는 가을이 쓸쓸하기만 하네.
自從大阿倒柄後
자종대아도병후
보검 태아의 자루를 거꾸로 잡음태아는 보검(寶劍)의 이름으로 한()나라 유향(劉向)의 상소(上疏), “태아를 거꾸로 쥐고서 칼 자루를 남의 손에 쥐어 주었다.”하는 말이 있는데, 그것은 임금이 정권(政權)을 남에게 맡긴 데 비유한 말이다.으로부터 이후로
中原鹿死何人手
중원록사하인수
중원의 사슴은 어떤 사람의 손에 죽었던고()나라 간신(姦臣) 조고(趙高)가 임금에게 사슴을 몰고 와서 말[]이라 속였다. 그 뒤에 변사(辯士) 괴철(蒯徹), “진나라가 사슴을 놓쳤으매 여러 사람들이 쫓는데 발이 날랜 자가 먼저 얻는다.” 하였다. 이것은 조고(趙高)의 사슴에 관한 이야기를 인용하여 진나라가 나라를 잃은 데에 비유하였다.?
江女空傳玉樹花
강녀공전옥수화
강가 여자들이 공허하게 옥수화를 전하고()나라가 망할 때에 후주(後主)가 밤낮으로 술과 여색에 미혹하여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라는 음란한 곡조를 불렀다. 당나라 시인 두목지(杜牧之)가 그의 고도(古都)를 지나다가, “장사치 계집들은 나라 망한 한()도 모르고 강가에서 아직도 정화를 부른다[尙女不知亡國恨 隔江猶唱後庭花].”라는 시를 지었다.
春風幾拂金堤柳
춘풍기불금제류
봄바람은 금빛 제방의 버들개지를 몇 번을 흔들어댔는가수양제(隋煬帝)가 변하(汴河)에 행궁(行宮)을 짓고 강 언덕에 버들을 많이 심어서 음란하게 놀아, 나라가 망한 뒤에 버들만이 남아 있었다.? 東文選卷之六

 

 

해설

이 시는 경주의 반월성을 읊은 시로, 전고(典故)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 이인로의 작시(作詩)에 있어 특징을 잘 보여준 시라 할 수 있다.

원주용, 고려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09, 111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시놀이터 > 삼국&고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인로 - 유지리산(遊智異山)  (0) 2021.04.02
이인로 - 모춘(暮春)  (0) 2021.04.02
오세재 - 병목(病目)  (0) 2021.04.02
정지상 - 단월역(團月驛)  (0) 2021.04.02
정지상 - 취후(醉後)  (0) 2021.04.0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