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나의 존재가 무한히 작아질수록 타인의 고독에 무한히 가까워질 수 있다
인간은 예술 속에 있을 때는 삶 속에 있지 않고, 삶 속에 있을 때는 예술 속에 있지 않다. (……) 내가 예술에서 체험하고 이해한 모든 것이 삶에서 무위로 남게 하지 않으려면 나는 그것들에 대해 나 자신의 삶으로써 책임을 져야 한다. 그러나 책임은 죄과와도 결합되어 있다. 삶과 예술은 서로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 죄과도 떠맡아야 한다. (……) 무책임을 정당화하기 위해 ‘영감’에 의지하는 것은 소용없는 일이다. 삶을 무시하고, 그 자신이 삶에게 무시당하는 영감은 영감이 아니라 사로잡힘이다. (……) 삶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고 창조하는 것이 더 쉽고, 예술을 염두에 두지 않고 사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다.
예술과 삶은 하나가 아니다. 그러나 그것들은 내 안에서, 나의 책임을 통일 안에서 하나가 되어야 한다.
-미하엘 바흐친, 김희숙·박종소 옮김, 『말의 미학』, 길, 2007, 26쪽.
피를 뚝뚝 흘리며 쓰러진 이한규 곁에서 신음하던 지명훈은 묻는다. “당의 지시로 온 거냐? 누구의 지시로 온 거야?” 송지원은 갑자기 머릿속이 하얘진다. 그럼 이 모든 것이 당의 지시가 아닌 그림자의 단독 행동이었단 말인가. 그림자는 망설임 없이 지명훈에게 잔혹한 총질을 해대고 지명훈은 즉사한다. “변절자 새끼. 말이 많구먼.” 송지원은 그림자에게 항변한다. “그게 무슨 말입니까? 당의 지시로 온 게 아니었습니까? 그럼 태순이도 그냥 동무가 죽인 겁니까?” ‘변절자’를 처단하는 일은 당의 지시 없이도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듯한 뉘앙스를 풍기는 그림자. 이제 그림자의 총구는 송지원을 향한다. “너, 북에 있는 가족들 빼돌렸지?” 지원은 이성을 잃고 부들부들 떨기 시작한다. “제 가족은 어떻게 됐습니까?” “어떻게 됐을 것 같네?” 이때 죽은 줄로만 알았던 이한규가 기적처럼 깨어난다.
이한규의 복부에서 흐르던 피는 실은 이한규의 피가 아니라 송지원의 피였다. 송지원은 이한규의 복부를 찌르는 척하면서 남몰래 자신의 손을 찌른 것이다. 아무도 다치게 할 수 없어 스스로를 난자한 송지원. 날카로운 자상(刺傷)을 입어 선혈이 뚝뚝 흐르는 지원의 손을 바라보며 이한규는 가슴이 시리다. “미련하긴.” 지원은 아픔조차 잊은 채 가족의 안부를 걱정한다. 그림자의 암시처럼 가족들이 잘못되었다면 이젠 더 이상 살아갈 이유가 없어져버린 지원은 자신에게 총구를 겨눈 그림자를 똑바로 바라보며 죽음에 대한 공포조차 잊은 표정이다. 이한규의 총구는 그림자에게, 그림자의 총구는 송지원에게 향해 있다. 송지원은 아예 그림자의 총구를 손으로 꽉 잡은 채 차라리 자신을 죽여버리라고 절규한다. 일촉즉발의 순간. 그림자와의 몸싸움 끝에 지원은 그림자와 함께 건물 아래로 추락하고 만다.
숨이 끊어질 듯 긴박한 상황에서 송지원은 자신을 껴안고 눈물 흘리는 이한규를 바라보며 유언처럼 속삭인다.
송지원: 저는…… 아무도 배신하지 않았습니다.
이한규: 알아, 임마…….
송지원은 자신의 손바닥에 전해지는 날카로운 고통을 통해 스스로 이한규가 되었고, 이한규는 자신을 지켜내기 위해 끝까지 애쓰다 추락한 송지원을 바라보며 어느덧 자신의 분신이 되어버린 그의 고통을 깨달았다. 스스로의 존재를 깡그리 부수어서라도 그 누구도 배신하지 않으려는 그의 몸부림을 읽어낸 것이다. 아무리 접근해도 영원히 닿지 않는 점근선 같았던 ‘나’의 존재가 드디어 ‘너’의 경계를 구성하는 단단한 이성의 각질을 뚫는 순간. 나의 존재가 무한히 작아질수록 나는 타인의 고독에 무한히 가까워질 수 있다. 영원히 나와 네가 일치할 수는 없지만 나의 존재는 너의 존재에 끊임없이 다가가는 몸부림 그 자체가 될 수는 있다.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