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노자와 21세기, 20장 - 지식의 횡포에 시달리지 않는 방법 본문

고전/노자

노자와 21세기, 20장 - 지식의 횡포에 시달리지 않는 방법

건방진방랑자 2021. 5. 10. 08:22
728x90
반응형

 20

 

 

絶學無憂.
절학무우.
배움을 끊어라! 근심이 없을지니.
唯之與阿, 相去幾何?
유지여아, 상거기하?
네와 아니요가 서로 다른 것이 얼마뇨?
善之與惡, 相去若何?
선지여오, 상거약하?
좋음과 싫음이 서로 다른 것이 얼마뇨?
人之所畏, 不可不畏.
인지소외, 불가불외.
사람들이 두려워 하는 것을
나 또한 두려워 하지 않을 수 없으리.
荒兮, 其未央哉!
황혜, 기미앙재!
황량하도다 !
텅 빈 곳에 아무것도 드러나지 않네.
衆人熙熙,
중인희희,
뭇 사람들은 희희낙낙하여
如享太牢, 如春登臺.
여향태뢰, 여춘등대.
큰 소를 잡아 큰 잔치를 벌리는 것 같고,
화사한 봄날에 누각에 오르는 것 같네.
我獨泊兮, 其未兆,
아독박혜, 기미조,
나 홀로 담박하도다
그 아무것 드러나지 아니함이
如嬰兒之未孩.
여영아지미해.
웃음 아직 터지지 않은 갓난아기 같네.
儽儽兮, 若無所歸.
루루혜, 약무소귀.
지치고 또 지쳤네!!
돌아갈 곳이 없는 것 같네.
衆人皆有餘,
중인개유여,
 
뭇 사람은 모두 남음이 있는데
而我獨若遺.
이아독약유.
왜 나 홀로 이다지도 모자르는 것 같은가?
我愚人之心也哉!
아우인지심야재!
내 마음 왜 이리도 어리석단 말인가?
沌沌兮!
돈돈혜!
혼돈스럽도다!
俗人昭昭, 我獨昏昏;
속인소소, 아독혼혼;
세간의 사람들은 똑똑한데
나 홀로 흐리멍텅할 뿐일세.
俗人察察, 我獨悶悶.
속인찰찰, 아독민민.
세간의 사람들은 잘도 살피는데
나 홀로 답답할 뿐일세.
澹兮其若海,
담혜기약해,
담담하여 바다같이 너르고
飂兮若無止.
료혜약무지.
고고한 산들바람처럼 그칠 줄을 몰라.
衆人皆有以,
중인개유이,
뭇 사람들은 모두 쓸모가 있는데
而我獨頑似鄙.
이아독완사비.
나 홀로 완고하고 비천하여 쓸모가 없네.
我獨異於人而貴食母.
아독이어인이귀식모.
나 홀로 뭇 사람과 다른 것이 있다면
만물을 먹이는 생명의 어미를
귀하게 여기는 것이지.

 

 

1. 지식의 횡포에 시달리지 않는 방법(絶學無憂. 唯之與阿, 相去幾何. 善之與惡, 相去若何. 人之所畏, 不可不畏)

 

이 장은 특별히 문제될 것이 별로 없다. 특기할 사실은 이 20장이 죽간(竹簡)에 실려 있으나, ‘절학무우(絶學無憂)’로부터 시작해서 불가불외(不可不畏)’에서 끝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 뒤 황혜(荒兮)’로부터 시작되는 실존적 독백류의 문장은 도()를 추구하고 사는 사람들의 고독한 내면의 심경을 표현한 시()와도 같은 것으로 아마도 후대에 첨가되었을 것이다.

 

우리말에 식자우환(識字憂患)’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것도 다 노자의 절학무우(絶學無憂)’의 통속적 표현이다. 배움을 끊으면 근심이 없어진다는 것은 배움의 부정이라기보다는, (, 근심)을 일으키는 방향의 학문(學問)의 무가치성을 지적한 것이다. 우리는 너무도 지식의 횡포에 시달려 살고 있는 것이다. 컴퓨터를 모르면 금방 바보가 되어버릴 것 같은 중압감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학()이란 끊을 수 있는 것이다. ()을 끊을 수 있는 사람이래야 진정한 배움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의 절학무우(絶學無憂)’사십팔장(四十八章)爲學日益, 爲道日損과 연계되어 있다.

 

죽간(竹簡) 을본(乙本)48장의 무위이무불위(無爲而無不爲)’ 다음에 절학무우(絶學無憂)’가 연결되어 있음으로, 20장의 논의 자체가 48장의 앞부분과 하나의 연속적 편으로 간주될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 재미있는 것은 왕필의 20장 주가 죽간의 체제처럼, 48장의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는 공손한 승락()이다. ()는 배척이요, 거부다. 다시 말해서 이것이 바로 우리가 세속적으로 말하는 학()의 내용일 수 있다는 것이다. 어떠한 것을 받아들이고 배척하는 것이 학()의 내용이며 이것이 쓸데없는 식자의 우환을 만든다는 것이다.

 

()’()’죽간본(竹簡本), 백서본에 모두 미여오(美與惡)’로 되어 있다. 왕본(王本)선지여오(善之與惡)’는 좋음과 싫음으로 번역될 수 있고, 죽백(竹帛)미여오(美與惡)’는 아름다움과 추함으로 번역될 수 있다. 이러한 판단을 둘러 싼 시시비비가 모두 식자들의 학()의 내용이다. 그러나 이따위 것들은 아무래도 좋은 것이다. 긍정을 한들, 부정을 한들, 과연 그 차이가 얼마나 크며, 아름답게 여기든, 추하게 여기든, 과연 그 차이가 얼마나 큰 것이냐?

 

인지소외 불가불외(人之所畏, 不可不畏)’ 역시 이러한 무차별적 경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보여진다. 화광동진(和光同塵)의 경지를 말한 것이다. 나의 판단이 결코 타인의 판단으로부터 튀는 것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 구문에 있어, ()ㆍ백()ㆍ죽() 삼자(三者)의 미묘한 차이가 있다.

 

 

王本 人之所畏, 不可不畏.
帛本 人之所畏, 亦不可以不畏人.
簡本 人之所畏, 亦不可以不畏.

 

 

의미상으로 왕본(王本)과 간본(簡本)은 대동소이하게 해석되어 진다. 그런데 백본(帛本)에는 끝에 인()이라는 목적어가 다시 붙어 있기 때문에 그 뜻이 전혀 달라질 수가 있다.

 

인지소외(人之所畏)’는 뭇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존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것은 인군(人君)이다. 그리고 이 인군(人君)이 주어가 되어 그 다음 문장을 받는다. 그러면 이렇게 될 것이다. ‘뭇 백성들이 두려워하는 인군(人君) 또한 뭇 백성들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즉 두려움의 상보성의 문제가 되며, 그것은 앞에서 말한 긍정 부정, 아름다움 추함과의 모종의 연계선상에서 해석될 여지도 있다. 아마도 나의 느낌에는 백본(帛本)이 가장 정확한 원래 맥락을 보존하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

 

 

2. 꽃보다 뿌리를 귀하게 여기다(荒兮其未央哉. 衆人熙熙, 如享太牢, 如春登臺. 我獨泊兮其未兆, 如嬰兒之未孩, 儽儽兮若無所歸. 衆人皆有餘, 而我獨若遺. 我愚人之心也哉. 沌沌兮, 俗人昭昭, 我獨昏昏, 俗人察察, 我獨悶悶. 澹兮其若海, 飂兮若無止. 衆人皆有以, 而我獨頑似鄙. 我獨異於人, 而貴食母)

 

그 뒤의 시적 표현은 원문의 번역대로 이해하면 족할 것이다. 제일 마지막 아독이어인이귀식모(我獨異於人而貴食母)’라 한 부분에 대하여 왕필은 다음과 같은 주석을 달고 있다.

 

 

식모란, 생의 뿌리이다. 뭇 사람들은 모두 인간에게 생명을 부여하는 그 뿌리를 망각하고 말엽의 장식적인 꽃만을 귀하게 여긴다. 그래서 나 홀로 뭇 사람들과 다르다고 한 것이다.

食母, 生之本也. 人者皆棄生民之本, 貴末飾之華. 故曰我獨欲異於人.

 

 

()를 추구하는 나의 고독은, 꽃을 귀하게 여기지 않고 그 뿌리를 귀하게 여긴다는데서 온다. 꽃은 피었다가 지곤 하는 것이지만 뿌리는 꽃의 피고 짐을 영속케 할 수 있는 어미이다. 식모(食母)는 도()의 다른 표현이다.

 

나 도올은 노자의 이 말을 사랑한다. 澹兮! 其若海, 飂兮! 若無止. 동해바다의 일출을 보라! 내가 보스톤에서 6년 동안 새벽 매일 죠깅을 했던 대서양의 네이한트 비치 ! 탁 트인 너른 바다에 담담히 펼쳐진 푸른 시야! 그리고 그 창공을 고고히 거침없이 어느 한 곳에 정착함이 없이 하늘거리는 미풍! 그러한 인격의 모습이야말로 생명(生命)의 어미를 귀하게 여길 줄 아는 대인(大人)의 모습일 것이다.

 

 

 

 

인용

목차 / 서향 / 지도

노자 / 전문 / 20 / 노자한비열전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