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이토 진사이 - 공자의 충서를 새롭게 해석하다 본문

고전/대학&학기&중용

강의실에 찾아온 유학자들, 이토 진사이 - 공자의 충서를 새롭게 해석하다

건방진방랑자 2022. 3. 8. 07:18
728x90
반응형

공자의 충서를 새롭게 해석하다

 

 

진사이의 극찬에 따르면, 공자는 수많은 타자와 관계할 수밖에 없는 삶의 세계에서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쳐준 최고의 성인이었습니다. 그것은 공자가 충서(忠恕)’라는 실천 방법의 가치를 설파했기 때문이지요. 앞서 살펴보았듯이, 진사이는 주희의 경 공부에서 공자의 충서의 방법으로 돌아섰고, 젊었을 때의 호 교사이(敬齋)’를 공자의 인()을 따라 진사이(仁齋)’로 바꾸었습니다. 그럴 정도로 그가 중시했던 공자의 인은 충서의 방법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는 궁극적 가치였습니다. 그렇다면 그는 충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요?

 

 

자신의 마음을 다하는 것이 ()’이고, 남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 ()’이다. 집주는 정자를 인용하여 자신을 다하는 것이 충이다라고 했는데 이것은 타당하다. 하지만 라는 글자를 해석한 것은 타당하지 않다. 주소에서는 자신을 헤아리고[] 남을 헤아린다[忖人]’는 뜻을 기록하고 있으니, (정자가 서를 해석한 것은) ‘헤아린다는 글자로 서를 해석하는 것만큼 좋지는 않다. 이것은 타인과 관계할 때 반드시 그의 생각과 감정이 어떠한지를 헤아려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주소에서) ‘자신을 헤아린다는 두 글자는 온당하지 않기 때문에 바로잡아서 타인의 마음을 헤아린다고 말한다. 어맹자의』 「충서

竭盡己之心爲忠, 忖度人之心爲知. 按集註引程子, 盡己之謂忠, 當矣. 但恕字之訓覺未當. 註疏作忖己忖人之義, 不如以忖字訓之之爲得. 言待人必忖度其心思苦樂如何也. 忖己二字未穩, 故改之曰忖度人之心也.

갈진기지심위충, 촌탁인지심위지. 안집주인정자, 진기지위충, 당의. 단서자지훈각미당. 주소작촌기촌인지의, 불여이촌자훈지지위득. 언대인필촌탁기심사고락여하야. 촌기이자미온, 고개지왈촌탁인지심야.

 

 

주희는 정이의 다음과 같은 주장을 따랐다.

자신의 마음을 다하는 것이 충이고, 자신의 마음을 남에게 이입하는 것이 서이다.”

 

진사이는 충 개념에 대해 자신의 마음을 다하는 것을 충이라고 한다고 말한 정이와 주희의 주장을 그대로 수용했습니다. 물론 진사이는 주희가 충 개념에 부여했던 일체의 형이상학적 관점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거부했지요. 진사이의 충서 개념이 정이와 주희로 대표되는 성리학의 관점에서 탈피하는 결정적인 지점은, 사실 개념보다는 라는 개념에 있습니다. 진사이는 가 자신의 마음을 남에게 이입하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마음을 헤아리려는 노력을 의미한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내면의 본성에 침잠하는 주희의 경 공부는 기본적으로 우리 본성 가운데 삶의 세계를 관통하는 절대 기준이 내재되어 있다고 전제합니다. 이런 이유로 주희는 자기 수양으로서 의 공부가 이루어지면 는 저절로 실현된다고 말했던 것입니다. 주희에게서 이란 자기 내면 공부를 충실히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진사이는 주희가 믿었던 형이상학적 신념을 공유하지 않았지요. 이 때문에 진사이는 주희가 충서를 해석했던 방식도 수용할 수 없었습니다. 주희의 말대로라면 자기 수양으로서 이 가장 중요하며, ‘의 실천 역시 내 마음을 기준으로 타인의 생각과 욕망을 판단하는 것이 됩니다.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