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논어 - 공자의 생애 본문

고전/논어

논어 - 공자의 생애

건방진방랑자 2021. 6. 25. 01:30
728x90
반응형

공부자 연표(孔夫子 年表)

 

선성소상(先聖小像)

공자와 제자 안연의 모습을 그린 그림

(三十六幅 孔子聖蹟圖 中에서)

 

 

니산치도(尼山致禱)

공자의 모친인 안징재(安徵在)가 니구산(尼丘山)에서 기도를 올린 후, 아들 공자가 태어났다.

孔子的母親顔徵在, 在尼丘山上祈禱后, 生下兒子孔子.

 

 

기린옥서(麒麟玉書)

공자가 태어나기 전, 하늘이 내린 책을 기린이 토해 냄.

孔子還沒有出生時, 有隻麒麟在他家裡, 口吐天降之書.

 

 

 

1(BC 551) - 주영왕(周靈王, 동주시대의 천자天子) 21년 노양공(魯襄公, 제후諸侯) 22

()나라 추읍(陬邑) 창평향(昌平鄕, 현재의 산동성山東省 곡부시曲阜市 동남쪽의 니산尼山부근)에서 태어남.

태어날 때부터 머리 위쪽 정수리 부분이 움푹 패어 있었기 때문에 이름을 구()라고 했다.

()는 중니(仲尼)이고, ()은 공씨(孔氏)이다.

형제로서 이복형이 한 사람 있는데, 이름은 맹피(孟皮), 자는 백니(伯尼)라고 전해짐. 공자가어(孔子家語)』 「본성해(本姓解)

생일은 하력(夏曆)으로 827(주력周曆 1027, 양력 928)

 

이용오노(二龍五老)

공자가 태어나던 날 저녁, 두 마리의 창룡이 하늘에서 내려와 그의 집을 감싸고, 다섯 신선이 그의 집 뜰에 내려옴.

孔子誕生的晩上, 有兩條蒼龍自天降下, 繞護著他家, 五位神僊降到他家院中.

 

균천강성(鈞天降聖)

공자를 낳을 때 공자의 모친이 방에서 천상의 음악 소리를 들음.

孔子出生時, 顔氏在房中聽到天上的音樂聲.

 

 

3(BC 549) - 주영왕 23년 노양공 24

()나라에서 거주함.

부친(父親) 숙량흘(叔梁紇)이 별세하자 방산(防山, 고부성 동쪽, 叔公林이라고 부름)에 장사지냄.

모친(母親) 안징재(顔徵在) 공자를 업고 곡부성으로 이사함.

 

 

 

6(BC 546)

모친의 교육 아래 호학(好學)의 습관을 익힘.

제기(祭器)를 갖추고 예용(禮容)을 갖추어 놀이하며 예의(禮儀)를 연습함.

 

조두예용(俎豆禮容)

제사놀이를 하며 예법을 익힘.

孔子爲兒嬉戱, 常陳俎豆設禮容.

 

 

7(BC 545) - 주영왕이 사망하고 경왕(景王)이 왕위를 계승함.

 

 

8(BC 544) - 주경왕 원년 노양공 29

()나라에서 거주함.

()나라 공자(公子) 계찰(季札)이 주례(周禮)를 보기 위해 주공단(周公旦)의 봉토(封土)로서 천자(天子)의 예악(禮樂)을 사용했던 노()나라에 옴.

 

 

9(BC 543)

자산(子産)이 집정(執政)하여 정()나라가 크게 번성하자, 훗날 자산의 공적을 높게 평가하여 혜인(惠人)‘이라고 칭함.

 

 

10(BC 542) - 노양공이 사망하고 노소공(魯昭公)이 계승함.

제자 자로(子路)가 태어남.

 

 

12(BC 540) - 주경왕 5년 노소공 2

()나라에서 거주함.

()나라 한선자(韓宣子)가 노()나라 문물(文物)의 풍부함을 보고 감동하여 주례(周禮)가 모두 노()나라에 있다.”고 함.

 

 

14(BC 538)

훗날 내가 어린 시절에 가난하여 비루(鄙陋)한 일을 잘했다[吾少也 賤故, 多能鄙事]”고 회상함.

 

 

15(BC 537)

훗날 내가 15살부터 학문에 뜻을 두었다[吾十有五志于學]”고 회상함.

 

 

19(BC 533)

()나라 올관씨(兀官氏)의 딸과 혼인함, 병관씨(幷官氏)라는 설도 있음.

 

 

20(BC 532)

아들을 낳았는데, 왕이 축하하기 위해 잉어를 하사하자 아들의 이름을 잉어[]’라고 지음. / 훗날 아들 공리(孔鯉)의 자()를 백어(伯魚)로 지음.

창고 관리를 맡는 위리(委吏)’를 시작으로 관직에 나감.

 

직사위리(職司委吏)

공자가 성년이 된 후, 계손씨 집안의 창고를 관리하는 위리(委吏)가 됨.

孔子成年後 曾爲季孫氏的委吏(管理倉庫的小官)

 

명명영황(命名榮貺)

공자의 아들이 태어났을 때 노()나라 군주 소공(昭公)이 잉어(鯉魚)를 하사하여 이에 이름을 리()로 짓고 자를 백어(伯魚)라 하였다.

孔子生了兒子 昭公賜給鯉魚 孔子爲了顯耀國君的賞賜 給兒子取名孔鯉 字伯魚

 

 

21(BC 531)

가축 관리를 맡는 승전(乘田)’이 됨.

 

직사승전(職司乘田)

계씨 집안의 관리가 되었는데 생축(牲畜)이 잘 번식(繁殖)하여 많아졌다.

曾爲季氏司職吏, 牲畜繁殖增多.

 

 

24(BC 528)

모친(母親) 안징재(顔徵在) 별세함.

 

 

27(BC 525)

()나라에 내조(來朝)한 담()나라(현재, 산동 담성의 서남쪽에 위치)의 후() 담자(郯子()나라 군주인 자작(子爵)이라는 뜻이다. 춘추 시대 노()나라 소공(昭公) 때 그가 노나라에 조현(朝見)하러 와서 관직을 새의 이름으로 명명한 이유에 대한 질문을 받고는, 자신의 먼 조상인 소호씨(少皞氏)의 행적을 거론하며 자세히 설명하였는데, 이 말을 듣고 공자(孔子)가 그를 찾아가서 배운 뒤에 내가 듣건대, 천자의 관직이 정당함을 잃었을 때에는 사방의 이민족에게 배울 수도 있다고 하였는데, 이 말은 역시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吾聞之 天子失官 學在四夷 猶信].”라고 평한 고사가 전한다.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소공(昭公)17)에게 고대의 관직제도를 배움.

 

 

29(BC 523)

처음으로 노()나라의 제사에 참가함.

 

 

30(BC 522)

훗날 “30세에 자립했다[三十而立].”고 회상함.

사학을 열어 제자를 양성하기 시작함. 제자 중궁(仲弓)과 유약(有若)이 태어남.

12월에 노자(老子)에게 예()를 물음.

 

 

31(BC 521)

()나라 경공(景公)이 안영(晏嬰)과 함께 와서 정치를 물음.

 

 

32(BC 520) 주경왕(周景王) 25년 노소공 22

()나라에 거주함.

4월 주경왕이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탁왕(卓王)이 즉위했으나 왕자(王子) ()의 반란으로 피살됨.

()나라가 왕자 조를 축출하고 경왕(敬王)을 세움.

 

 

33(BC 519) 주경왕(周敬王) 원년(元年) 노소공 23

()나라에 거주함.

 

 

34(BC 518)

남궁괄(南宮适)과 주()에 가서 노담(老聃)에게 예()를 물음.

노나라의 맹희자(孟僖子)가 임종(臨終) 시에 그의 아들을 공자에게 사사하여 예를 배우라고 유언함.

 

 

문례노담(問禮老聃)

남궁괄(南宮适)과 더불어 주나라에 가서 노담(老聃)에게 예()에 대해 물었다. 노담은 이전에 주왕조 수장실의 관리로 주례(周禮)에 관해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因爲老子曾做過周王朝的守藏室之史(管理藏書的官吏), 熟知周禮

 

 

35(BC 517)

혼란한 노()나라를 떠나 제()나라로 피신함

 

 

36(BC 516) - 주경왕 4년 노소공 26(B.C. 516),

()나라에 거주함.

제경공(齊景公)이 정치를 묻자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다우며……[君君臣臣父父子子……]”라고 대답함.

순임금의 음악인 소악(韶樂)을 들으시고 3개월 동안 고기 맛을 알지 못했을 정도로 감명을 받음[子在齊聞韶, 三月不知肉味].

 

재제문소(在齊聞韶)

논어(論語)』 「술이편(述而篇)공자가 제나라에 있을 때, ()임금의 음악인 소악(韶樂)을 듣고서 3개월이나 고기 맛을 잊었다. 이때 감탄하여 음악이 이렇게까지 좋은지 미처 몰랐다고 말했다.”

子在齊聞韶, 三月不知肉味, 曰不圖爲樂之至於斯也?

 

 

37(BC 515)

경공(景公)이 품구(稟邱)의 읍()을 제공하려 하자 이를 사양하고 나라로 돌아옴.

 

안영저봉(晏嬰沮封)

경공은 공자의 말을 듣고 매우 기뻐하며 공자에게 니계(尼谿)의 땅을 떼어주고 중용(重用)하려 하였으나 안영(晏嬰) 등 여러 신하들이 반대하자 이에 경공도 의심을 품고 결국 등용을 포기하였다. 그리하여 공자는 마침내 제()나라를 떠나 다시 노()나라로 돌아옴.

 

 

38(BC 514) - 주경왕 6년 노소공 29

()나라에 거주함.

제자 안회(顔回)가 태어남.

 

 

39(BC 513)

()나라가 형정(刑鼎)을 주조하자 비난하며 백성들이 정()에서 형벌(刑罰)을 받을 것이다.”라고 말함.

()나라의 문물제도가 파괴됨을 깊이 우려함.

 

 

40(BC 512)

“40살에 미혹되지 않았다[四十而不惑].”라는 말로 인생관이 확립된 시기라고 회상함.

 

 

41(BC 511)

진후(晉侯)는 유랑하는 소공(昭公)을 고국인 노()나라에 보내려 하지만, 소공이 응하지 않음.

 

 

42(BC 510)

겨울에 소공이 사망하고 계손씨(季孫氏)가 소공의 동생인 공자(公子) (, 定公)을 제후 자리에 앉힘.

 

 

43(BC 509) - 주경왕 11년 노정공(魯定公) 원년(元年)

()나라에 거주함.

여름 소공의 영구(靈柩)가 진()나라에서 돌아와 장사지냄. 정공(定公)이 즉위함.

 

 

45(BC 507)

제자 자하(子夏)가 태어남.

()나라 장공(莊公)이 사망하고 은공(隱公)이 즉위하는데, 사람을 파견하여 공자에게 대관식(戴冠式)의 예()를 물음.

 

 

46(BC 506)

노환공(魯桓公)의 묘를 참관하여 제기(祭器)를 살핌.

제자 자유(子游)가 태어남.

 

 

47(BC 505)

제자 증삼(曾參)이 태어남.

노나라의 권세가인 계씨(季氏) 집안의 신하로서 전권을 쥐고 있던 양호(陽虎)가 공자를 만나려 했으나 피함.

 

 

48(BC 504)

양호(陽虎)의 계략으로 노()나라가 정()나라를 침범함.

 

 

50(BC 502)

50세에 천명(天命)을 알았다[五十而知天命].”라고 회상함.

양호(陽虎)가 계손씨(季孫氏)를 살해하려다 실패하자 반란을 일으킴.

계손씨의 가신(家臣)이었던 공산불요(公山不擾)가 공자를 초청(招請)했으나 제자들의 반대로 가지 않음.

 

 

51(BC 501)

중도(中都)의 재상으로 임명되어 훌륭한 정치를 시행함.

제자 민자건(閔子騫)이 태어남,

6월에 노()나라에서 양호(陽虎)를 정벌하자 양호가 제()와 송()을 거쳐 진()나라로 도망감.

 

 

52(BC 500)

()나라 중도(中都)의 재()에서 승진하여 사공(司空)이 되고 다시 대사구(大司寇)가 되어 노()나라 재상의 일을 맡음.

여름, ()나라 협곡의 회맹(會盟)에서 노()나라에게 항복받으려고 했던 제() 경공(景公)의 시도를 차단함.

 

협곡회제(夾谷會齊)

()나라 정공 10년 봄에 제()나라 제후와 협곡에서 만났는데 제나라에서 변방 국가들의 음악을 연주하자, 공자는 기악과 무용을 물리도록 하고 이후 제나라 경공이 음악가들을 벌하게 만들어 노나라가 외교상 한 차례 승리를 얻게 하였다.

 

귀전사과(歸田謝過)

제나라는 예전에 노나라에게서 빼앗았던 땅을 사과의 뜻으로 돌려줌.

 

 

53(BC 499)

공자가 국정(國政)을 관장한 지 3개월이 지나자 노()나라가 번성해짐.

송사(訟事)를 잘 처리하던 중 노나라 대부 소정묘(少正卯)를 죽여 정치 기강을 바로잡음(일설엔 55세로도 봄)

 

주소정묘(誅少正卯)

공자는 노나라 대법관 시절 정치를 혼란하게 만든 사대부 소정묘를 사형시킴. 국가의 대사에 참여한 지 삼 개월 만에 길에 물건이 떨어져도 주워가는 사람이 없고, 남녀가 분별이 생기고, 물건을 파는 자가 가격을 속이지 않는 등 나라에 큰 치덕의 모습이 드러났다.

 

 

54(BC 498)

국정을 바로잡기 위해 삼도(三都) 중 두 곳의 성()을 함락시켰으나, 맹손씨(孟孫氏)의 성읍(成邑)은 함락시키지 못함.

 

 

55(BC 497)

()나라를 떠나 주유천하(周遊天下)의 생활을 시작함.

()나라가 잘 다스려지자 제()나라에서 이를 방해하기 위해 80명의 여악(女樂)을 보내 정공(定公)을 미혹시킴.

정공이 여색(女色)과 음악에 빠져 정사(政事)를 소홀히 하자, 공자가 크게 실망하여 제자들과 위()나라로 떠남.

()나라에서 진()나라로 가던 중 공()에서 다른 사람으로 오해받아 고통(5일간)을 겪고 위()나라로 돌아옴.

 

여악문마(女樂文馬)

()나라에서 악무(樂舞)에 능한 미녀 80명과 좋은 말 120필을 정공과 계환자에게 보냄.

 

인번거로(因膰去魯)

미녀와 좋은 말을 받고 즐거워하여 정사(政事)를 돌보지 않자 공자는 제사 고기를 구실로 노나라를 떠나 열국(列國)을 주유(周遊)하기 시작함.

 

 

56(BC 496) - 주경왕 24년 노정공 14

()나라에 거주함.

일설엔 광()땅에서 고통을 당했다고 함.

 

광인해위(匡人解圍)

공자의 모습이 양호(陽虎)와 닮아 광땅에서 5일이나 잡혔다가 풀려남.

 

 

57(BC 495) 노정공(魯定公)이 사망하고 그 뒤를 이어 애공(哀公)이 즉위함.

일설엔 사마환퇴(司馬桓魋)가 죽이려고 했다고 함.

 

 

58(BC 494) - 주경왕 26년 노애공(魯哀公) 원년

()나라에 거주함.

 

 

59(BC 493)

()나라를 떠나 진()나라로 가던 중 황하(黃河) 부근에 이르렀을 때, 조간자(趙簡子)가 현인(賢人) 두 사람을 죽였다는 말을 듣고는 위()나라로 다시 돌아옴.

이후에 다시 위()나라를 떠나 송()나라로 향하는데, 도중에 사마환퇴(司馬桓魋)가 죽이려고 하자 정()나라로 갔다가 다시 진()나라로 향함.

위령공(衛靈公)이 죽고 그 뒤를 이어 출공(出公) ()이 즉위함.

 

서하반가(西河返駕)

조간자(趙簡子)를 만나려고 길을 떠났으나 황하 강변에 다다라 진나라가 현명한 사대부인 두명독(竇鳴犢), 순화(舜華)를 죽였다는 말을 전해 듣고 군자는 같은 군자를 해치지 않는다라며 가마 머리를 돌렸다.

 

송인벌목(宋人伐木)

조나라를 떠나 송나라에 도착한 공자는 큰 나무 아래에서 제사 예절을 연습하는데 사마환퇴가 공자를 죽이려고 큰 나무를 베어버렸다.

 

 

60(BC 492)

“60세에 귀가 순해졌다[六十而耳順].”라고 말함.

()을 지나 진()으로 감.

 

 

63(BC 489)

()나라에 머물다가 오()나라에서 진()나라를 침략하여 크게 혼란스러워지자 진()나라를 떠나 채()를 거쳐 부함(負函)으로 가던 중 길이 막혀 7일간 끼니를 굶음.

부함(負函)에 도착하여 섭공(葉公)이 예()로써 대우하고 초()나라의 소왕(昭王)이 공자를 중용(重用)하려 했으나 간신배들의 반대로 성사되지 않음.

 

재진절량(在陳絶糧)

공자가 초()나라로 가는 도중 진나라와 초나라의 사대부들이 함께 병사를 보내 길을 막아 식량이 바닥나 곤경에 처함.

 

자서저봉(子西沮封)

초나라 소왕이 땅 칠백 리를 하사하려 하였으나 자서가 반대하자 소왕은 생각을 취소하였고, 공자도 초나라를 떠나 위나라로 돌아옴.

 

 

64(BC 488) - 주경왕 32년 노애공 7

부함(負函)을 떠나 위()나라로 돌아옴.

 

 

65(BC 487)

부인 올관씨(兀官氏)가 별세함.

3, ()나라가 노()나라를 침입했지만 오()나라가 크게 패함. 이 싸움에서 제자 유약(有若)이 큰 공을 세움.

 

 

67(BC 485)

일설에는 부인 올관씨(兀官氏)가 별세했다고 함.

 

 

68(BC 484)

봄에 제()나라가 노()나라를 침범하자, 제자 염유(冉孺)가 우군(右軍)을 지휘하여 승리함.

계강자(季康子)가 폐백을 보내 초청하니, 13년간의 천하유세(天下遊說)를 마치고 노()나라로 돌아옴.

() 애공(哀公)과 계강자(季康子)를 도와 국정(國政)을 자문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제자교육과 오경(五經) 편찬에 전념함.

()와 서()와 예()를 정리함.

 

작가구릉(作歌丘陵)

계강자가 예물과 함께 예를 갖추고 사람을 보내 공자에게 노()나라로 돌아올 것을 청하였고 공자는 귀국함.

 

행단예악(杏壇禮樂)

살구나무 강단에서 예와 악을 가르침. 제자를 가르치고 문헌을 정리하는 일에 전념함. 제자의 숫자가 무려 3,000여 명에 이르렀으며, 몸소 육예(六藝)에 통달한 자가 72인이었다.

 

 

69(BC 483) - 주경왕 37년 노애공 12

()나라에 거주함.

아들 리()가 마흔 아홉의 나이로 죽음. / 일설에는 안회(顔回)가 죽었다고 함.

 

 

70(BC 482)

노애공(魯哀公)이 정사(政事)를 물음.

“70세가 되어 마음이 하고자 하는 데로 행해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라 고백함.

 

 

71(BC 481)

노나라 역사책인 춘추(春秋)를 지음, 노나라에서 기린을 잡음.

제자 안회(顔回)가 죽자 하늘이 날 버렸구나, 하늘이 날 버렸구나[天喪予, 天喪予].”라고 통곡함.

 

서수획린(西狩獲麟)

서쪽에서 기린(麒麟)이 잡히자 공자는 절필을 하게 됨.

 

 

72(BC 480)

겨울 위()나라에 정변이 발생하여 제자 자로(子路)가 죽음.

 

 

73(BC 479) - 주경왕 41년 노애공 16

하력(夏曆) 211(周曆 411, 陽曆 418) 생을 마침.

노성(魯城, 현재의 곡부曲阜) 북쪽에서 장사지냄.

()나라 애고(哀公)이 제문(祭文)에서 공자를 니보(尼父)’라고 존칭함.

 

몽전양영(夢奠兩楹)

공자의 병이 중하여 자공이 문안을 가니 어제 꿈에 제사 성전 양 기둥 사이에 앉았는데 은나라 사람은 그곳에서 장사지내기 때문에 자기는 곧 죽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로부터 7일 뒤 공자는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치임별귀(治任別歸)

공자는 노나라 도성 북쪽 사수(泗水) 강 언덕에 묻혔는데 제자들이 심상(心喪) 3년을 지낸 후 떠났고, 자공(子貢)은 무덤가에 오두막[]를 짓고 3년을 더 지냈다.

 

한고사로(漢高祀魯)

한고조 유방(劉邦)이 곡부(曲阜)를 지날 때 소, , 돼지를 잡아 제를 올렸다.

 

진종사로(眞宗祀魯)

()나라 현종(玄宗)은 공자에게 문선왕(文宣王), ()나라 진종(眞宗)도 현성문선왕(玄聖文宣王)이라는 시호를 추증(追贈)하였으나 5년 후 현()을 지()로 바꾸어 지성문선왕(至聖文宣王)이 되었고 원()나라 때는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聖文宣王)으로, ()나라 때는 지성선사(至聖先師)라는 시호도 추증되었다.

 

 

인용

목차

유랑도

제자들

논어한글역주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