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법에 따라 받아지녀라
여법수지분(如法受持分)
13-1.
이 때에, 수보리는 부처님께 사뢰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이 경을 마땅히 무어라 이름하오며, 우리들은 어떻게 이 경을 받들어 지녀야 하오리까?”
爾時, 須菩堤白佛言: “世尊! 當何名此經, 我等云何奉持?”
이시, 수보리백불언: “세존! 당하명차경, 아등운하봉지?”
13-2.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이 경을 이름하여 금강반야바라밀이라 하라. 이 이름으로써 그대는 이를 마땅히 받들어 지닐지라.”
佛告須菩堤: “是經名爲金剛般若波羅蜜, 以是名字, 汝當奉持.”
불고수보리: “시경명위금강반야바라밀, 이시명자, 여당봉지.”
콘체는 『금강경』이 바로 여기서 끝난다고 보고 있다. 사실 콘체의 이와 같은 분석은 공부를 깊게 한 사람의 통찰력 있는 문헌 비평적 발언이다. 나 역시 그 말에 동감한다. 실제로 『금강경』의 주된 암송(the main recitation)이 여기서 끝났을 것이다.
그런데 너무 짧고 아쉬우니까 그 후에 딴 암송자들이 앞의 내용을 부연하여 반복하면서 계속 늘여갔을 것이다. 사실 내용적으로 보면 이 이후의 금강경은 여기까지의 내용의 사족(蛇足)에 불과하다.
콘체는 이후의 텍스트가 심히 혼란되고 논리적인 정합성이 깨지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무착(無着)ㆍ세친(世親)ㆍ 까말라실라(Kamalaśīla, ?~797?)가 모두 이 배면의 논리를 따라가는 것을 곤혹스럽게 생각한 측면이 많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콘체는 이 13분(分)에서 29분(分)까지의 자기 번역을 자평하여 ‘도움이 안되고, 결착이 나지 않으며, 지루하고, 영감이 결여되어 있으며, 아주 적극적으로 혼란스럽다(unhelpful, inconclusive, tedious, uninspiring and positively confusing)’고까지 혹평한다. 그것은 아마도 이 부분이 잡스러운 암송가들의 잡스러운 비빔밥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겨우 30장부터 32장까지 참신한 새 기운이 솟고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앞서 지적했듯이 나는 이렇게까지는 생각하지 않는다. 분명 이후의 부분이 잡스러운 비빔밥 재탕일 수는 있으나, 이 뒷부분이 없다면 『금강경』은 진실로 소품에 머물렀을 것이고 사람을 취하게 만드는 마력을 상실했을 것이다. 끊임없는 반복은 반복이 아닌 변주며, 그것은 아마도 『금강경』의 기자들에 의하여 세심하게 오케스트레이션된 의도적 구성이었을 것이다.
나는 그러한 의도를 살리는 방향에서 살을 붙이고 문법적 구도를 부드럽게 가다듬고 음색을 자연스럽게 하여 새롭게 연출해낼려고 노력할 것이다. 제현들의 봉지(奉持)하심이 있기를 비오나이다.
인용
'고전 > 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강해, 제십삼분 - 13.4~7 如來無所說 ~ 是名世界 (0) | 2022.11.17 |
---|---|
금강경 강해, 제십삼분 - 13.3 所以者何 ~ 如來有所說法不 (0) | 2022.11.17 |
금강경 강해, 제십이분 - 12.2 當知是人 ~ 則爲有佛若尊重弟子 (0) | 2022.11.17 |
금강경 강해, 제십이분 - 12.1 復次須菩堤 ~ 何況有人盡能受持讀誦 (0) | 2022.11.17 |
금강경 강해, 제십일분 - 11.4~5 甚多世尊 ~ 而此福德勝前福德 (0) | 202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