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모든 것을 한몸으로 보아라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18-1.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여래는 육안이 있느뇨? 없느뇨?’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육안이 있사옵니다.”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肉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肉眼.”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육안불?” “여시. 세존! 여래유육안.”
18-2.
“수보리야! 네 뜻에 어떠하뇨? 여래는 천안이 있느뇨? 없느뇨?”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천안이 있사옵니다.”
“須菩堤! 於意云何? 如來有天眼不?” “如是. 世尊! 如來有天眼.”
“수보리! 어의운하? 여래유천안불?” “여시. 세존! 여래유천안.”
앞 절에서 말한 ‘육안(肉眼)’은 그냥 우리말대로 육안이며, 우리의 평상적 몸을 구성하는 감각기관으로서의 육안이다. 그러나 ‘육안’이라는 말은 항상 어폐가 있다. ‘눈이 본다’ 할 때, 과연 눈이 보는가? 눈동자를 후벼 파내어 책상 위에 놓는다면 과연 그것은 보는 작용을 하는 것일까? 눈은 과연 보는 것일까? 감각기관의 기능의 국부성은 그것 자체로 독립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능을 가능케 하는 신체 전체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우리가 너무도 상식적으로 깨달을 수 있는 우리 몸의 사태이다. 눈은 결코 보지 않는다. 그것은 보는 과정의 한 단계를 담당하는 빈 그릇과도 같은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본다’고 하는 전체적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 지는가? 그것이 바로 여기서 말하는, 육안(肉眼) → 천안(天眼) → 혜안(慧眼) → 법안(法眼) → 불안(佛眼)이라는 총체적 과정인 것이다. 이것은 생리적 과정의 사실인 동시에 우리 인식의 단계적 제고를 말하는 것이다.
‘천안(天眼)’의 원어는 ‘divyaṃ cakṣus’이다. 티베트역(譯)은 ‘신(神)의 눈’(Ihaḥi spyan)으로 번역하였다. 콘체역은 “heavenly eye.”
인용
'고전 > 불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강해, 제십팔분 - 18.7 ~ 甚多世尊 (0) | 2022.11.23 |
---|---|
금강경 강해, 제십팔분 - 18.3~6 ~ 如來說是沙 (0) | 2022.11.23 |
금강경 강해, 제십칠분 - 17.12~15 ~ 如來說名眞是菩薩 (0) | 2022.11.23 |
금강경 강해, 제십칠분 - 17.10~11 ~ 是名大身 (0) | 2022.11.23 |
금강경 강해, 제십칠분 - 17.8~9 ~ 一切法皆是佛法 (0) | 2022.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