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금강경 강해, 제이십팔분 - 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본문

고전/불경

금강경 강해, 제이십팔분 - 28.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건방진방랑자 2022. 11. 23. 08:35
728x90
반응형

28. 받을 생각도 말고 탐하지도 말라

불수불탐분(不受不貪分)

 

 

28-1.

수보리야! 만약 어떤 보살이 갠지스강의 모래만큼의 세계에 가득찬 칠보로써 보시한다고 하자. 또 어떤 사람이 있어 일체의 법이 아가 없음을 알고, 인을 얻어 이루면, 이 보살의 공덕이 앞의 보살이 얻은 바의 공덕을 뛰어 넘으리라.

須菩堤! 若菩薩以滿恒河沙等世界七寶布施. 若復有人知一切法無我, 得成於人, 此菩薩, 勝前菩薩所得功德.

수보리! 약보살이만항하사등세계칠보보시. 약복유인지일체법무아, 득성어인, 차보살, 승전보살소득공덕.

 

28-2.

수보리야! 뭇 보살들은 복덕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어 말하였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이 복덕을 받지 않는다고 말씀하시나이까?” “수보리야! 보살은 자기가 지은 복덕에 탐하여 집착해서는 아니 된다. 그러한 까닭으로 복덕을 받지 않는다 말할 수 있는 것이다.”

須菩堤! 以諸菩薩不受福德故.” 須菩堤白佛言: “世尊! 云何菩薩不受福德?” “須菩堤! 菩薩所作福德, 不應貪著. 是故說不受福德.”

수보리! 이제보살불수복덕고.” 수보리백불언: “세존! 운하보살불수복덕?” “수보리! 보살소작복덕, 불응탐착. 시고설불수복덕.”

 

 

1절에 또 갠지스강의 모래가 나오므로, 칠보니 사구게니 하는 식상하는 얘기가 나올 것으로 생각하지만 금강경의 기자는 그러한 단순한 반복의 우를 범하지 않았다. 조건절도 매우 간략하게 줄였으며, 주절은 불교의 핵심적인 교리를 개념적으로 설파하고 있다. 바로 제법무아(諸法無我) 일체법무아(一切法無我)’라는 보살운동의 캣치프레이즈가, 금강경』」이라는 대서사시가 끝나가는 마지막 무렵에서 그 강렬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앞에서 계속 사태 서술적인(figurative description) 방식을 취해왔기 때문에 여기서는 개념 서술적인(conceptual description) 방식이 의미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문장에서 제일 문제가 되는 것은 득성어인(得成於忍)’인데, 그 원문의 전후의 뜻은 보살이 자아라고 하는 것도 없고 생하지도 않는 법들에 관한 지혜를 인내를 통하여 얻었다고 한다면(nirātmakeṣv anutpattikeṣu dharmeṣu kṣāntiṃ pratilabhate)’의 뜻이다. 그러나 한역은 그런 맥락적 뜻을 압축시킨 것이다.

 

득성어인(得成於忍)’()’은 여태까지 계속 논의되어온 인욕바라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인(, kṣānti)의 뜻에는 참는다는 뜻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지(認知)’, ‘확실한 앎’, ‘지해의 뜻이 내포되어 있다. ‘크샨티(kṣānti)’확실히 그러하다는 것을 인지한다는 뜻이다은 때로 과도 상통한다. 그러니까 에는 참는다는 뜻 외로도 인지한다는 뜻이 있다. 다시 말해서 진리의 이법(理法)을 올바르게 인지함을 뜻한다. ‘득성어인(得成於忍)’에는 그런 양면의 내용이 다 들어가 있다. 한역불전의 문법에서는 ()’가 목적어를 받는 전치사로 쓰인다. 따라서 인을 얻어 이룬다가 된다. 콘체의 번역은: “if on the other hand a Bodhisattva would gain the patient acquiescence in dharmas which are nothing of themselves and which fail to be produced, then 콘체는 인욕과 지혜, 양면의 뜻을 종합하는 번역을 했다.

 

세조본, ()ㆍ원()ㆍ명() 삼본(三本), 우리나라 통용본에는 칠보(七寶)’보시(布施)’ 사이에 지용(持用)’이 들어가 있다. 그러나 지용(持用)’이 없는 편이 더 간결하다. 대정은 우리 해인사본을 따랐다.

 

2절은 공성이불거(功成而弗居)’의 위대한 한 표현일 것이다.

 

본 절 첫머리에 나오는 수보리(須菩提)’ 앞에, 세조본, ()ㆍ명본(明本), 통용본에는 하이고(何以故)’가 삽입되어 있다. 해인사본에는 없다. 대정은 해인사본을 따랐다.

 

 

 

 

인용

목차

금강경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