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5/0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오월동주(吳越同舟) - 어려움에 몰리면 원수와도 힘을 합친다 본문

한문놀이터/고사성어

오월동주(吳越同舟) - 어려움에 몰리면 원수와도 힘을 합친다

건방진방랑자 2020. 8. 7. 06:07
728x90
반응형

오월동주(吳越同舟)

어려움에 몰리면 원수와도 힘을 합친다

 

 

故善用兵, 譬如率然. 率然, 常山之蛇也, 擊其首則尾至, 擊其尾則首至, 擊其中則首尾俱至.

敢問: “兵可使如率然?” : “.”

吳人與越人相惡也, 當其同舟而濟遇風, 其相救也, 如左右手. 손자병법(孫子兵法)』 「구지편(九地篇)

 

 

손자(孫子)라는 책은 중국의 유명한 병서(兵書)로서 춘추시대 오나라의 손무(孫武)가 쓴 것이다. 손무(孫武)는 오왕(吳王) 합려(闔閭) , 서쪽으로는 초()나라의 도읍을 공략하고 북방의 제()나라와 진()나라를 격파한 명장이기도 했다.

()을 쓰는 법에는 아홉 가지의 지()가 있다. 그 구지(九地) 중 최후의 것을 사지(死地)라 한다. 주저 없이 일어서 싸우면 살길이 있고, 기가 꺾이어 망설이면 패망하고 마는 필사(必死)의 지()이다.

그러므로 사지에 있을 때는 싸워야 활로(活路)가 열린다.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필사(必死)의 장()에서는 병사들이 한마음, 한뜻이 되어 필사적으로 싸울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유능한 장수의 용병술(用兵術)은 예컨대 상산(常山)에 서식하는 솔연(率然)이란 큰 뱀의 몸놀림과 같아야 한다. 머리를 치면 꼬리가 날아오고 꼬리를 치면 머리가 덤벼든다. 또 몸통을 치면 머리와 꼬리가 한꺼번에 덤벼든다. 이처럼 세력을 하나로 합치는 것이 중요하다.

오래전부터 서로 적대시해 온 ()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타고[吳越同舟]’ 강을 건넌다고 하자. 강 한복판에 이르렀을 때 큰 바람이 불어 배가 뒤집히려 한다면 오나라 사람이나 월나라 사람이나 다 같이 평소의 적개심(敵愾心)을 잊고 서로 왼손, 오른손이 되어 필사적으로 도울 것이다. 바로 이것이다. 전차(戰車)의 말[]들을 서로 단단히 붙들어 매고 바퀴를 땅에 묻고서 적에게 그 방비를 파괴당하지 않으려 해봤자 최후에 의지(依支)가 되는 것은 그것이 아니다. 의지(依支)가 되는 것은 오로지 필사적으로 하나로 뭉친 병사들의 마음이다.

 

 

겉뜻: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에 타다.

속뜻: 어려운 상황에서는 원수라도 협력하게 된다는 뜻이다.

유의어: 동주상구(同舟相救), 동주제강(同舟濟江), 오월지쟁(吳越之爭), 오월지사(吳越之思), 오월지부(吳越之富)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