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사성어(故事成語) 목차
ㄱ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 각주구검(刻舟求劍) |
강궁지말(强弩之末) | 거안제미(擧案齊眉) |
격물치지(格物致知) | 견금여석(見金如石) |
결초보은(結草報恩) | 계륵(鷄肋) |
계명구도(鷄鳴狗盜) | 계찰괘검(季札掛劍) |
계포일락(季布一諾) | 고복격양(鼓腹擊壤) |
과유불급(過猶不及) | 과하지욕(袴下之辱) |
관포지교(管鮑之交) | 괄목상대(刮目相對) |
교언영색(巧言令色) | 교주고슬(膠柱鼓瑟) |
구상유취(口尙乳臭) | 국사무쌍(國士無雙) |
금의야행(錦衣夜行) | 기인지우(杞人之憂) |
기화가거(奇貨可居) |
ㄴ
난형난제(難兄難弟) | 남귤북지(南橘北枳) |
노마지지(老馬之智) |
ㄷ
다다익선(多多益善) | 단기지교(斷機之敎) |
단장(斷腸) | 당랑거철(螳螂拒轍) |
도원결의(桃園結義) | 독서망양(讀書亡羊) |
두주불사(斗酒不辭) | 득롱망촉(得隴望蜀) |
등용문(登龍門) |
ㅁ
마부작침(磨斧作針) | 망매지갈(望梅止渴) |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 | 모수자천(毛遂自薦) |
모순(矛盾) | 묘항현령(猫項懸鈴) |
문경지교(刎頸之交) | 문일지십(聞一知十) |
문전성시(門前成市) | 문전작라(門前雀羅) |
미생지신(尾生之信) |
ㅂ
방약무인(傍若無人) | 배궁사영(杯弓蛇影) |
배수지진(背水之陣) | 백년하청(百年河淸) |
백미(白眉) | 백아절현(伯牙絕弦) |
백안시&청안시(白眼視&靑眼視) | 불언장단(不言長短) |
붕정만리(鵬程萬里) | 비육지탄(髀肉之嘆) |
ㅅ
사면초가(四面楚歌) | 삼고초려(三顧草廬) |
삼인성호(三人成虎) | 새옹지마(塞翁之馬) |
선종외시(先從隗始) | 송양지인(宋襄之仁) |
수석침류(漱石枕流) | 수주대토(守株待兎) |
숙오음덕(叔敖陰德) | 순망치한(脣亡齒寒) |
ㅇ
아장동사(我將東徙) | 안도(安堵) |
야서구혼(野鼠求婚) | 양두구육(羊頭狗肉) |
어부지리(漁父之利) | 양상군자(梁上君子) |
양포지구(楊布之狗) | 여도지죄(餘桃之罪) |
여세추이(與世推移) | 연목구어(緣木求魚) |
예양보주(豫讓報主) | 오리무중(五里霧中) |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 오월동주(吳越同舟) |
와각지쟁(蝸角之爭) | 와신상담(臥薪嘗膽) |
완벽(完璧) | 우공이산(愚公移山) |
원교근공(遠交近攻) | 위편삼절(韋編三絶) |
읍참마속(泣斬馬謖) | 의려이망(倚閭而望) |
이여반장(易如反掌) | 일모도원(日暮途遠) |
일자천금(一字千金) |
ㅈ
자포자기(自暴自棄) | 전화위복(轉禍爲福) |
절부지의(竊鈇之疑) | 절영지회(絶纓之會) |
절차탁마(切磋琢磨) | 정저지와(井底之蛙) |
조갑천장(爪甲穿掌) | 조강지처(糟糠之妻) |
조삼모사(朝三暮四) | 조선공사삼일(朝鮮公事三日) |
조장(助長) | 주지육림(酒池肉林) |
죽마고우(竹馬故友) | 중석몰촉(中石沒鏃) |
증삼살인(曾參殺人) | 지록위마(指鹿爲馬) |
지어지앙(池魚之殃) | 지음(知音) |
ㅊ
차계기환(借鷄騎還) | 청출어람(靑出於藍) |
치인설몽(癡人說夢) |
ㅍ
패령자계(佩鈴自戒) |
ㅌ
토사구팽(兎死狗烹) | 토포악발(吐哺握髮) |
퇴고(推敲) |
ㅎ
학철부어(涸轍鮒魚) | 한단학보(邯鄲學步) |
할고공친(割股供親) | 함흥차사(咸興差使) |
해옹호구(海翁好鷗) | 해의반박(解衣般礡) |
현두자고(懸頭刺股) | 형설지공(螢雪之功) |
형제투금(兄弟投金) | 호가호위(狐假虎威) |
화룡점정(畵龍點睛) | 화사첨족(畵蛇添足) |
효빈(效顰) | 후생가외(後生可畏) |
공부의 변
들어가는 글: 고사성어와 한바탕 춤을 춰야 하는 이유?
나가는 글: 5년이 지나 성취한 것과 아모르파티
인용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