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5. 마무리
이상에서 살펴본 내용을 결론적으로 요약하자면, 한문학에서의 이속(俚俗)의 수용 여부는 특정한 시기의 문제일 수도 있지만 작가 개인의 문학관 내지 창작관의 영향 역시 간과할 수 없다.
조선시대에 비리하고 저속하다고 여겨지는 속언으로 제한하기는 하였지만, 조선 전기부터 작가들은 비리한 속언을 그들의 문학 작품 속에 수용하고 있으며 그 수용 의도 역시 실용성과 교훈성의 측면에서부터 유희적인 해학이나 조롱 그리고 문학의 효과적인 수사기교 그리고 대상을 직관이나 경험에 의하지 않고 논리적으로 분석하려는 변증적 연구의 자료로서도 활용하고 있다.
이로 볼 때, 한문학에서의 ‘이속’의 수용은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한문학의 특화된 양상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전시기에 걸치는 한문학의 다양한 양상의 한 부분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인용
1. 문제의 제기
3. 속언 활용의 제양상
2. 문학 창작의 재료로 활용
2) 한시의 소재로 활용
3) 해학과 조롱의 수단
4) 변증 재료에의 활용
4. 마무리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문놀이터 >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재교, 이계 홍양호의 의원전에 나타난 인물 형상 - 1. 머리말 (0) | 2022.10.23 |
---|---|
논문 - 고문이란? (0) | 2022.10.23 |
김영주, 한문학에 나타난 이속의 수용 양상 - 3.2.4 변증 재료에의 활용 (0) | 2022.10.23 |
김영주, 한문학에 나타난 이속의 수용 양상 - 3.2.3 속언은 해학과 조롱의 수단 (0) | 2022.10.23 |
김영주, 한문학에 나타난 이속의 수용 양상 - 3.2.2 한시의 소재로 활용 (0)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