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역사&절기 (3405)
건빵이랑 놀자
물고기가 전해준 애틋한 마음명주가(溟州歌) 무월량과 연화의 첫 만남世傳. 書生遊學, 至溟州, 見一良家女. 美姿色, 頗知書, 生每以詩挑之. 女曰: “婦人不妄從人. 待生擢第, 父母有命, 則事可諧矣.” 生卽歸京師, 習擧業. 연화 낭자가 기르던 물고기에 편지를 주다女家將納壻. 女平日臨池養魚. 魚聞警咳聲, 必來就食. 女食魚謂曰: “吾養汝久, 宜知我意!” 將帛書投之, 有一大魚, 跳躍含書, 悠然而逝. 배속의 편지로 무월량과 연화는 부부의 연을 맺다生在京師, 一日爲父母具饌, 市魚而歸. 剝之得帛書驚異. 卽持帛書及父書, 徑詣女家. 壻已及門矣, 生以書示女家, 遂歌此曲. 父母異之曰: “此精誠所感, 非人力所能爲也.” 遣其壻而納生焉. 『高麗史』 ▲ 강릉 명주가 카페의 데코. 역시 둘의 사랑을 이어준 물고기가 빠질 순 없다. 해석..
금와왕 아들들의 살해위협에서 벗어난 주몽 金蛙有七子, 常與朱蒙遊戱, 其伎能皆不及朱蒙. 其長子帶素, 言於王曰: “朱蒙非人所生. 其爲人也勇, 若不早圖, 恐有後患, 請除之.” 王不聽. 使之養馬, 朱蒙知其駿者, 而減食令瘦, 駑者善養令肥. 王以肥者自乘, 瘦者給朱蒙. 後獵于野, 以朱蒙善射, 與其矢小, 而朱蒙殪獸甚多. 王子及諸臣, 又謀殺之. 朱蒙母陰知之, 告曰: “國人將害汝, 以汝才略, 何往而不可, 與其遲留而受辱, 不若遠適以有爲.” 朱蒙乃與鳥伊ㆍ摩離ㆍ陜父等三人爲友(鳥 下文及遺事竝作烏), 行至淹淲(㴲)水(一名蓋斯水 在今鴨綠東北), 欲渡無梁. 恐爲追兵所迫, 告水曰: “我是天帝子, 河伯外孫, 今日逃走, 追者垂及, 如何?” 於是, 魚鼈浮出成橋, 朱蒙得渡, 魚鼈乃解, 追騎不得渡. 해석 金蛙有七子, 常與朱蒙遊戱, 금와왕에겐 일..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十五年 春三月 黜大臣仇都-逸苟-焚求等三人爲庶人 此三人爲沸流部長 資貪鄙 奪人妻妾-于馬-財貨 恣其所欲(恣 舊本作忽 訛刻也) 有不與者 卽鞭之 人皆忿怨 王聞之慾殺之 以東明舊臣 不忍致極法 黜退而已 遂使南部使者鄒殼素 代爲部長 殼素旣上任 別作大室以處 以仇都等罪人 不令升堂 仇都等詣前 告曰 吾儕小人 故犯王法 不勝愧悔 願公赦過 以令自新 則死無恨矣 殼素引上之 共坐曰 人不能無過 過而能改 則善莫大焉 乃與之爲友 仇都等感愧 不復爲惡 王聞之曰 殼素不用威嚴 能以智懲惡 可謂能矣 賜姓日大室氏 夏四月, 王子好童, 遊於沃沮. 樂浪王崔理, 出行, 因見之問曰: “觀君顔色, 非常人, 豈非北國神王之子乎?” 遂同歸, 以女妻之.後好童還國, 潛遣人, 告崔氏女曰: “若能入而國武庫, 割破鼓角則我以禮迎; 不然則否.” 先是 樂浪有鼓角 若有敵..
집을 판 부당이익을 돌려준 노극청과 그 돈을 시주한 현덕수의 이야기 현덕수(玄德秀) 6 入爲都官郞中, 時散員同正, 盧克淸家貧, 將賣家未售. 因事出外, 其妻受德秀白金十二斤賣之. 克淸還謂德秀曰: “予初以九斤, 買此家, 居數年, 無所增飾而得十二斤, 豈可乎? 請還之.” 德秀曰: “爾能守義而獨予未耶?” 遂不受. 克淸曰: “予平生不爲非義, 豈可賤買貴賣, 以黷于貨? 子若不從, 當悉還其直, 復吾家也.” 德秀不得已受之曰: “予豈不逮克淸者乎?” 遂施佛寺, 聞者莫不嘆息曰: “今世得見如此人耶.” 後拜吏部郞中, 諫官奏: “不宜授邊城人.” 乃改授兵部郞中轉司宰少卿. 德秀妻養母死, 妄告妻母服, 事覺劾罷. 神宗朝起拜殿中監, 累遷兵部尙書致仕, 高宗二年卒. 해석 入爲都官郞中, 時散員同正, 현덕수는 내직으로 도관낭중이 되었는데 이때 일정한..
사화(士禍) 정리 1. 무오사화(戊午士禍)연산군 시기내용김일손이 사초(史草)에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칭찬하는 글을 남김(세조의 찬탈 비방)결과김종직을 부관참시하고 김일손의 사림파 수십 명을 형벌에 처함. 2. 갑자사화(甲子士禍)연산군 시기내용성종 후궁으로 왕비가 된 어머니 윤씨가 모함으로 폐비가 되어 죽게 된 사실을 알게 됨.결과폐비 윤씨를 쫓아내는데 일조한 신하를 모조리 죽임. 중종반정(中宗反正)난폭해진 연산군에 훈구파도 위기감을 느껴 이복동생을 왕위에 앉힘. 3. 기묘사화(己卯士禍)중종 시기내용기를 펴지 못하는 중종도 조광조의 개혁노선(소격서 폐지, 위훈삭제, 현량과 실시)을 좋아했으나 남곤ㆍ심정 등이 역모한다고 모함함.결과조광조를 따르는 사림파를 잡아 귀양 보내거나 죽임. 조광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