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外物 (12)
건빵이랑 놀자
11. 물고기를 잡았다면 통발은 잊어라득어망전(得魚忘筌) 演門有親死者, 以善毁, 爵爲官師, 其黨人毁而死者半. 堯與許由天下, 許由逃之; 湯與務光, 務光怒之, 紀他聞之, 帥弟子而蹲於窾水, 諸侯吊之, 三年, 申徒狄因以踣河. 荃者所以在魚, 得魚而忘荃; 蹄者所以在免, 得免而忘蹄; 言者所以在意, 得意而忘言. 吾安得夫忘言之人而與之言哉!” 해석演門有親死者, 以善毁, 爵爲官師, 其黨人毁而死者半. 송나라의 성문인 연문(演門)에 어버이가 죽은 사람이 있었는데 어버이 상례로 몸이 잘 쇠약해져[善毁] 벼슬을 받아 관리가 되자 그 고을에 비쩍 말라[毁] 죽은 사람이 반이나 되었다. 堯與許由天下, 許由逃之; 湯與務光, 務光怒之, 요임금이 허유에게 천하를 주려 하자 허유는 도망갔고 탕임금이 무광(務光)에게 천하를 주려 하자 무광은 ..

10. 지나침과 묻지 않음에 대해 德溢乎名, 名溢乎暴, 謀稽乎誸, 知出乎爭, 柴生乎守官, 事果乎衆宜. 春雨日時, 草木怒生, 銚鎒於是乎始修, 草木之倒植者過半而不知其然. 靜然可以補病, 眥揻可以休老, 寧可以止遽. 雖然, 若是, 勞者之務也, 非佚者之所未嘗過而問焉; 聖人之所以駴天下, 神人未嘗過而問焉; 賢人所以駴世, 聖人未嘗過而問焉; 君子所以駴國, 賢人未嘗過而問焉; 小人所以合時, 君子未嘗過而問焉. 해석 德溢乎名, 名溢乎暴, 謀稽乎誸, 知出乎爭, 덕은 명예를 추구하는 데서 넘치고 명예는 승부욕에서 넘치며 꾀는 절박한 데서 생각나고 지혜는 다툼에서 나오며 柴生乎守官, 事果乎衆宜. 일의 막힘[柴]은 관직의 규율을 지키려는 데서 생기고 일은 대중의 마땅한 데에서 과실을 맺는다. 春雨日時, 草木怒生, 銚鎒於是乎始修, 草木之..
2. 지금 당장 죽을 지경인데 먼 훗날의 희망만 말하네 莊周家貧, 故往貸粟於監河侯. 監河侯曰: “諾. 我將得邑金, 將貸子三百金, 可乎?” 莊周忿然作色曰: “周昨來, 有中道而呼者, 周顧視車轍, 中有鮒魚焉. 周問之曰: ‘鮒魚來, 子何爲者耶?’ 對曰: ‘我, 東海之波臣也. 君豈有斗升之水而活我哉!’ 周曰: ‘諾! 我且南游吳越之王, 激西江之水而迎子, 可乎?’ 鮒魚忿然作色曰: ‘吾失我常與, 我無所處. 我得斗升之水, 然活耳. 君乃言此, 曾不如早索我於枯魚之肆.’” 해석莊周家貧, 故往貸粟於監河侯. 장주는 집이 가난했기 때문에 감하후(監河侯)에게 곡식을 빌리러 갔다. 監河侯曰: “諾. 감하후가 말했다. “그렇게 하도록 하지. 我將得邑金, 將貸子三百金, 내가 장차 읍의 돈을 받으면 장차 그대에게 300금을 빌려주겠네. 可乎..
외물(外物) 第二十六 1 外物不可必, 故龍逢誅, 比干戮, 箕子狂, 惡來死, 桀·紂亡. 人主莫不欲其臣之忠, 而忠未必信, 故伍員流於江, 萇弘死於蜀, 藏其血, 三年而化爲碧. 人親莫不欲其子之孝, 而孝未必愛, 故孝己憂而曾參悲. 木與木相摩則然, 金與火相守則流, 陰陽錯行, 則天地大絯, 於是乎有雷有霆, 水中有火, 乃焚大槐. 有甚憂兩陷而無所逃. 螴蜳不得成, 心若縣於天地之間, 慰暋沈屯, 利害相摩, 生火甚多, 衆人焚和, 月固不勝火, 於是乎有僓然而道盡. 2 莊周家貧, 故往貸粟於監河侯. 監河侯曰: “諾. 我將得邑金, 將貸子三百金, 可乎?” 莊周忿然作色曰: “周昨來, 有中道而呼者, 周顧視車轍, 中有鮒魚焉. 周問之曰: ‘鮒魚來, 子何爲者耶?’ 對曰: ‘我, 東海之波臣也. 君豈有斗升之水而活我哉!’ 周曰: ‘諾, 我且南游吳越之王, 激..
9. 目徹爲明, 耳徹爲聰, 鼻徹爲顫, 口徹爲甘, 心徹爲知, 知徹爲德. 凡道不欲壅, 壅則哽, 哽而不止則跈, 跈則衆害生. 物之有知者恃息. 其不殷, 非天之罪. 天之穿之, 日夜無降, 人則顧塞其竇. 胞有重閬, 心有天游. 室無空虛, 則婦姑勃谿; 心無天游, 則六鑿相攘. 大林丘山之善於人也, 亦神者不勝.
8 莊子曰: “人有能游, 且得不游乎! 人而不能游, 且得游乎! 夫流遁之志, 決絶之行, 噫, 其非至知厚德之任與! 覆墜而不反, 火馳而不顧. 雖相與爲君臣, 時也. 易世而無以相賤. 故曰: 至人不留行焉. 夫尊古而卑今, 學者之流也. 且以狶韋氏之流觀今之世, 夫孰能不波! 唯至人乃能游於世而不僻, 順人而不失己. 彼敎不學, 承意不彼.

7. 쓸모없는 쓸모 惠子謂莊子曰: “子言無用.” 莊子曰: “知無用而始可與言用矣. 夫地非不廣且大也, 人之所用容足耳, 然則廁足而墊之致黃泉, 人尙有用乎?” 惠子曰: “無用.” 莊子曰: “然則無用之爲用也亦明矣.” 해석 惠子謂莊子曰: “子言無用.” 혜시(惠施)가 장자에게 “자네의 말은 쓸모가 없네.”라고 말했다. 莊子曰: “知無用而始可與言用矣. 장자가 말했다. “쓸모없음을 아니 비로소 함께 쓰임에 대해 말할 수 있네. 夫地非不廣且大也, 人之所用容足耳, 然則廁足而墊之致黃泉, 人尙有用乎?” 대체로 땅이 넓고도 크지 않음이 없지만 사람에게 씀이 있는 것은 발을 용납하는 곳일 뿐이지만 발을 재고서 그 나머지 땅을 파 황천(黃泉)에 이르게 한다면 발의 크기 만한 땅이 사람에게 아직도 쓰임이 있겠는가?” 惠子曰: “無用.”..
6 宋元君夜半而夢人被發窺阿門, 曰: “予自宰路之淵, 予爲淸江使河伯之所, 漁者余且得予.” 元君覺, 使人占之, 曰: “此神龜也.” 君曰: “漁者有余且乎?” 左右曰: “有.” 君曰: “令余且會朝.” 明日, 余且朝. 君曰: “漁何得?” 對曰: “且之網得白龜焉, 箕圓五尺.” 君曰: “獻若之龜.” 龜至, 君再欲殺之, 再欲活之. 心疑, 卜之. 曰: “殺龜以卜吉.” 乃刳龜, 七十二鑽而無遺筴. 仲尼曰: “神龜能見夢於元君, 而不能避余且之網; 知能七十二鑽而無遺筴, 不能避刳腸之患. 如是則知有所困, 神有所不及也. 雖有至知, 萬人謀之. 魚不畏網而畏鵜鶘. 去小知而大知明, 去善而自善矣. 嬰兒生, 無碩師而能言, 與能言者處也.”
5 老萊子之弟子出薪, 遇仲尼, 反以告, 曰: “有人於彼, 修上而趨下, 末僂而後耳, 視若營四海, 不知其誰氏之子.” 老萊子曰: “是丘也, 召而來.” 仲尼至. 曰: “丘, 去汝躬矜與汝容知, 斯爲君子矣.” 仲尼揖而退, 蹙然改容而問曰: “業可得進乎?” 老萊子曰: “夫不忍一世之傷, 而驁萬世之患. 抑固窶耶? 亡其略弗及耶? 惠以歡爲, 驁終身之丑, 中民之行易進焉耳! 相引以名, 相結以隱. 與其譽堯而非桀, 不如兩忘而閉其所譽. 反無非傷也, 動無非邪也, 聖人躊躇以興事, 以每成功. 奈何哉, 其載焉終矜爾!”

4. 도굴꾼 유학자 儒以『詩』ㆍ『禮』發冢. 大儒臚傳曰: “東方作矣, 事之何若?” 小儒曰: “未解裙襦, 口中有珠. 『詩』固有之曰: ‘靑靑之麥, 生於陵陂. 生不布施, 死何含珠爲?’” 接其鬢, 擫其顪, 儒以金椎控其頤, 徐別其頰, 無傷口中珠. 해석 儒以『詩』ㆍ『禮』發冢. 유학자란 『시경(詩經)』과 『예기(禮記)』로 무덤을 파헤치는 이들이다. 大儒臚傳曰: “東方作矣, 事之何若?” 망을 보던 대유(大儒)는 “해가 밝아오니 일이 어떠하냐?”라고 전한다[臚傳]. 小儒曰: “未解裙襦, 口中有珠. 『詩』固有之曰: ‘靑靑之麥, 生於陵陂. 生不布施, 死何含珠爲?’” 무덤에 들어간 소유(小儒)들이 “치마와 저고리를 풀지 못했는데 입 속엔 구슬이 있어요. 『시경』에 다음 구절이 있지 않소. 靑靑之麥 生於陵陂 푸르디 푸른 보리가 ..
3 任公子爲大鉤巨緇, 五十犗以爲餌, 蹲乎會稽, 投竿東海, 旦旦而釣, 期年不得魚. 已而大魚食之, 牽巨鉤, 錎沒而下騖, 揚而奮鬐, 白波若山, 海水震蕩, 聲侔鬼神, 憚赫千里. 任公子得若魚, 離而臘之, 自制河以東, 蒼梧已北, 莫不厭若魚者. 已而後世輇才諷說之徒, 皆驚而相告也. 夫揭竿累, 趣灌瀆, 守鯢鮒, 其於得大魚難矣! 飾小說以干縣令, 其於大達亦遠矣. 是以未嘗聞任氏之風俗, 其不可與經於世亦遠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