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所染 (7)
건빵이랑 놀자

소염(所染) 제삼(第三) 1. 염색과 변화 子墨子言見染絲者而嘆曰: “染於蒼則蒼, 染於黃則黃. 所入者變, 其色亦變, 五入必而已則爲五色矣.” 故染不可不愼也. 2. 잘 물든 임금들과 잘못 물든 임금들 非獨染絲然也, 國亦有染. 舜染於許由ㆍ伯陽, 禹染於皐陶ㆍ伯益, 湯染於伊尹ㆍ仲虺, 武王染於太公ㆍ周公. 此四王者, 所染當, 故王天下, 立爲天子, 功名蔽天地, 擧天下之仁義顯人, 必稱此四王者. 夏桀染於干辛ㆍ推哆, 殷紂染於崇侯ㆍ惡來, 厲王染於厲公長父ㆍ榮夷終, 幽王染於傅公夷ㆍ蔡公穀. 此四王者, 所染不當, 故國殘身死, 爲天下僇, 擧天下不義辱人, 必稱此四王者. 3. 춘추오패를 물들인 인물들 齊桓染於管仲ㆍ鮑叔, 晉文染於舅犯ㆍ高偃, 楚莊染於孫叔ㆍ沈尹, 吳闔閭染於伍員ㆍ文義, 越句踐染於范蠡ㆍ大夫種. 此五君者, 所染當, 故霸諸侯, 功名傅..

6. 좋은 벗과 나쁜 벗 非獨國有染也, 士亦有染. 其友皆好仁義, 淳謹畏令, 則家日益, 身日安, 名日榮, 處官得其理矣, 則段干木ㆍ禽子ㆍ傅說之徒是也. 其友皆好矜奮, 創作比周, 則家日損, 身日危, 名日辱, 處官失其理矣, 則子西ㆍ易牙ㆍ豎刁之徒是也. 詩曰: ‘必擇所堪, 必謹所堪’者, 此之謂也. 해석 非獨國有染也, 士亦有染. 나라만 물들이는 게 있을 뿐만 아니라 선비도 또한 물들게 하는 게 있다. 其友皆好仁義, 淳謹畏令, 則家日益, 身日安, 名日榮, 벗이 모두 인의(仁義)를 좋아하고 순박하고 조심하며 법령을 두려워한다면 집은 날로 불어나고 몸은 날로 편안해지며 명성은 날로 영예로워져 處官得其理矣, 則段干木ㆍ禽子ㆍ傅說之徒是也. 공무를 처리함에 올바른 이치를 얻으리니 단간목(段干木)과 금자(禽子)【금자(禽子): 전국시..

5. 좋은 임금과 나쁜 임금의 차이 凡君之所以安者何也? 以其行理也, 行理性於染當. 故善爲君者, 勞於論人, 而佚於治官. 不能爲君者, 傷形費神, 愁心勞意, 然國逾危, 身逾辱. 此六君者, 非不重其國, 愛其身也, 以不知要故也. 不知要者, 所染不當也. 해석 凡君之所以安者何也? 以其行理也, 行理性於染當. 대체로 임금이 안정(安定)된 정치를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올바른 이치를 행하기 때문이니 올바른 이치를 행하는 것은 물듦의 합당함에 근본해서 이다. 故善爲君者, 勞於論人, 而佚於治官. 그러므로 잘 임금노릇하는 이는 사람을 따지는 데엔 힘을 쓰지만 관리를 다스리는 데엔 느긋하다. 不能爲君者, 傷形費神, 愁心勞意, 然國逾危, 身逾辱. 임금노릇을 잘 하지 못하는 이는 몸을 상하게 하고 정신을 소비하며 마음을 근심스레 하..

4. 잘못 물든 춘추시대 임금들 范吉射染於長柳朔ㆍ王胜, 中行寅染於籍秦高彊, 吳夫差染於王孫雒ㆍ太宰嚭, 智伯搖染於智國ㆍ張武, 中山尙染於魏義ㆍ偃長, 宋康染於唐鞅ㆍ佃不禮. 此六君者, 所染不當, 故國家殘亡, 身爲刑戮, 宗廟破滅, 絶無後類, 君臣離散, 民人流亡, 擧天下之貪暴苛擾者, 必稱此六君也. 해석 范吉射染於長柳朔ㆍ王胜, 中行寅染於籍秦高彊, 吳夫差染於王孫雒ㆍ太宰嚭, 智伯搖染於智國ㆍ張武, 中山尙染於魏義ㆍ偃長, 宋康染於唐鞅ㆍ佃不禮. 범길역(范吉射)은 장류삭(長柳朔)과 왕성(王胜)에게 물들었고, 중항인(中行寅)은 적진(籍秦)과 고강(高彊)에게 물들었으며, 오나라 부차(夫差)는 왕손락(王孫雒)과 태재(太宰) 비(嚭)에게 물들었고, 지백요(智伯搖)는 지국(智國)과 장무(張武)에게 물들었으며, 중산상(中山尙)은 위의(魏義)..

3. 춘추오패를 물들인 인물들 齊桓染於管仲ㆍ鮑叔, 晉文染於舅犯ㆍ高偃, 楚莊染於孫叔ㆍ沈尹, 吳闔閭染於伍員ㆍ文義, 越句踐染於范蠡ㆍ大夫種. 此五君者, 所染當, 故霸諸侯, 功名傅於後世. 해석 齊桓染於管仲ㆍ鮑叔, 晉文染於舅犯ㆍ高偃, 楚莊染於孫叔ㆍ沈尹, 吳闔閭染於伍員ㆍ文義, 越句踐染於范蠡ㆍ大夫種. 제환공은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에게 물들었고, 진문공은 구범(舅犯)과 고언(高偃)에게 물들었으며, 초장왕은 숙손오(孫叔敖)와 심윤(沈尹)에게 물들었고, 오나라 합려(闔閭)는 오원(伍員)과 문의(文義)에 물들었으며, 월나라 구천(句踐)은 범려(范蠡) 대부 종(種)에게 물들었다. 此五君者, 所染當, 故霸諸侯, 功名傅於後世. 이 5명의 임금은 물들여진 게 합당하였기 때문에 제후에서 패자(霸者)가 되었고 공과 명성이 후세..

2. 잘 물든 임금들과 잘못 물든 임금들 非獨染絲然也, 國亦有染. 舜染於許由ㆍ伯陽, 禹染於皐陶ㆍ伯益, 湯染於伊尹ㆍ仲虺, 武王染於太公ㆍ周公. 此四王者, 所染當, 故王天下, 立爲天子, 功名蔽天地, 擧天下之仁義顯人, 必稱此四王者. 夏桀染於干辛ㆍ推哆, 殷紂染於崇侯ㆍ惡來, 厲王染於厲公長父ㆍ榮夷終, 幽王染於傅公夷ㆍ蔡公穀. 此四王者, 所染不當, 故國殘身死, 爲天下僇, 擧天下不義辱人, 必稱此四王者. 해석非獨染絲然也, 國亦有染. 실을 물들이는 것뿐만 아니라 나라 또한 물들이는 게 있다. 舜染於許由ㆍ伯陽, 禹染於皐陶ㆍ伯益, 湯染於伊尹ㆍ仲虺, 武王染於太公ㆍ周公. 요임금은 허유(許由)와 백양(伯陽)에게 물들었고, 우임금은 고요(皐陶)와 백익(伯益)에게 물들였으며, 탕임금은 이윤(伊尹)과 중훼(仲虺)에게 물들었고, 무왕은 태공..

1. 염색과 변화 子墨子言見染絲者而嘆曰: “染於蒼則蒼, 染於黃則黃. 所入者變, 其色亦變, 五入必而已則爲五色矣.” 故染不可不愼也. 해석 子墨子言見染絲者而嘆曰: 자묵자(子墨子)가 실을 물들이는 사람을 보고 말하며 탄신했다. “染於蒼則蒼, 染於黃則黃. “파란 물감으로 물들이면 파란색이 되고 노란 물감으로 물들이면 노란색이 되네. 所入者變, 其色亦變, 五入必而已則爲五色矣.” 넣는 물감이 변하면 색 또한 변하니 다섯 물감을 넣고 그치면 다섯 색깔이 되었다.” 故染不可不愼也. 그러므로 물들이는 것을 조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인용 목차 전문 여씨춘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