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향 (609)
건빵이랑 놀자
5. 昭獻在陽翟, 周君將令相國往, 相國將不欲. 蘇厲爲之謂周君曰: “楚王與魏王遇也, 主君令陳封之楚, 令向公之魏. 楚、韓之遇也, 主君令許公之楚, 令向公之韓. 今昭獻非人主也, 而主君令相國往; 若其王在陽翟, 主君將令誰往?” 周君曰: “善.” 乃止其行.
4. 東周欲爲稻, 西周不下水, 東周患之. 蘇子謂東周君曰: “臣請使西周下水可乎?” 乃往見西周之君曰: “君之謀過矣. 今不下水, 所以富東周也. 今其民皆種麥, 無他種矣. 君若欲害之, 不若一爲下水, 以病其所種. 下水, 東周必復種稻; 種稻而復奪之. 若是, 則東周之民可令一仰西周而受命於君矣.” 西周君曰: “善.” 遂下水. 蘇子亦得兩國之金也.
3. 東周與西周戰, 韓救西周. 爲東周謂韓王曰: “西周者, 故天子之國也, 多名器重寶. 案兵而勿出, 可以德東周, 西周之寶可盡矣.” 東周與西周爭, 西周欲和於楚、韓. 齊明謂東周君曰: “臣恐西周之與楚、韓寶, 令之爲己求地於東周也. 不如謂楚、韓曰: ‘西周之欲入寶, 持二端. 今東周之兵不急西周, 西周之寶不入楚、韓.’ 楚、韓欲得寶, 卽且趣我攻西周. 西周寶出, 是我爲楚、韓取寶以德之也, 西周弱矣.”
2. 秦攻宜陽, 周君謂趙累曰: “子以爲何如?” 對曰: “宣陽必拔也.” 君曰: “宜陽城方八里, 材士十萬, 粟支數年, 公仲之軍二十萬, 景翠以楚之衆臨山而救之, 秦必無功.” 對曰: “甘茂, 羈旅也, 攻宜陽而有功, 則周公旦也; 無功, 則削迹於秦. 秦王不聽羣臣父兄之義, 而攻宜陽, 宜陽不拔, 秦王耻之. 臣故曰‘拔’. 君曰: “子爲寡人謀, 且奈何?” 對曰: “君謂景翠曰: ‘公爵爲執圭, 官爲柱國, 戰而勝, 則無加焉矣; 不勝, 則死. 不如背秦. 援宜陽, 公進兵, 秦恐公之乘其弊也, 必以普事公. 公中慕公之爲己乘秦也, 亦必盡其寶.’ 秦拔宜陽, 景翠果進兵. 秦懼, 遽效煮棗, 韓氏果亦效重寶. 景翠得城於秦, 受寶於韓, 而德東周.
1 秦興師臨周而求九鼎, 周君患之, 以告顔率. 顔率曰: “大王勿憂, 臣請東借救於齊.” 顔率至齊, 謂齊王曰: “夫秦之爲無道也, 欲興兵臨周而求九鼎, 周之君臣內自盡計: 與秦, 不若歸之大國. 夫存危國, 美名也; 得九鼎, 厚寶也. 願大王圖之. 齊王大悅, 發師五萬人, 使陳臣思將以救周, 而秦兵罷. 齊將求九鼎, 周君又患之. 顔率曰: “大王勿憂. 臣請東解之.” 顔率至齊, 謂齊王曰: “周賴大國之義, 得君臣父子相保也, 願獻九鼎. 不識大國何塗之從而致之齊?” 齊王曰: “寡人將寄徑於梁.” 顔率曰: “不可. 夫梁之君臣欲得九鼎, 謀之暉臺之下, 少海之上, 其日久矣, 鼎入梁必不出.” 齊王曰: “寡人將寄徑於楚.” 對曰: “不可. 楚之君臣欲得九鼎, 謀之於葉庭之中, 其日久矣, 若入楚, 鼎必不出.” 王曰: “寡人終何塗之從而致之齊?” 顔率曰: “..
3.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리다 狐假虎威 荊宣王問羣臣曰: “吾聞北方之畏昭奚恤也, 果誠何如?” 羣臣莫對. 江一對曰: “虎求百獸而食之. 得狐, 狐曰: ‘子無敢食我也. 天帝使我長百獸, 今子食我, 是逆天帝命也. 子以我爲不信, 吾爲子先行, 子隨我後, 觀百獸之見我而敢不走乎?” 虎以爲然, 故遂與之行. 獸見之皆走, 虎不知獸畏己而走也, 以爲畏狐也. 今王之地方五千里, 帶甲百萬, 而專屬之昭奚恤. 故北方之畏奚恤也, 其實畏王之甲兵也, 猶百獸之畏虎也.” 해석 荊宣王問羣臣曰: 楚나라 선왕이 여러 신하들에게 물었다. “吾聞北方之畏昭奚恤也, 果誠何如?” “내가 듣기로 북방의 나라들은 소해휼을 무서워한다는데 과연 진실은 어떠한가?” 羣臣莫對. 여러 신하들은 대답하질 못했다. 江一對曰: “虎求百獸而食之. 江乙이 한 번에 대답했다. “..
13. 제 삼자가 이득을 보다 漁父之利 趙且伐燕. 蘇代爲燕謂惠王曰: “今者臣來過易水, 蚌方出曝, 而鷸啄其肉, 蚌合而拑其喙. 鷸曰: ‘今日不雨明日不雨, 卽有死蚌.’ 蚌亦謂鷸曰: ‘今日不出明日不出, 卽有死鷸.’ 兩者不肯相舍, 漁者得而幷禽之. 今趙且伐燕, 燕ㆍ趙久相支, 以弊大衆, 臣恐强秦之爲漁父也. 故願王之熟計之也.” 惠王曰: “善!” 乃止. -『戰國策』 「燕策」 해석 趙且伐燕. 조나라가 또한 연나라를 정벌하려 했다. 蘇代爲燕謂惠王曰: 소대가 연나라를 위해 惠文王에게 말했다. “今者臣來過易水, 蚌方出曝, “이제 저는 역수를 지나오는데 조개가 곧 햇볕을 쬐러 나오니 而鷸啄其肉, 蚌合而拑其喙.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 하자 조개가 입을 다물어 부리가 끼었습니다. 鷸曰: ‘今日不雨明日不雨, 도요새가 말했습니다...
8.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내부의 일을 노출시키지 않는다 秦大國也, 韓小國也. 韓甚疏秦, 然而見親秦, 韓計之. 非金無以也, 故賣美人. 美人之賈貴, 諸侯不能買, 故秦買之三千金. 韓因以其金事秦, 秦反得其金與韓之美人. 韓之美人因言於秦曰: “韓甚疏秦.” 從是觀之, 韓亡美人與金, 其疏秦, 乃始益明. 故客有說韓者曰: “不如止淫用. 以是爲金以事秦, 是金必行, 而韓之疏秦不明, 美人知內行者也, 故善爲計者不見內行.” -『戰國策』 해석 秦大國也, 韓小國也. 진나라는 대국이고 한나라는 소국이다. 韓甚疏秦, 然而見親秦, 한나라가 매우 진나라와 소원해졌지만 진나라와 보아 친해지는 것이 韓計之. 한나라의 계책이다. 非金無以也, 故賣美人. 돈을 바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여겼기 때문에 미인을 팔았다. 美人之賈貴, 諸侯不能買, 故秦買..
16. 세 사람이면 거짓을 진짜로 만든다 三人成虎 龐葱與太子質於邯鄲, 謂魏王曰: “今一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否.” “二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寡人疑之矣.” “三人言市有虎, 王信之乎?” 王曰: “寡人信之矣.” 龐葱曰: “夫市之無虎, 明矣. 然而三人言而成虎. 今邯鄲去大梁也遠于市, 而議臣者過于三人矣. 願王察之矣.” 王曰: “寡人自爲知.” 于是辭行, 而讒言先至. 後太子罷質, 果不得見. 해석 龐葱與太子質於邯鄲, 방총과 위나라의 태자가 조나라 수도 한단으로 인질로 잡혀 가며 謂魏王曰: 방총이 위나라 임금께 말씀드렸다. “今一人言市有虎, 王信之乎?” “이제 첫 번째 사람이 ‘시장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라고 한다면, 임금께선 믿으시겠습니까?” 王曰: “否.” 그러자 임금께서는 “아니네.”라고 단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