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차천로 - 송이제독(送李提督) 본문

한시놀이터/조선

차천로 - 송이제독(送李提督)

건방진방랑자 2021. 4. 12. 09:44
728x90
반응형

제독 이여송(李如松)을 전송하며

송이제독(李提督)

 

차천로(車天輅)

 

 

漢家飛將出崆峒 氣激金風颯爽中

匣裏龍鳴三尺劍 腰間蛇動六勻弓

追思人倚甘棠召 不代名高大樹馮

看取燕然一片石 海邦千古誦明公 五山集卷之二

 

 

 

 

해석

漢家飛將出崆峒
한가비장출공동
한나라의 비장이라 불렸던 이릉 같은 이가 우뚝 솟은 곳에서 나와
氣激金風颯爽中
기격금풍삽상중
기운이 가을바람 상쾌한 가운데를 가격하는 듯하지.
匣裏龍鳴三尺劍
갑리룡명삼척검
칼집 속엔 용이 삼척의 검에서 울어대고
腰間蛇動六勻弓
요간사동육균궁
허리 사이엔 뱀이 육균의 활에서 움직이네.
追思人倚甘棠召
추사인의감당소
사람들은 감당감당(甘棠): ()나라 소공(召公)이 감당나무 아래에서 선정을 베푼 것을 기념하여 백성들이 감당의 시편을 지어 기린 것을 말한다. 史記34 燕召公世家」】의 소공을 의지할 것 생각하며 추억하나
不代名高大樹馮
부대명고대수풍
명성 높은 대수장군 풍이(馮異)를 대신하려 하지 않네.
看取燕然一片石
간취연연일편석
연연산연연산(燕然山): 몽고 지방에 있는 산으로, 항애산(杭愛山)이라고도 불린다. 후한의 화제(和帝) 1(89)에 두헌(竇憲)이 북선우(北單于)와 싸워 크게 승리하여 연연산을 점령하고 돌아왔는데, 그 공적을 기리기 위해 반고(班固)에게 명해 명()을 짓게 하고는, 그 내용을 새겨 그곳에 비석을 세웠다. 後漢書23 竇憲列傳」】의 한 조각돌을 취해 보는 듯하고
海邦千古誦明公
해방천고송명공
우리나라에선 천고토록 명성 있는 그대 왼다네. 五山集卷之二

 

 

해설

이 시는 돌아가는 이여송(李如松)을 전송하며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선조(宣祖)의 명을 받고 즉석에서 술 한 잔에 시 한 수씩 백수(百首)를 지었다는 시이다.

 

김택영(金澤榮)숭양기구전(崧陽耆舊傳), “이여송이 중국으로 귀국할 때 선조(宣祖)가 따로 글 잘하는 문장 5(李廷龜, 崔岦, 李睟光, 李安訥, 車天輅)을 뽑아서 예문관을 열고 지필묵을 하사하고 시를 지어서 환송하는 행사를 성대하게 하도록 하였다. 차천로가 하루 밤낮에 600 운을 지어서 증정했다. 차천로의 글이 사리가 찬연해서 다 볼 만하니, 예문관 안에 모였던 사람들이 다 기가 질렸다[李如松之北還也 上別簡文人五人 開藝文館 給筆札 命賦詩 以移其行事 天輅一晝夜成六百 以進 辭理燦然 皆可觀 館中爲之屛氣].”라 하여, 위 시의 저작 배경과 평을 함께 실어 두고 있다. 이처럼 차천로의 한시 가운데는 국사(國事)와 연관된 관각풍(館閣風)의 작품이 많으며 동시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심수경(沈守慶)견한잡록(遣閑雜錄)에도 이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는데, 다음과 같다.

문사 차천로는 문장에 능하여 세상에 이름이 났는데, 가장 잘하는 것은 시와 사육변려체(四六騈儷體)이다. 임진년 여름에 왜구가 서울을 함락하자, 성상이 서쪽 의주(義州)로 가서 머무르며 중국에 구원을 청하니, 황제(皇帝)인 명의 신종이 시랑(侍郎) 송응창(宋應昌)과 도독 이여송(李如松)을 보내어 토벌하게 하였다. 계사년 봄에 도독 이여송이 왜구를 평양(平壤)에서 대파하니, 그해 여름에 왜구가 동래(東萊)와 부산(釜山) 등지로 물러갔다. 가을에 도독 이여송이 중국으로 돌아가느라 작별에 임하여 이별시를 여러 문사에게 구하니, 차천로는 시와 7언 율시 1백 수()7언 배율시(排律詩) 1을 지어 주었다. 율시는 상하평성(上下平聲)으로 각각의 운자를 붙여서 2일 만에 지었고, 배율시는 양()자 운을 붙여서 반나절 만에 지었는데, 그 시가 풍부하고 민첩하여 당대에 짝이 없었으니, 진실로 천재로다. 그 시가 마침내 세상에 널리 퍼졌다[文士車天輅以能文名於世 而最長者詩與四六也 壬辰夏 倭寇陷京都 車駕西巡駐義州 請救於中朝 帝命遣侍郞宋應昌都督李如松討之 癸巳春 都督大破倭寇于平壤 夏倭寇退屯于東萊釜山等處 秋都督還朝 臨別求別詩於諸文士 天輅作詩及七言律詩一百首七言排律一百韻 律詩則上下平聲各韻盡押 而二日作之 排律則押陽字韻 而半日作之富贍敏捷 當代無雙眞天才也 其詩世方傳播焉].”

원주용, 조선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10, 83~84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