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대학ㆍ학기 한글역주』의 정리를 마치며 - 2. 주희가 사대부 통치국가를 꿈꾸며 변형시킨 『대학』 본문

연재/작품을 감상하다

『대학ㆍ학기 한글역주』의 정리를 마치며 - 2. 주희가 사대부 통치국가를 꿈꾸며 변형시킨 『대학』

건방진방랑자 2020. 3. 20. 11:49
728x90
반응형

2. 주희가 사대부 통치국가를 꿈꾸며 변형시킨 대학

 

 

도올 선생은 주희가 편집한 대학집주는 문제가 많다며, 원래 예기속에 들어있던 대학의 원래의 모습을 찾아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래서 이 책은 예기속에 들어있는 대학판본을 기준으로 번역을 하고 있다. 그리고 왜 그래야 하는지 앞에서 쭉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EBS에서 중용 강의를 하고 있는 도올 선생님.  

 

 

 

주희의 문화변혁 운동

 

그렇다면 주희가 편집하여 자기의 사상체계에 따라 수정을 가한 대학집주엔 도대체 무슨 문제가 있는 것일까?

그걸 알기 위해선 주희가 왜 四子書라는 걸 만들었으며, 그 속에 자신의 어떤 생각을 투영하려 했느냐 하는 것을 중요하게 봐야 한다.

 

 

四子書

주요 저자

서명

孔子

論語

曾子

大學

子思子

中庸

孟子

孟子

 

 

도올 선생이 쓴 중용강의라는 책에 주희가 왜 사서운동을 펼치게 되는지 드라마틱하게 잘 묘사되어 있다.

 

 

에서 비롯하여 주자가 살고 있던 대에 이르기까지 불교의 영향으로 지성인들이 너무 타락하고 너무 풀어졌는데, 이런 상황에서 주자는 어떠한 새로운 질서order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때 주자에게 어필된 것이 禮記, 論語, 孟子, 大學, 中庸인데 論語, 孟子에는 집주를 했고 大學, 中庸은 장구를 했습니다. 이라는 것은 Chapter이고 라는 것은 Paragraph를 말하는데, 禮記에 있던 대학과 中庸이란 텍스트를 보니 쭉 붙어있고 너무 복잡해서 주자가 직접 로 나누어 분류를 해서 편집한 것이죠. 여러분들은 章句라는 말을 심각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大學이나 中庸章句라는 말은 주자 이전에는 없었던 것으로서 주자가 비로소 章句化 함으로써 성립한 주자의 고유명사인 것입니다.

 

 

주희, 그는 이런 위기의식을 어떻게 타파하려 했을까? 그 해답은 바로 사서였다.  

 

 

그렇다. 주희는 불교가 판을 치던 수당시대는 무척 잘못된 사회란 인식이 있었던 것이고 바로 이런 문화적 풍토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소명의식이 있었던 것이다. 그런 그의 눈에 띤 것이 바로 이와 같은 내용을 지닌 네 가지 책이었던 것이고, 그는 유학의 흐름에 따라 유학의 종주라 할 수 있는 사람들을 배치하며 네 가지 책을 엮어낸 것이다. 바로 이런 과정을 통해 탄생하게 된 것이 四子書이고 우린 흔이 이걸 四書(네 가지 책)’이라 부른다.

 

 

불교의 전파는 동양사회를 바꿔 놓았다.  

 

  

 

대학은 통일제국을 눈앞에 눈 시점에 쓰여진 책

 

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주자가 이 네 가지 책을 선정한 이유도 더욱 분명해진다. 그는 송나라 시대를 지탱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운동을 위해 유학을 선택했고 공자 이후로 맹자까지 진행된 원시유학에 불교나 백가사상까지 섭렵하여 리뉴얼하고 싶었던 것이다. 그래서 탄생한 것이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性理學이라는 것이다. 이때 주희가 이 책을 통해 담아내고 싶었던 것은 그 전까지의 천자가 주체가 되어 온 나라를 일목요연하게 다스리는 나라가 아닌, 천자는 상징적인 의미만 지닐 뿐 사대부들이 중심이 되어 다스리는 나라였던 것이다. 대학ㆍ학기 한글역주에선 다양한 전적들을 인용하며 예기속의 대학이 언제 지어졌는지 결론 내린다.

 

 

대학은 순자계열의 사상가에 의하여 전국시대의 다양한 사상을 집대성하여 강령화시킨 걸작으로서, 그 목적은 새로 탄생하는 황제권력의 제약과 방향설정에 있었으며, 그 집필시기는 대강 여씨춘추의 성립시기와 일치한다.

-김용옥, 대학ㆍ학기한글역주, 통나무, 2009, 196

 

 

이런 결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당연히 이 책에 나와 있으니 이 책을 본다면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나 또한 이런 논의에 대해 좀 더 정리를 하고 싶기에 여기선 그 내용에 대해선 넘어가기로 하겠다. 이런 결론을 통해 왜 변형되기 전의 대학이란 예기 속 한 편의 내용과 주희가 변형한 대학집주의 해석 차이 및 전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내용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음 편 후기에선 여기에 대해 자세히 말하며 대학을 정리한 소감을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인용

목차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