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서울의 협객인 나수양을 만나고서
한양협소행 주증라수양(漢陽俠少行 走贈羅守讓)
조찬한(趙纘韓)
羅公五兄弟皆平時俠客,
나공의 5 형제가 모두 평상시의 협객인데
而守讓氏獨落湖南, 見我於任實.
수양씨만 홀로 호남에 낙척(落拓)하여 나를 임실에서 보았다.
燈下把筆走贈.
등불 아래에서 붓을 잡고 달리듯 써서 주다.
漢陽昇平二百祀 | 서울 태평성대 200년이라 |
都人士女殷且美 | 도읍의 남녀는 풍요롭고도 훤칠하네. |
家家鍾鼎食如螘 | 집집마다 부유해 1 밥이 고봉밥이네. |
明粧耀日喧歌吹 | 밝게 치장하여 환하고 시끄러운 노랫소리 불러오네. |
三門之外稱俠窟 | 대궐문 밖에 협객의 소굴을 헤아리니 |
三鄭五羅唯其最 | 정씨 세 명과 나씨 다섯 명이 최고라네. |
吐氣如虹聲若雷 | 날숨은 무지개 같고 소리는 우레 같으며 |
大袴緩帶相徘徊 | 큰 바지에 느슨한 띠로 서로 배회한다네. |
三月鶯花滿禁城 | 3월이라 앵두꽃이 궁궐에 가득하니 |
掠挾妖娥松峴隈 | 송현 모퉁이에서 아리따운 이들 납치한다네. |
索酒酒肆醉如泥 | 주점에서 술을 찾아 고주망태처럼 취하고선 |
鬪殺惡少如豚鷄 | 졸렬한 소인배들과 닭과 돼지처럼 싸워 |
端陽令節好角觝 | 단오의 좋은 계절에 각저 놀이를 좋아하니 |
力如任鄙任顚委 | 힘이 임비 2와 같아 맘대로 꼬꾸러뜨리네. |
武昌豐川許與李 | 무창과 풍천의 허씨와 이씨는 |
高馬躍出鍾樓市 | 높은 말로 종루 거리에서 뛰어나와 |
爭雄較悍挺劍合 | 자웅 다투고 사나움 겨루려 칼을 빼어 겨루니 |
聲勢拉霄風埃起 | 소리의 기세가 하늘을 당겨 세상의 먼지가 일어나네. |
武昌許李似哮虎 | 무창의 허씨와 이씨가 범이 포효하는 듯해도 |
名聲未出諸羅氏 | 명성은 나씨를 벗어나지 못하지. |
是時季羅年最少 | 이때에 막내 나씨의 나이 가장 어려 |
指揮衆俠如兒戲 | 여러 호걸 지휘하는 것이 아이 장난치는 듯했네. |
殺狗屠豕日復日 | 개를 죽이고 돼지 잡길 날마다 이어져 |
春風無邊秋夜月 | 봄바람이 끝이 없는 날이나 가을밤 달 뜬 날, |
歲時伏臘銳氣加 | 복날이나 섣달이나 날카로운 기운이 더해져 |
連鑣共袂爭馳突 | 재갈을 잇고 소매를 공유한채 다투어 돌진하며 달리네. |
超越人家十丈墻 | 남의 집 10길 담장 넘어 |
上城下城如平陸 | 평지처럼 성을 오르락내리락 하네. |
偸出侯家絶代色 | 고위관직의 집에 절세가인을 보쌈해 나오고 |
不啻齊狗偸狐白 | 제나라 개 뿐만 아니라 여우 털가죽 훔치네. |
傾都振畿畏如狼 | 서울을 거꾸러뜨려 두렵기가 승냥이 같으니 |
郭解精悍人誰敵 | 곽해 3처럼 날쌔고 사나움을 누가 대적하리? |
一朝海寇蹵三京 | 하루아침에 왜구가 서울과 평양과 개성의 삼경을 짓밟아 |
漢陽文物煙塵腥 | 서울의 문물이 연기가 되고 티끌이 되며 더럽혀졌네. |
豪華任俠散如煙 | 호협하던 협객들도 연기처럼 흩어져 |
飢寒流落湖州城 | 호남땅에서 굶주리고 추위에 시달리며 흘러다니니 |
多豪多俠十無一 | 많던 호협한 이들 열에 하나도 없는데 |
只有二羅飄如萍 | 다만 두 명의 나씨만이 표류하길 부평초처럼 하는 구나. |
只今鬚髮已衰落 | 다만 지금은 머리와 수염이 이미 세어버렸고 |
驥老奮憊無筋力 | 천리마 노쇠하여 고달파져 근력마저 없다네. |
龍城城下偶見之 | 용성(남원)의 성아래에서 우연히 만나 |
握手相看感疇昔 | 손을 잡고 서로 보며 옛적을 생각했네. |
噫吁嘻 | 아! 아! |
家藏亡命報人讎 | 집에서 원수를 갚고 망명한 이를 숨겨주리니 |
侯生雖老爲上客 | 후생 4은 비록 늙었더라도 상객으로 여겼으니. |
君不見 | 그대 보지 못했나? |
歷階色動秦舞陽 | 시간이 흘러 진무양 5 얼굴색이 변한 것을. |
少子血勇焉足責 | 어렸을 적 혈기와 용맹을 어찌 족히 책망하리오 『玄洲集』 卷之二 |
인용
- 종정(鐘鼎): 종명정식(鐘鳴鼎食), 종을 울려 가족을 모으고 솥을 늘어놓고 음식을 해먹는 집. [본문으로]
- 임비(任鄙): 태어난 해는 알 수 없고 기원전 288년에 죽은 전국시대 진나라의 무장에 대역사다. 장사인 진무왕이 힘겨루기를 좋아했음으로 자신을 스스로 천거하여 진무왕의 총애를 받았다. 진소양왕 때 상국 양후(穰侯)가 그를 한중태수로 천거했다. 진나라 사람들은 저리질(樗里疾)과 같이 '힘에는 임비이고 지혜는 저리'라고 칭했다. [본문으로]
- 곽해(郭解): 전한 무제 때의 협객(俠客)으로 자는 옹백(翁伯)이며 지현(軹縣) 출신이다. 신체가 왜소하였으나 호협(豪俠)을 좋아하여 증오하는 인물이 있으면 반드시 살해하곤 하였으나, 뒤에는 행실을 고쳐 공손하였으므로 많은 사람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마침 그의 문객(門客)이 지현 출신의 유생(儒生)을 살해한 사건이 발생하였는데, 사실 곽해 자신은 그 사건과 무관하였으나 국법을 확립하여야 한다는 조정의 의논으로 대역무도죄(大逆無道罪)로 처형되었다. 그 후 춘추전국 시대로부터 유행하던 협객이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漢書』 卷92 「游俠傳」 [본문으로]
- 후생(侯生): 중국 전국시대 위(魏) 나라 인물인 후영(侯贏)을 가리킨다. 빈한하여 칠십 나이에 위나라 수도의 이문(夷門)을 지키는 아전으로 있었다. 당시 신릉군(信陵君)이 그를 존경하여 몸소 맞아다가 상객(上客)으로 삼았다. 후에 그의 조언을 들어 진나라 군사를 물리치고 조나라를 구원할 수 있었다. [본문으로]
- 진무양(秦舞陽): 형가가 진에 들어갈 때에, 지도(地圖)를 갖고 따르던 젊은 협사의 이름. [본문으로]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한시놀이터 > 서사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비파행(後琵琶行) - 산문. 거문고 연주가 김명곤의 기구한 삶을 담게 된 이유 (0) | 2021.08.23 |
---|---|
한양협소행 주증라수양(漢陽俠少行 走贈羅守讓) - 해설. 임란으로 사라진 늘그막 협객을 만나다 (0) | 2021.08.19 |
미상 - 남당사(南塘詞) (0) | 2021.08.19 |
남당사(南塘詞) - 해설 6. 마현으로 찾아온 강진 제자에게 써준 글 (0) | 2021.08.19 |
남당사(南塘詞) - 해설 5. 1820년 강진 문인의 작품 (0) | 2021.08.19 |